2024.07.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3.1℃
  • 구름많음강릉 21.9℃
  • 구름조금서울 22.8℃
  • 구름많음대전 23.0℃
  • 구름많음대구 25.7℃
  • 흐림울산 24.2℃
  • 구름많음광주 23.5℃
  • 흐림부산 22.5℃
  • 흐림고창 22.8℃
  • 제주 25.1℃
  • 구름조금강화 21.7℃
  • 구름많음보은 21.8℃
  • 구름많음금산 23.3℃
  • 흐림강진군 23.6℃
  • 흐림경주시 25.4℃
  • 흐림거제 22.5℃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사설>
‘참여 복지’ 치과계가 앞장선다

鄭在奎(정재규) 협회장이 盧武鉉(노무현) 대통령을 만났다. 우리나라 보건의료계의 수많은 전문가 단체 가운데 대통령을 단독 접견하는 일은 그리 흔치 않기에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크다. 더욱이 치협 역사상 대통령을 단독 접견한 일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그 감회가 크다. 그러나 그 만남의 의미보다 더 큰 것은 바로 민간인 단체에서 정부보다 앞서나가 능동적으로 국민에게 의료봉사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는 점이다. 鄭在奎 협회장은 지난 17일 노무현 대통령을 단독 접견하면서 새 정권의 ‘참여복지" 이념과 걸맞는 저소득층 노인 무료치과진료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약속을 한 나라의 최고 책임자에게 약속했다. 이날 鄭 협회장은 盧武鉉(노무현) 대통령에게 저소득층 노인 1만5000명에 대한 무료치과진료사업 약정서를 전달했다. 이로서 치과계가 새 정부에서 개념 정립만 한 ‘참여복지"에 대한 확고한 비전과 실천방향을 제시한 결과가 됐다. 이날 盧武鉉(노무현) 대통령은 크게 반기며 비로서 ‘참여복지"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고 한다. 새 정권으로서는 매우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었을 것이다. 정부에서 복지정책의 근간으로 삼고 있는 ‘참여복지"란 모든 국민이 의무와 사명감을 갖고 사회적인 복지를 함께 이루자는 의미이다. 자칫하면 정부가 생색만 내고 정부의 할 일을 마치 민간에게 떠 넘긴다는 인상을 줄 수 있는 것도 바로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복지구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에 치협이 적극 이 개념에 부합하는 사업에 대한 약속을 함으로서 실천방향이 제대로 선 것이다. 이러한 국정 개념은 과거에도 몇몇 위정자들이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성공한 사례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새 정부의 ‘참여복지"도 미국 클린턴 정부시절 정부 예산절감과 효율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은 정책의 개념을 빌려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보다 앞서 존 F 케네디 전 미대통령은 국가가 나에게 무엇을 해줄 것인가를 생각하기 보다 내가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생각하라는 명연설을 통해 국민 참여의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 하기사 우리나라도 점차 의식이 선진국화되면서 국민들이 직접 나서서 정부가 해야 할 일을 도맡는 일이 많아졌다. 언론매체를 통한 각종 봉사기금을 모집하는 작은 일부터 월드컵 대회같은 국가의 큰 행사 때 수많은 국민들이 자원봉사에 나서는 일 등 이루 말할 수 없다. 치협이 이번에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저소득층에 대한 무료치과진료사업은 그런 차원에서 어찌보면 전문가 단체로서 마땅히 사회에 환원하는 하나의 사업이 아닐까 한다. 물론 이 사업이 낯설지 않은 것은 각 시도 지부나 여러 치과계 봉사단체, 또는 개개인들이 이미 오래전부터 해 오던 일을 확대하는 정도라는 점이기 때문일 것이다. 아무튼 이번에 치과계의 대통령과의 약속은 사회 전반에 걸쳐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아니 커야만 한다고 본다. 이는 정부가 주도하는 ‘참여복지"정책이 설령 없었더라도 이 사회에 필요한 일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