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3 (수)

  • 흐림동두천 23.2℃
  • 흐림강릉 27.9℃
  • 박무서울 24.7℃
  • 구름조금대전 25.5℃
  • 구름많음대구 28.5℃
  • 맑음울산 26.9℃
  • 흐림광주 26.9℃
  • 맑음부산 24.2℃
  • 맑음고창 25.3℃
  • 구름많음제주 27.5℃
  • 흐림강화 22.3℃
  • 구름많음보은 24.7℃
  • 구름조금금산 24.5℃
  • 맑음강진군 26.7℃
  • 맑음경주시 27.1℃
  • 맑음거제 23.8℃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최용현 원장의 지상강좌] 실제 외래에서 필요한 교정치료시의 임상적 생각들 (1)

최용현 원장의 지상강좌


A. 시대에 따른 교정 장치 발달
B. 교합의 형성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근골격계의 임상적 이해

C. SWA장치의 특징과 사용법
D. 비발치 교정 치료의 임상적 특징
F. 발치 교정 치료의 임상적 특징

G. 성장기 교정치료에서의 임상적 접근법

  

최용현 원장(STM치과의원)은 자체 교정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개원의들에게 스스로 진료 가능한 범위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술식을 진행하는데 교육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번 기고에서는 교정장치에 대한 기본적인 역사와 각 임상과정의 노하우를 살펴보는 기회를 마련했다.


 

실제 외래에서 필요한
교정치료시의 임상적 생각들

 

B. 교합의 형성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근골격계의 임상적 이해

  

실전에서 교정 치료을 시행함에 있어 치아의 이동은 typodont와는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인체에서는 근골격계에 의한 영향이 있기 때문에 치아의 이동이 typodont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경우에 따라서는 쉽기도 하지만  때로는  어렵기도하다. 교정치료를 진행하다가 난관에 부딪치는 경우의 많은 부분이 이런 근골격계의 이해의 부족에서 오는 경향이 있다. 이에 임상에 꼭 필요한 근골계의 영향을 임상적 시야에서 이해해 본다.


인체는 수정란에서 시작하여 발생과  탄생을 거치고 그 이후 growth & development를 통하여 개체를 완성시킨다. 성장기가 지난 뒤에는 노화과정을 거치며 이런 일련의 과정을 aging process 혹은 changing process 라고 할 수도 있다(그림 1).


구강과 치아의 역할은 음식물의 섭취, 발음 및 조음, 심미적 기능, 공격 및 방어이다. 그  기능적 중요성은 동물의 종류에 따라 그림2에서와 같이 구조적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즉, 하등동물에서는 뇌의 기능보다 먹고 싸움하는 기능의 발달이 생존에 더욱 필요하여 구강과 치아가 발달하였다.  반면, 인간에서는 뇌의 사용이 말하고 먹는 기능보다 더 생존에 필요하여 뇌가 구강복합체보다 큰 현재의 구조를 지니게 되었다(그림 2). 또한 인간에서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서 역할의 중요성이 달라지기도 한다.


즉 원시시대에선 음식물섭취와 공격 및 방어의 기능이 중요하였지만 현대에서는 발음이나 심미적기능이 더욱 강조되며 이에 따른 기능과 구조의 변화가 일어났다.  결론적으로 기능과 구조는 밀접한 관계를 지닌다. 고유한 해부학적 구조는 어떠한 형태에서든 기능적인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능해부학이 발달되었다.  따라서 교합을 형성하는 치아의 구조와 위치, 치아를 지지하는 상하악골, 상악골을 지지하는 두개저, 상하악골 잡아 주는 악관절, 악관절 및 하악골 주변의 근육과 인대, 두개하악골을 지탱하는 근육 및 인대, 치아 밖의 안면표정근과 안쪽의 혀 등등 많은 요소들이 각각의 고유한 기능을 지니며 서로 상호 보완적인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런 복합체 속에서 치아가 순서대로 맹출하며 교합을 완성 시키게 된다.

  

[1] 교합의 형성과 발달


(1)교합에 관여하는 생물학적(해부학적, 생리학적) 조건
1. 치아배열과 치열궁의 형태형성에 관계되는 조건은?
a)정상교합형성을 위한 조건
상하악치열의 교합관계가 정상이어야 하며  치아배열과 치열궁의 형태가 정상이어야 한다.

  

b)치열궁의 형태형성
치아는 안쪽으로는 혀와 밖으로는 근육의 사이에 힘의 균형이 이루어지는 완충지대(neutral zone)사이의 중간으로 맹출하게 된다. 그 근육은 전치부 쪽은 구륜근, 구치부에서는 협근(그림 4, 5)이다. 이런 현상을 일명 Buccinator mechanism이라고 하며 치열궁의 형태가 이에 따라 결정된다(그림 3~9).


c)치아배열과 안면공간에서 위치결정의 기본원리

  

c-1)치관의 배열 메카니즘
치관 외측으로는 협근, 구륜근이 있으며,  내측으로는 혀가 위치한다. 내외적으로 해부생리학적 완충지대에 위치하며(그림 6)  상하적으로는 eruption force와 교합력이 힘의 균형을 이루는 지대에 위치하여 구강 내에서 치아가 3차원적인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그림 10).

  

c-2)치근배열의 메카니즘
상하악치아의 치근은 윈칙적으로 상하악골의 apical base에 직립한다. 치근의 배열은 상하악골 본체의 크기와 형태에 영향을 받으며 치근의 형성은 원래의 위치대로 자라므로 치근이 미완성된 치아를 교정했을 때는 치근이 휘는 것을 볼 수 있다(그림 11).


(2) 구강주위의 연조직의 역할
a)안면표정근이 있으며 안면표정근에는 근막이 없어서 미묘한 표정의 근육 변화가 잘 일어날 수 있다. 여러 개의 근육 중에 구각거근,구각하제근,구순거근,협골근,이근등이 교합에 영향을 미친다(그림 12). 그림13과 같이 구각거근과 구각하제근은 구각에서 교차되므로 보통 휴식상태에서 입을 다물고 있게 될 수 있다(그림 13,14). 또한 구순거근은 상악견치와 부위에 부착하여 Buccinator mechanism의 힘의 균형에서 상악견치부위의 힘을 약화시킨다.


이로 인하여 상악견치가 arch보다 순측으로 맹출하게 된다(그림 12). 견치부는 순측으로 돌출된 모양을 하며 4전치부는 평탄화가 일어나서 치열은 완전한 arch형보다는 마름모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형태는 전치부 유도와 견치 유도가 더 원활할 수 있게 한다.


이근(mental muscle 그림 15)은 하악 전치부에 영향을 미친다. 그림16과 같이 16a)에서와 같이 턱 끝이 발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근 수축 시에 치아가 상방으로 힘을 받아 치조골이 가늘고 길어지며 임상적으로는 long face환자에서 발견된다. 16 b)와 같이 턱의 끝이 발달한 경우에는 이근의 수축하는 경우에 하순을 설측으로 잡아당기면서 하악 전치를 설측으로 밀어 하악 전치부에 총생이 생기며 short face환자에서 많이 발견된다.

 

<41페이지에 계속>

관련기사 PDF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