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3 (일)

  • 흐림동두천 22.5℃
  • 흐림강릉 21.4℃
  • 서울 23.6℃
  • 대전 23.7℃
  • 구름많음대구 23.4℃
  • 흐림울산 23.6℃
  • 흐림광주 23.4℃
  • 구름많음부산 23.8℃
  • 흐림고창 23.3℃
  • 흐림제주 26.4℃
  • 구름많음강화 23.3℃
  • 흐림보은 22.0℃
  • 흐림금산 23.6℃
  • 흐림강진군 24.1℃
  • 구름많음경주시 22.5℃
  • 구름많음거제 23.6℃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독자투고]‘자연치아 살리기 운동’ 유감


치과의사의 사명은 자연치아를 살려 오래오래 쓸 수 있도록 치료하고 치료법을 개발하고 연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치과에서 행해지는 치과 진료의 대부분이 자연치아를 살리기 위한 치료술식이다. 보존치료, ENDO, 치주치료 등 진료의 대부분이 그렇다.
또 지금까지 우리 치과의사들은 이 목표달성을 위해 다 썩어 망가진 치아 하나라도 살리기 위해 애지중지 치료하고 기능회복을 위해 부단히 노력을 해왔다. 이것은 당연하고 마땅한 것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치과의사수 증가, 황금만능주의, 윤리교육 부족으로 인한 윤리의식의 결여 등으로 몇몇 치과의사의 경우 다소 문제점이 야기된 경우가 있었다고 본다.
그래서 ‘자연치아 살리기 운동’이 조직체를 갖추고 홍보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 우리가 깊이 생각해야할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자칫 잘못하면 전체 치과의사가 살릴 수 있는 치아를 빼도록 유도하고 자연치아를 살리지 않고 있다고 호도되기 쉽다는 점이다. ‘자연치아 살리기 운동’이 외부로 확산되면 될 수록 치과의사에 대한 불신은 점점 커지게 되어 있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치과의사들은 ‘자연치아 살리기’를 하지 않았다는 자승자박의 결론에 도달하고 오해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일부 치과의사들의 행위가 마치 전체가 한 것처럼 오해를 받아서는 안된다.
‘자연치아 살리기 운동’을 하지 말자는 얘기는 아니다.
하되, 치과대학의 윤리교육과 회원 보수교육을 통해서 우리끼리 우리 내부에서 조용히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이런 것을 등한시하고 공청회를 열고, TV나 언론매체를 통해 우리가 이런 운동을 하고 있다고 자랑삼아 홍보한다면 자승자박의 결과밖에 없다. 실제 ‘자연치아 살리기 운동’의 홍보 강화가 역효과로 나타나 TV 등에서 임플랜트 시술을 위해 살릴 수 있는 치아를 빼도록 유도하고 돈만 아는 치과의사들로 언론이 매도하고 있지 않은가!
치과의사가 환자에게 빼지 않아도 될 치아를 빼라고 권유한다해서 순순히 응할 환자들은 많지 않다. 실제 치료실에서 보면 발치 적응이 된 치아라도 이 치과 저 치과 다니면서 물어보고 본인판단에 납득이 갈 때 발치를 원한다. 진료는 일방적일 수 없다.
환자들이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다. 환자들은 현명하다. 일부 치과의사의 행위를 침소봉대해서는 안된다.


또한 ‘자연치아 살리기 운동’을 조직적으로 하기 위해 기금 마련을 목적으로 회원을 대상으로 ‘지로용지’를 보내 모금하는 것은 잘못된 관행이다. 안하면 그만이라고 생각하겠지만 국가나 사회단체에서도 모금할 경우 법적 절차를 밟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김지하 시인이 ‘살림과 모심’이라는 표현을 쓴 적이 있다. 우리 치과의사도 ‘살림과 모심’의 정신으로 살았으면 좋겠다. 환자를 주인으로 모시고 자연치아를 살리고 자연환경을 살리고 전통문화를 살리고 우리의 이웃을 살리는 ‘살림’의 정신으로 무장하고 ‘살림리스트’가 되도록 하자.


변영남
대한치의학회 감사
전 치협 공보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