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로나19 확산을 틈타 원격의료가 치과계에서도 논란을 확대 재생산하고 있다. 본지는 현재 다양한 방식으로 변주되는 국내외 치과 관련 원격의료의 형태와 시사점을 분석하는 한편 이에 대한 경각심을 환기시키는 특집 기획시리즈를 상, 하 2회에 걸쳐 게재한다<편집자 주>. 원격의료가 코로나19 확산 이후 ‘비대면’이라는 새로운 가면을 쓴 채 재등장했다. 일단 의료계를 중심으로 한 반대 움직임이 거센 상황이지만 치과계에서도 원격의료 시행 자체가 상징하는 부정적 함의를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국가적 위기 상황 속에서 ‘언택트’가 ‘새로운 기준’(New Normal)으로 대체되는 가운데 이를 축으로 치과 원격의료를 공적인 영역으로 편입시키려는 시도들에 대해서는 보다 단호한 자세를 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근 각 지자체에서 ‘온라인 구강교육’을 진행하겠다는 계획을 잇따라 공개하면서 논란이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다. 일례로 서울시는 ‘온라인 초등학생 구강위생관리 서비스’를 본격 제공한다고 지난 9월 14일 발표했다. 코로나19로 학교의 구강검진 및 교육이 어려워짐에 따라 ‘치과 방문 없이’ 가정에서 할 수 있는 ‘비대면 구강관리 서비
최근 코로나19 확산을 틈 타 원격의료가 치과계에서도 논란을 확대 재생산하고 있다. 본지는 현재 다양한 방식으로 변주되는 국내외 치과 관련 원격의료의 형태와 시사점을 분석하는 한편 이에 대한 경각심을 환기시키는 특집 기획시리즈를 상, 하 2회에 걸쳐 게재한다<편집자 주>. 코로나19 장기화 국면과 정부의 비대면 진료 한시 허용 정책이 맞물리면서 원격의료 논란이 본격화되고 있다. 비록 ‘한시적’, ‘비대면’이라는 꼬리표를 달았지만 이미 한 번 구축된 인프라나 법적 허용 테두리가 다시 코로나19 이전으로 환원될 리 만무하다는 게 의료계 안팎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가까운 예로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한시적으로 확대했던 온라인 진료를 코로나19 사태 종료 이후에도 계속 허용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특히 논란이 돼 왔던 영상을 통한 초진도 모두 허용할 것으로 전해졌다. 치과 진료 역시 원격의료의 경계선에 서 있다. 보건복지부가 코로나19 확산이 진행 중이던 지난 2월 24일부터 4월 12일까지 집계한 전화상담·처방진찰료 청구현황에 따르면 치과병의원 20곳에서 39건의 진료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과나 한의과에 비해 적은 횟수지만 원격의료의 상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