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티스(대표 심기봉)가 오는 4월 22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2018 DENTIS GBR&SINUS FORUM’을 개최한다고 최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번 ‘2018 DENTIS GBR&SINUS FORUM’은 ‘Beyond the Bone Deficiency’와 ‘Beyond the Sinus Membrane’ 두 파트로 나누어 GBR과 SINUS의 전반적인 임상 노하우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된다. 먼저 ‘Beyond the Bone Deficiency’ 파트에서는 손영휘 원장과 김용진 원장이 연자로 나서 골 이식 테크닉과 발치 즉시 식립, 연조직 처치와 관련해 강연한다. 또 이수영 원장과 김용진 원장이 디지털을 활용한 GBR을 주제로 관련 노하우를 공유할 예정이다. ‘Beyond the Sinus Membrane’ 파트에서는 허인식 원장과 김재석 원장이 상악동 거상술과 잔존골 3mm미만 환자 치료법을 강연한다. 또 김영진 원장이 부비동염을 주제로 강의할 예정이다. 강연과 함께 진행되는 핸즈온 세션 오전 파트에서는 김재윤 원장이 케이스를 통해 SINUS 테크닉의 맥을 짚을 예정이다. 오후 파트에서는 김진구 원장이 GBR 노하우를 공유
김진환 원장(원데이치과)이 오는 3월 16~18일 네팔 카트만두 래디슨호텔에서 열리는 ‘Asian Congress of Tissue Regeneration in Medicine and Oral implantology’에 초청 연자로 참여한다고 최근 밝혔다. 김 원장은 ‘Digital occlusion approach in Full mouth implant restoration’을 주제로 강연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김 원장은 “무치악 환자들에 있어서 전악 임플란트 보철 후 교합 변화로 인해 생기는 구강악안면 영역의 근육 변화를 증례를 통해 살펴보고, 전악 임플란트 시 교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알려 줄 계획”이라며 “특히 정량적인 방법인 디지털 장비(티스캔)를 이용한 교합 조정 후 안면 변화 등을 살펴볼 것”이라고 밝혔다.
성공적인 근관치료에 필요한 핵심 노하우를 공유하는 학술대회가 열린다. 대한치과근관치료학회(회장 김의성·이하 근관치료학회)가 오는 4월 1일(일) 서울성모병원 의과학연구원 2층 대강당에서 제52차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최근 밝혔다. 근관치료학회에 따르면 이번 춘계학술대회는 ‘성공적인 근관치료를 위한 최신지견 공유’를 대주제로 마련된다. 구체적인 학술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이렇다. 먼저 세션 1은 ‘적절한 근관형성을 위한 당신의 선택은?’을 주제로 진행된다. 최성백 원장(파스텔치과)을 비롯한 곽영준 원장(연세자연치과), 유기영 원장(서울탑치과병원), 곽상원 교수(부산치대) 등이 ▲NiTi file 사용의 모든 것 ▲근관치료의 최고의 무기-hand files! ▲개원가에서 터득한 endo tip ▲NiTi file이 root crack을 만들 수 있나? 등을 주제로 각각 강연한다. ‘MTA 사용의 최신지견’을 주제로 한 세션 2에서는 송민주 교수(단국치대)를 비롯한 손원준 교수(서울치대), 금기연 교수(서울치대) 등이 ▲Pulp revascularization, 술식 알아보기 ▲MTA type paste를 이용한 근관충전 ▲MTA를 이용한 근관충전의 현재와 미래를
서울대치과병원 치과의료기기 중개임상지원센터(센터장 이종호·이하 중개임상시험지원센터)가 지난 1월 21일부터 25일까지 5일간 치과의료기기 사용자 적합성 시험 벤치마킹을 위해 미국 실리콘 밸리 Interface Analysis Associates(IAA)를 방문했다고 최근 밝혔다. 서울대치과병원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의료용 전기기기 국제규격(3판)에 따라 모든 등급의 의료기기에 대해 ‘사용자 적합성 시험’이 필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의료기기 사용자 적합성 시험을 하는 이유는사용자(의사, 환자 등)가 의료기기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안전성 문제에 대한 잠재적인 요인을 찾아내기 위함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치과의료기기’ 사용자 적합성 시험센터가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보건복지부에서 선정한 중개임상시험지원센터가 치과의료기기 사용자 적합성 센터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미국 실리콘 밸리 IAA를 방문한 것이다. IAA는 미국 FDA, 유관기관, 병원 등의 다양한 인프라를 활용해 클라이언트의 의뢰에 맞는 시험 항목을 설정하고 의료기기의 실제 적용 대상인 의사, 환자 등을 대상으로 사용자 적합성 시험을 수행한다. 이종호 센터장은
