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8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이성근 원장의 지상강좌] 미니 임플란트 지지 수복물

[이성근 원장의 지상강좌]  미니 임플란트 지지 수복물

 

1. 미니 임플란트의 보철물 제작에 필요한 구성 성분
(그림 1).


a. Metal housing(O-ring keeper)


크기가 두 종류로 악간 간격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Metal housing을 의치 내면에 부착할 때에는 fit-check를 통해 반드시 미니 임플란트에 과도한 부하가 작용하지 않도록 relief해 주어야 한다(그림 2). 이후 수직 고경의 유지를 위해 자가 중합용 레진을 venting hole을 낸 의치 relief 내면에 채우고 중합시키든지 아니면 소량의 pattern resin을 의치 relief 내면에 채우고 중화시킨 후 나머지 결손 부위를 채운다(그림 3).

 

b. Pick-up type transfer coping


transfer coping을 미니 임플란트의 rectangular head에 끼운 후에 인상을 채득하면 인상제와 함께 빠져 나온다.
 
c. Laboratory analog


인상제에 있는 transfer coping에 미니 임플란트와 동일한 형태인 기공용 아나로그을 연결한 후 석고를 부어 경화시킨다. 이후 인상제를 제거하면 구강내 상태와 동일한 모형이 된다.

d. Metal abutment for permanent crown
이 석고 모형에서 straight 혹은 angled abutment를 연결하여 최종 보철물을 제작한다.

e. Plastic abutment for temporary crown
이 석고 모형상에서 플라스틱 지대주를 연결하여 임시 치아를 제작한다.


2. 임상 증례

1) 하악 미니 임플란트 지지 총의치 증례
2) 하악 전치부 4 unit bridge 증례

 

<그림 2> 의치 내면에서 fit-check로 o-ring keeper의 완전한 relief를 확인.

 

 



<그림 3> Kooliner 혹은 pattern resin으로 의치 내면에 o-ring keeper를 연결.

 


<그림 4> 70세 여성환자에서 상하악 총의치를 보여주는 구내 사진

 

<그림 5> 상하악 심한 골흡수와 함께 하악 돌출 양상을 보이는 측모와 파노라마

 

 


<그림 6> 기존 의치를 복제하여 내면을 삭제한 후 soft liner를 깔고 구강내에서 고경을 확인하였을 때 심하게 부족한 상태를 보여줌

 


<그림 7>
복제된 기존 의치를 resin base로 수정된 고경에서 상하악 인상을 채득

 

 


<그림 8>
상하악 mounting 후 새로운 resin base와 wax rim를 이용해 도치를 배열

 


<그림 9> 환자 구강내에서 try-in하면서 수직고경과 도치 배열을 점검

 


<그림 10>
도치 배열된 하악 의치를 복제하여 만든 외과용 스텐트로 미니 임플란트 식립

 

<그림 11> 미니 임플란트 식립 후 촬영한 측모 및 파노라마

 

<그림 12> 도치 배열된 의치 내면에서 미니 임플란트 식립 부위를 relief한 casting framework과 함께 resin curing을 하여 최종 의치를 완성

 

<그림 13>
식립 당일 하악 의치에 soft reliner를 깔고 구강내에 장착

 

<그림 14>
미니 임플란트 식립 2달 후 3개의 o-ring keeper를 연결하고 구강내에 장착한 파노라마

 

<그림 15> 43세 남성 환자에서 하악 전치의 6 unit crown bridge를 보여주는 구내 사진

 

<그림 16> #32=42의 4 unit pontic을 보여주는 파노라마

 

<그림 17> 연구용 모델상에서 #32=42 pontic을 제거한 후 보이는 좁은 치조골과 즉시 임시 치아를 제작하기 위해 미리 준비된 acrylic resin 치아

 

<그림 18> 골이식 없이 #32와 #42 부위에 mini-implant를 식립하고 임시 치아를 장착한 후의 파노라마

 

<그림 19> 최종 인상을 채득하기 위해 mini-implant에 transfer coping를 연결한 구내 사진. transfer coping이 치은에 의해 밀려 나오거나 약간 움직이는 느낌이 있어 인접 치아의 undercut를 피하면서 pattern resin으로 고정하고 최종 인상을 채득

 

<그림 20> 최종 4 unit PFG를 제작한 상태

 

<그림 21> 구강내 장착된 4 unit PFG와 술후 파노라마

이성근 원장
·일산 예치과 원장
·치의학 박사(부산대)
·대한노년치의학회 이사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 이사

 

관련기사 PDF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