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4 (월)

  • 맑음동두천 27.3℃
  • 구름많음강릉 25.0℃
  • 구름조금서울 27.4℃
  • 구름많음대전 28.8℃
  • 구름많음대구 32.1℃
  • 구름조금울산 29.0℃
  • 구름많음광주 27.4℃
  • 구름조금부산 24.9℃
  • 구름많음고창 26.5℃
  • 흐림제주 26.3℃
  • 구름조금강화 24.3℃
  • 구름조금보은 28.5℃
  • 구름조금금산 28.5℃
  • 구름많음강진군 26.9℃
  • 구름조금경주시 32.5℃
  • 구름많음거제 24.6℃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종교칼럼 -삶- 허영엽 신부, 천주교 서울대교구 홍보실장]우리 인생의 진정한 목표

오스트리아의 유명한 심리학자 빅터 프랭클은 오늘날 우리 인간에게 가장 무서운 것은 ‘삶의 가치를 상실하는 것’이라고 했다. 즉 현대는 문화와 물질문명이 발달해서 인간의 생활에서 의식주는 더 풍족해졌지만 삶의 가치를 잃어버려 육체적 쾌락과 술과 마약에 빠져 목표를 잃고 방황하는 삶을 산다는 것이다.


유태인인 빅터 프랭클 부부는 2차 대전 때 아우슈비츠의 수용소에 수감되어 죽음의 고통을 겪게 된다. 빅터 프랭클은 살아서 짐승 취급을 받느니 차라리 죽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한다. 그는 자신의 삶 어디에서도 가치를 발견 할 수 없었다. 그러나 그는 단 한 가지 목표를 두고 살아남아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것은 다름이 아니라 아내를 다시 만나 못다한 사랑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었다. 어떻게든 살아남아 아내를 만나야 한다는 생각이 그의 삶의 목표가 되었다. 그 소망이 숱한 괴로움과 슬픔을 견디는 힘이 되었다. 그러나 정작 전쟁이 끝난 후 그는 아내를 만나지 못했다. 그의 아내는 이미 세상을 떠났던 것이다. 그런데 그는 역설적으로, 처절한 삶의 고통속에서 영원한 하느님의 사랑을 체험하게 된다. 그래서 그는 다시 삶의 목적과 존재의미를 회복하게 되었다. 오늘날 그의 체험과 연구, 그리고 저서들은 많은 이에게 희망과 위로를 안겨주고 있다.


루가 복음서를 보면 엠마오로 가는 두 제자의 이야기가 있다(루가 24,13-35 참조). 예수님의 두 제자는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뒤 절망감에 빠져 예루살렘을 떠나 삼십 리 쯤 떨어진 엠마오라는 동네로 가고 있었다. 그들이 그토록 존경하고 따랐던 스승 예수님의 죽음으로 두려움과 절망속에서 예루살렘을 떠났던 것이다. 그 때 부활하신 그리스도께서 다가갔지만 그들은 주님을 알아보지 못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성서를 인용하시면서 당신 죽음의 참 뜻을 깨닫게 하셨다. 예수님은 두 제자와 함께 식탁에 앉아 감사의 기도를 드린 후 빵을 떼어 나누어 주셨다. 그 때 비로소 두 제자는 눈이 열려 주님을 알아보게 되었다. 그래서 기쁨과 희망을 안고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낙담과 절망속에서 낙향하던 엠마오로 가는 두 제자가 다시 구원의 도시, 예루살렘으로 돌아오는 결정적인 계기는 부활하신 주님을 만났기 때문이다.


인생은 하나의 긴 여행에 비유된다. 그 여행길은 때로는 절망과 실패속에서, 때로는 희망과 기쁨속에서 걷게 된다. 특히 우리는 삶의 목적과 희망을 잃었을 때 방황하게 된다. 여태껏 추구해온 인생의 목표가 한 번에 무너질 때의 참담한 실패감은 무엇으로도 보상 될 수 없을 것이다. 몇 년 동안 모든 것을 버리고 예수님을 따랐던 제자들이 주님의 죽음 앞에서 느꼈던 실망은 과연 어떠했을까? 그랬던 그들이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왔다는 것은 상실된 삶의 목표와 의미를 다시 회복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역시 수없이 많은 갈등과 방황을 경험한다. 삶의 목표를 잃고 의미를 상실한 채 이리저리 헤매는 우리의 모습을 발견할 때가 종종 있다. 모든 것을 다시 본래 모습으로 회복시키는 길은 자신의 가치를 새롭게 깨닫는 것에서 시작된다.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만날 때 우리는 다시 인생의 가치에 눈을 뜨게 된다. 그러나 우리 자신의 이기심, 인본주의, 욕심, 죄 등에 물들어 있을 때에는 눈이 가리워져 아무것도 볼 수가 없게 된다. 우리 인생의 목표와 가치에 눈을 뜨기 위해 우리는 본래의 우리의 모습과 우리가 있어야 할 자리로 돌아가야 한다.
우리가 돌아가야 할 예루살렘, 거기에 우리 삶의 목적과 의미도 함께 존재한다. 나는 과연 어떤 존재이며 어떤 모습을 회복해야 하나, 나는 어디로 돌아가야 하는가를 깊이 생각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