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箱에게 箱의 본관은 강릉(江陵), 본명은 김해경(金海卿)이다. 箱의 의 생가(1912~1933)가 '이상의 집(통인동 154-10)’으로 재개관되었다. 箱은 본인을 천재라고 생각했고,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학과를 수석 졸업했다. 箱은 일제강점기 시인, 소설가, 수필가, 건축가였다. 箱의 아버지는 이발사였고, 가난으로 백부(伯父)에게 양자(養子)로 입양(入養)되어 한문 교육을 받았다. 箱의 필명은 4살 위 친구이며 척추장애 화가인 구본웅이 선물로 준 오얏나무(李)로 만들어진 화구상자(箱, 상자 상)를 받고 지었다는 설... 등이 있다. 箱은 일본어 시들이 수록된 ‘이상(異狀)한 가역반응’이 첫 시집(1931)이다. 箱은 백부가 죽자(1931) 친가로 돌아오지만 불과 보름을 견디지 못했다. 箱은 1933년 폐결핵 진단을 받고 건축 기사일을 그만 두었다. 箱이 지은 건물이나 설계도면은 남아 있지 않다. 箱은 하루에 50개비 피는 골초였다. 箱은 황해도 백천 온천(북한 천연기념물)에서 요양 중 17살부터 작부생활을 했고 딸 가진 20살 기생 금홍을 만난다. 箱은 돌아와 백부의 유산으로 종로1가에 다방 ‘제비(燕)'를 개업, 금홍을 마담에 앉힌 후 동거했고, 금홍
기대하던 봄이라고 하기엔 찬데 골 깊은 동강 야트막한 바위 위 애기 주먹도 안 되는 흙 사이에 작년의 제 살들을 이불삼아 빼꼼히 내밀었지만 오죽 바람이 쎄면 휘어질 시간도 없는 너 그래도 민들레같은 씨도 남기고 버티며 사는 너는 순수 조선민족이다. 슬픈 기억이란 꽃말처럼 어릴 적엔 허리가 굽으시고 풍으로 고생하신 우리 할머니 양지 바른 무덤가에 많아서 할미꽃인줄 알았지 그땐 무서웠지만 지금은 과거도 자주 휘는. 송선헌 원장 -치과의사, 의학박사, 시인 -대전 미소가있는치과 대표원장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외래교수 -UCLA 치과대학 교정과 Preceptor and Research associate -대한치과교정학회 인정의 -대한치과교정학회 대전·충남지부 감사 -2013년 모범 납세자 기획재정부장관상 -2019년 대한민국 현대미술대전 장려상과 입상 수상 -저서 : 임상 치과교정학 Vol. 1(웰 출판사) -전)대전광역시 체조협회 회장
하나, 대학 졸업 30주년 행사로 12년 만에 간 제주, 섬은 만물을 고립시키지만, 대신에 파도라는 고독을 키우고, 또 그 때문에 섬도 썸을 타고, 섬이 외톨이가 아니라, 열리는 시작이라 생각하면 자유다. 그러나 온통 트인 곳보다도, 관음처럼 틈으로 보는 것이 더 자극일 때, 나도 그렇게 태어났음을 아는 것, 일출봉도 위가 아닌 밑에서 태어났듯이. 둘, 섬(島)은 물에 둘러싸인 육지다. 섬은 그린란드보다 작고 사람이 살 수 있거나 경제활동이 가능한 암초보다 큰 것으로 오스트레일리아는 지구상에서 가장 작은 대륙이고, 그린란드는 지구상에서 가장 큰 섬으로 약속했다. 섬을 재테크 용도로 구매하는 부자도 있다는 소리를 들었다. 섬과 육지는 형제지간이다. 섬은 어떤 대륙에도 속하지 않는다. 섬은 자기만의 생태계를 갖고 있다. 섬 중 자연이 아닌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곳은 이스터다. 섬도 반도나 곶을 뚫어 만든다. 섬 중 화산섬(제주·울릉·독도)과 산호섬은 양도(洋島)다. 군도(郡島)와 읍면도(邑面島)를 제외한 것이 낙도(落島)다. 섬만 다니는 여행도 나의 버킷리스트 중 하나다. 섬이 인간들 때문에 점점 사라지고 있다. 그러나 인간들은 섬을 만들기도 한다. 이익을 위해서
1. 침묵 위주치명(爲主致命, 주를 위해 목숨을 바침)!, 한 번 들어가면 죽어서도 나오지 못하는 프랑스 알프스(희고 높은 산)의 그랑드 샤르트뢰즈(Le Grande Chartreuse) 봉쇄 수도원를 담은 영화 위대한 침묵(Into the Great Silence, 2005년, 162분)의 첫 장면은 ‘봄은 겨울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다. 봄은 침묵으로부터 온다’다. 모든 종교의 수도원들은 도피가 아니라 구별이다. 수도원은 절제, 기도, 청빈과 무소유가 기본이고 제일 규칙은 Silence다. 침묵과 묵언은 모든 종교(유불선 포함)의 기본원칙이다. 짙은 침묵은 최소의 소리(수도복, 성경, 바람소리…)도 증폭시킨다. 종일 침묵과 관상기도(Contemplation)로 하나님을 만난다. 침묵은 내면의 응시다. 새벽기도(Martins)를 모두가 잠든 12시 5분에 올린다. 수도사들은 수방(修房, Cell)에서 홀로 은수(隱修)한다. 그 안은 최소한의 살림살이만 있다. 의탁하지 않는 삶을 산다. 물질보단 정신적인 가난을 추구한다. 밝은 색 카울(Cowl, 고깔이나 두건 달린 겉옷)을 입고 있다. 스님들의 배코머리 정도는 아니지만 기계식 바리캉(Bariquant)으로 삭
조선 후기에 태어 난 달항아리(백자대호)는 귀족보단 서민, 세련보단 풍성, 남성보단 달을 품은 여성이다. 입(口)은 눈썹 모양으로 크루아상(Croissant)을 탄생시킨 초저녁 초승달로 태동한다. 진정한 비밀처럼 입술도 없는 듯 짧게 시작한다. 어깨는 반달(Young moon)이다. 입에서부터 목(頸)이 없이 시작하다가 해산(解産)달의 배처럼 팽창한다. 혜곡은 무심한 아름다움의 시작이라 했다. 몸통은 꽉 참(滿)의 보름이다. 점점 헤어지듯 벌어진다. 저마다 세로 또는 가로로 성장한다. 그러다가 두개의 반원을 차낸 후 접합한 흔적을 남긴다. 풍만함은 절정에서 쉬었다가 다시 하강한다. 허리의 하현은 활시위(弦)가 아래(下)로 가는 신호다. 빛이 약간 어두워진다. 윤회(Samsara)를 구현하고 묵직한 비대칭도 시연한다. 여기를 지나면 매처럼 날카롭게 하강한다. 저부(바닥)는 마지막인 그믐 그리고 안정을 위한 숨고르기다. 시작(입)과 끝(굽)은 형제의 높이다. 입에 비해 굽 지름이 8할 정도 작다. 그래도 짐을 지는 대속의 십자가가 되었다. 꾸밈없이. 이런 달항아리(Moon jar)를 가슴에 하나씩 소성(燒成)하여 삶을 넉넉하게 채우기도, 넉넉하게 비우기도… 송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