제18대 대한치과위생사협회(이하 치위협) 회장 선거가 치러질 예정이던 치위협 제37차 정기대의원총회(이하 총회)가 파행으로 끝났다. 이에 따라 이날 개회식 이후 진행될 예정이던 임원선출을 비롯한 2017년도 결산보고, 안건심의 등이 모두 이뤄지지 못 했다. 지난 2월 24일 서울 그랜드힐튼호텔 에메랄드홀에서 열린 치위협 제37차 정기대의원총회는 재적대의원 150명 가운데 118명이 참석해 성원됐다. 하지만 전국 시·도회 가운데 대의원 수가 가장 많은 서울시회 대의원들(24명)은 모두 참석하지못한 상태였다. 이것이 이번 총회가 파행으로 치달은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했다. 이날 서울시회 대의원들이 총회에 소집되지 못한 배경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렇다. 앞서 치위협 중앙회 정기이사회는 지난 1월 27일 치러진 ‘제16대 서울시회 회장 선거 결과 불인정 및 재선거 실시’를 의결한 바 있다. 치위협 중앙회 이사회가 이같이 결정한 이유는 서울시회의 답변서 등을 바탕으로 사실관계를 조사한 결과 ▲대의원 수 배정 및 선출과정 ▲대의원 자격 부여 ▲대의원 선임 ▲선관위 구성 등에서 선거 관련 규정 위반 사실이 드러났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치위협 중앙회는 서울시회가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 총동창회(회장 안창영·이하 서울치대 동창회)가 지난 21일 오후 7시부터 서울대치의학대학원 1층 제1강의실에서 96차 정기총회를 개최했다. 이날 정기총회에서는 2017년도 회무보고·결산보고·감사보고 등이 원안대로 승인됐으며 2018년도 사업계획안과 예산안이 심의·의결됐다. 또 동문상 운영 규정 개정안이 논의돼 통과됐다. 특히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서울치대의 위상을 높이고 동창회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신영균 동문(9회)을 비롯한 오종우 동문(26회), 김재영 동문(31회), 정필훈 동문(33회), 최규옥 동문(45회) 등에게 공로패가 수여됐다. 신영균 동문은 개인 사정으로 이날 행사에 참석하지 못했다. 지난 2002년부터 매년 시상되던 ‘자랑스러운 서울대학교 치과인 동문상’은 올해 추천된 후보가 없어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했다. 이날 안창영 회장은 개회사에서 “제가 동창회장을 맡은 지 1년여 됐다. 그동안 여러 부회장들과 함께 동창회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해왔다”며 “열심히 노력했지만 목표치에 미달한 부분도 있다. 남은 임기 동안 처음 세운 목표를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다시금 초심을 잃지 않고 가겠다는 것을 다짐한다
“(선거에 출마한) 후보 입장이 아닌 중앙회 회장으로서 공정한 선거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는 생각으로 오늘 이 자리를 마련했다. 저는 서울시치과위생사회(이하 서울시회)가 재선거를 치른 후 24명의 대의원을 새로 선출한 상태에서 중앙회 회장 선거가 치러지는 게 맞는다고 생각한다.” 문경숙 대한치과위생사협회(이하 치위협) 회장이 제18대 치위협 회장 선거가 치러지게 될 예정인 제37차 정기대의원총회를 불과 이틀 앞둔 지난 2월 22일(23일 현재)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문 회장은 미리 준비한 담화문을 통해 ‘서울시회 회장 선거’를 둘러싼 치위협 중앙회와 서울시회 사이의 진실 공방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먼저 그는 서울시회 회장 선거가 불공정 선거로 얼룩져 효력이 없다는 점을 분명하게 짚었다. 치위협 정기이사회에서는 제16대 서울시회 회장 선거 불인정 및 재선거를 의결한 바 있다. 문 회장은 담화문에서 서울시회의 선관위 구성과 관련해 “선관위 구성과 임명은 공정성을 갖추기 위해 이사회에서 결정하게 돼 있으나, 회장(오보경 회장)이 후보 등록 후 선관위를 직접 구성하고 이사회에서는 사후 승인을 받는 등 편법적으로 구성됐다”고 지적했다. 또 문
대한턱관절교합학회(회장 이석형·이하 교합학회)가 지난 2월 10일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서울대치의학대학원에서 2018년 18차 인정의 고시를 시행했다고 최근 밝혔다<사진>. 교합학회에 따르면 이번 18차 인정의 고시에는 총 35명이 응시했으며 턱관절교합학 기초 및 임상 지식을 평가하는 1차 필기시험과 2차 구술시험에 응시자 전원이 합격했다. 수석 합격의 영예는 이경호 전공의(강동경희대학교 치과보철과)에게 돌아갔다. 한편 교합학회 인정의에게는 미국 교합학회 AES(American Equilibration Society) 정회원 자격을 취득할 기회가 주어진다.
