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헌 원장의 임상핵심 가이드
PRP 술식 4
■ 혈소판 농축액의 제조와 적용
지금까지는 혈소판의 조직 생리학적인 내용과 혈소판의 작용 중에서 growth factor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번 호부터는 우리가 혈소판에 대해서 알고 있는 내용을 통하여 어떻게 이것을 적용하고 있고 또한 실제 임상적용의 예와 방법에 대하여 이야기하고자 한다.
현재 혈소판을 농축하는 방법에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는 혈액을 채취한 후 혈액 항응고제를 첨가한 후 분리하는 방법과 두 번째는 혈액 항응고제를 사용하지 않고 농축하는 방법이다. 첫 번째 방법으로 분리한 혈소판 농축액을 PRP(platelet rich plasma)라고 하고 두 번째 방법에 의한 것을 PRF(platelet rich fibrin)라고 부른다.
각각은 모두 농축 혈소판과 growth factor를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으나 그 사용법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PRP는 치과분야 뿐 만 아니라 메디칼 분야에서도 폭넓게 사용되며 PRF는 현재 치과 임플랜트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PRP는 예전에는 그 농축방법에 대해서 이견이 많았고 사용자에 따라서 방법도 다양했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다양한 kit가 나오고 또한 g force 값에 맞는 원심분리기가 만들어지면서 그 농축방법은 거의 확립되었다고 본다.
PRF는 만드는 방법이 매우 간단하다. 혈액채취 후 glass tube에 넣고 원심분리기에 3000rpm에서 10분 정도 분리하면 된다. 반면에 그 적용은 제한적이다. 왜냐하면 혈장을 포함한 fibrin clot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PRP의 일반적인 적용은 메디컬 분야에서는 주로 만성 통증성 질환에 injection 법으로 사용되며 또한 잘 낫지 않는 당뇨환자나 immunocompromised patient의 wound treatment에 사용된다. 그 적용을 살펴보면 신경, 연골, 디스크 재생, 아킬레스건 병소, 어깨나 팔꿈치의 건염, 상처치유, 위궤양, 안구건조, 심장질환 등이 있다.
치과적 적용은 주로 임플랜트 시에 골 이식과 동반해서 골 이식의 예후를 좋게 하고 빠른 골 형성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용되며, 치주염환자에서 치주조직의 재생 목적으로 사용해 볼 수 있다. 또한 TMJ 통증환자에도 적용해 볼 수 있다.
또 한 가지 PRP의 적용은 악안면 영역의 미용에 적용할 수 있다. PRP를 연조직에 적용했을 때 강력한 콜라겐 합성유도 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PRP는 오랫동안 치과분야에서 사용해 왔으면서도 제한적인 적용으로 발전하지 못한 면이 있다. 하지만 앞으로 그 적용범위를 넓히고 발전시킨다면 훌륭한 치과의 한 분야가 되리라고 확신한다.
다음 호부터는 PRP, PRF의 임상적용법과 그 예를 들어 쓰고자 한다.
사진설명
분리된 PRF
분리된 PRP
채혈
PR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