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4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0℃
  • 구름많음강릉 25.3℃
  • 구름많음서울 27.1℃
  • 구름조금대전 28.4℃
  • 흐림대구 29.1℃
  • 구름많음울산 28.8℃
  • 박무광주 24.8℃
  • 구름많음부산 26.2℃
  • 구름많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28.4℃
  • 구름많음강화 25.3℃
  • 구름많음보은 27.7℃
  • 구름많음금산 28.1℃
  • 흐림강진군 26.8℃
  • 구름많음경주시 31.2℃
  • 흐림거제 23.6℃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종교칼럼 -삶- 허엽엽 신부/천주교 서울대교구 홍보실자]말씀의 씨를 뿌리는 사람

위대한 사상가이며 신학자, 그리고 음악가이며 의사인 슈바이처(1875∼1965)가 아프리카로 떠났을 때는 이미 마흔이 다 되었을 때였다. 그의 주변 사람들은 편안하고 여유있게 여생을 보낼 수 있는 사람이 굳이 사서 고생을 한다며 만류했다.


당시 아프리카는 거의 유럽의 식민지로 미개인들이 사는 곳이라 생각하던 때였다.
슈바이처 박사는 “내가 의사가 된 것은 돈을 벌기 위해서가 아니라 병으로 죽어가는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서 입니다. 지금 아프리카에는 의사가 없어서 사람들이 병으로 죽어가고 있습니다. 나는 작은 힘이지만 그들의 목숨을 건지는 데 도움이 되고 싶습니다.”라고 연설했다.


슈바이처가 처음 도착한 곳은 몹시 더운 지방으로 온갖 독벌레와 세균이 들끓는 곳이었다. 그런 곳에서 사람들은 의사도 약도 없이 버려져 있었다. 슈바이처는 자신의 재산을 다 털어서 병원을 지어 환자를 치료하기 시작했다. 그는 어려움에 굴복하지 않고 항상 웃는 얼굴로 흑인들을 위한 진료에 평생을 바쳤다.


1952년 슈바이처 박사는 노벨상을 탔을 때도 상금전액을 모두 나병환자를 위해 썼다. 그는 나무 한 그루, 풀 한포기라도 생명체이기에 소중하다고 생각했다. 인간의 생명을 아끼고 지키는 것은 모든 사람이 함께 해야한다고 가르쳤다. 어떻게 보면 작은 그의 활동과 생각은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들속에 큰 불꽃으로 타오르고 있다.


예수님은 군중을 가르치실 때 유대 랍비들처럼 비유를 들어 곧 잘 가르치셨다. 예수님이 선포하신 하느님 나라는 사실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지 않은 주제였다. 그래서 복음에서 보면 하느님의 나라를 씨 뿌리는 농부의 비유를 통해 설명하신다.(마르코 복음 4장 참조)


인간적인 눈으로 볼 때 예수님의 하느님 나라 선포에 대한 전도는 보잘 것 없는 것이었다. 오히려 실패와 좌절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씨 뿌리는 농부의 비유를 통해 예수님의 선포와 전도는 끝내 풍성한 결과를 낼 것이라는 확신과 희망을 갖고 있다.
이 비유는 예수님 당신 뿐 아니라 초대 교회의 상황에 자신의 처지에 더 잘 맞는 비유였을 것이다. 초대 교회 신자들에게 희망과 위로가 되는 말씀이었다. 초대교회 신자들이 열심히 말씀을 선포하는데도 불구하고 그 결과는 인간적인 눈으로 볼 때 미미한 것이었다.


그러나 씨 뿌리는 농부의 비유에서처럼 시작은 작고 미미하지만 하느님의 다스림은 큰 결과를 맺게 될 것이니 절망하지 말라는 훈계와 경고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밭은 말씀을 듣고 받아들이는 청중을 비유한다. 말씀을 받아들이는 방법에 따라 결과도 여러 가지로 나타난다. 말씀은 같은 것이지만 듣는 자의 마음자세에 따라 그 결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결과에 대한 책임은 개개인의 탓에 달려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당연히 네번째 부류의 사람들처럼 좋은 땅이 되라고 훈계하고 있다.
즉 열린 마음으로 겸손되이 하느님의 말씀에 귀를 기울이고 생활속에서 풍성한 열매를 맺는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가르치고 있다.


우리가 생활속에서 말하고 행동하는 모든 것은 말씀의 씨앗을 뿌리는 행위이다. 왜냐하면 삶은 누구에게나 현실안에서 이루어지고, 나름대로의 열매를 맺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가 봉사와 희생의 삶을 충실히 사는 것도 훌륭한 씨앗을 뿌리는 행위이다. 우리는 매일같이 세상에 말과 행위를 통해 씨앗을 뿌리고 그리고 거두어야 한다. 하루를 지내면서 내 생활속에서, 내 가정과 사회속에서 어떤 씨앗을 뿌리며 지냈는지 반성해 보아야할 것이다.
지난 한주간 나는 세상에 어떤 씨앗을 뿌리며 생활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