전신치의학연구회(회장 김성욱·이하 연구회)가 ‘왜 치과의사가 턱관절을 치료해야 할까요?’를 대주제로 한 상반기 Advanced Seminar를 서울 HDX 세미나실(서울 종로구 인사동5길 29 태화빌딩 3층)에서 진행한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회에 따르면 먼저 오는 3월 4일 열리는 특강에선 김성욱 회장과 이풍섭 원장이 ▲턱관절과 연관된 전신의 문제는? ▲두개골과 연관된 턱관절을 주제로 각각 강연한다. 또 3월 18일 열리는 1차 세미나에서는 김성욱 회장과 이풍섭 원장이 ▲턱관절의 진단법 ▲두개골 기능 이상 ▲턱관절의 치료법 ▲경추, 목, 어깨와 턱관절과의 관계 등을 주제로 강연한다. 이어 4월 15일 2차 세미나에서는 김성욱 회장을 비롯한 이풍섭, 박만규, 박인출 원장 등이 ▲턱관절과 족부 치료의 필요성 ▲골반 변형2 ▲Botulinum toxin을 이용한 편두통 두경부 통증치료 ▲TMD를 고려한 보철 & 일본에서의 임상경험을 주제로 각각 강의한다. 끝으로 5월 27일 3차 세미나에서는 김성욱 회장을 포함한 이풍섭, 유춘식, 박만규 원장 등이 ▲턱관절과 스트레스 및 영양치료 ▲골반 변형1, 3 ▲입술폐쇄 부전증 진단과 치료 ▲Botulinum toxi
대한치과위생학회(회장 송경희·이하 치과위생학회)가 오는 3월 11일 서울대치과병원 8층 대강당에서 오후 1시부터 2018년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최근 밝혔다. 치과위생학회에 따르면 이번 학술대회는 ‘치과위생사 직업윤리, 치과 방사선과 치과위생사의 역할’을 대주제로 마련된다. 이날 학술대회에서는 문경숙 대한치과위생사협회장이 ‘치과위생사 직업윤리’를 주제로 강연한다. 또 임재동 교수(대원대 방사선과)가 ‘컴퓨터단층촬영의 이해’를 주제로 컴퓨터단층의 기본원리 등을 강의할 예정이며, 최용석 교수(경희대 치과병원)는 ‘치과용 콘빔형전산화단층영상(CBCT)의 원리’를 주제로 콘빔CT의 개요와 영상획득의 원리 등을 강연한다. 끝으로 허경회 교수(서울대치과병원)가 ‘파노라마 방사선영상에서 눈 여겨 봐야 할 것들’을 주제로 강의할 예정이다. 치과위생학회 측은 “임상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들에게 도움이 되는 다양한 주제의 강연을 마련했으니 회원들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밝혔다. 학술대회 등록은 오는 3월 9일까지 마감이며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또는 치과위생학회 홈페이지(http://www.kadh.or.kr)를 통해 하면 된다. 문의: 010-7510-1944
서울대치의학대학원 치의학교육연수원(연수원장 설양조·이하 치의학교육연수원)이 ‘고급치의학연수과정’을 오는 3월 15일부터 6월 28일까지 총 16주 동안 매주 목요일 서울대치의학대학원 1학년 강의실에서 진행한다고 최근 밝혔다. 치의학교육연수원에 따르면 이번 연수과정은 최신 진단 및 치료기술을 소개하고 국내 치의학 발전과 국민 구강건강 증진에 기여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마련된다. 먼저 3월 15일 이재일 교수의 ‘미래의 치과의사, 미래의 치의학’을 주제로 한 강연을 시작으로 신터전 교수를 비롯한 명훈 교수, 김성훈 교수, 서광석 교수 등이 ▲치과치료를 편안하게 받게 해줄 수 있는 치과진정법의 모든 것 ▲외과 기본술식 실습 ▲고정성 보철 수복의 종류와 수복물 재료의 선택 ▲국소마취 시 전신적 합병증 관리 등을 주제로 강의한다. 또 설양조 교수를 비롯해 김성태 교수, 정신혜 교수, 현홍근 교수, 박영석 교수 등은 ▲진단과 치료계획 ▲간단한 치주수술 ▲레진 시멘트의 사용 ▲치아 외상의 임상적 최신지견 ▲은근히 진료에 도움이 되는 해부학 등을 주제로 각각 강연한다. 이어 손원준 교수를 비롯한 박정현 교수, 곽재영 교수, 허성주 교수, 이양진 교수 등은 ▲Current
㈜쓰리디케이피가 오는 3월 11일(일) 오전 10시부터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607호에서 ‘3DKP 핸즈온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이에 앞서 26일(월) 경북대학교치과대학 복지동 3층 307호 세미나실에서도 열린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번 세미나에서는 개발자인 이강규 원장(분당 우방치과의원)이 3DKP의 개발 과정을 비롯해 사용방법 등을 설명하고 핸즈온 강의를 진행한다. 이 원장에 따르면 3DKP는 치과 교정의라면 누구나 갈망해온 ‘절대 고정원’ 역할을 하도록 구강 내 뼈의 두께와 밀도가 가장 강한 palatal bone에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직접 식립할 수 있는 치아 교정용 앵커리지(anchorage)이다. 이강규 원장은 “3DKP는 기존 TAD의 한계를 극복한 절대 고정원으로 다년간 다양한 증례에서 교정치료 술식의 단순화 및 교정치료 진행 과정을 예측할 수 있게 됐다”며 “지금까지의 개발 과정과 적용된 임상례를 세미나를 통해 여러 교정의 선생님들과 공유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문의: 031-442-0077, 010-3720-2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