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칭)대한치과수면학회(회장 김연중·이하 수면학회) 2017년 추계 학술대회가 지난 11월 26일 서울대치과병원 지하1층 제1강의실에서 열렸다<사진>.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사회적 영향과 치과적 접근’을 대주제로 한 이번 학술대회는 60여 명이 등록하는 등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날 세션1에서는 조정환 교수(서울대치과병원 구강내과)가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다양한 합병증’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 폐쇄성무면무호흡으로 야기되는 다양한 합병증과 그 기전을 살펴보고, 큰 사회적 비용을 치르고 있는 전실질환 환자를 줄이기 위한 폐쇄성수면무호흡증 치료가 갖는 의의를 설명했다. 또 박상권 연구위원(교통안전공단)은 ‘수면과 안전운전’을 주제로 졸음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현황을 살펴본 후 교통사고 감소를 위해 여객 화물 사업용 운전자 등에 대한 수면장애 사전진단과 치료·지원센터 설립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어 이상돈 교수(국군수도병원 정신건강의학과)는 ‘군대 내 수면문제’를 주제로 발표했다. 세션2에서는 정재광 교수(경북치대 구강내과학교실)를 비롯한 이의룡 교수(중앙대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김명립 원장(서울일리노이치과) 등이 ▲폐쇄성수면무호흡증 구강내장치 치료
중앙보훈병원 치과병원(병원장 장영일)이 오는 12월 9일(토) 15시 30분부터 중앙보훈병원 중앙관 지하2층 대강당에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중앙보훈병원 치과병원에 따르면 이번 학술대회는 ‘고수들에게 듣는 치료 노하우’를 대주제로 열린다. 이날 강정경 부장(중앙보훈병원 치과병원 보철과)을 비롯한 노관태 교수(경희치대 보철과), 함병도 원장(카이노스 치과) 등이 ▲Cementation-보철물 잘 붙이기 ▲노인 환자에서의 의치 치료 ▲Biological implant complications, Revisited-Myth, or Truth 등을 주제로 각각 강연한다. 학술대회 참가자에게는 대한치과의사협회 보수교육 2점이 인정된다. 사전등록은 12월 7일까지 마감이다. 문의: 02-2225-1730(최인호)
로덴치과그룹(대표 조영환)이 치과 스탭을 위한 심화 세미나를 최근 개최했다. 로덴 측은 지난 11월 11일 부산 서면 토즈세미나실에서 치과건강보험청구 심화과정 세미나를 개최했다. ‘스탭 레벨업 세미나’는 매년 로덴치과의 직원으로서 기본적인 소양을 높이는 것은 물론 진료와 업무능력의 향상을 위한 주제로 진행돼 왔는데, 올해는 ㈜로덴포유에서 ‘치과 건강보험 청구’를 주제로 기초과정과 심화과정을 구분해 단계적으로 세미나를 진행해 왔다. 11일 열린 ‘스탭 레벨 업 세미나’의 경우 ‘치과 건강보험 청구 심화과정’으로 청구오류와 복잡한 진료과정에서 누락되거나 오류가 있을 수 있는 청구사례에 대해 강의가 이뤄졌고, 교육 참석 전 미리 세미나 참가자들에게 보험청구와 관련한 질의를 수렴해 강의내용에 반영, 세미나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진행됐다. 특히 이번 세미나는 로덴치과에서 보험청구 담당자와 보험청구의 경험이 있는 스탭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해 치과에서 보험청구의 실질적인 개선과 스탭들의 보험청구 업무능력에 깊이를 더할 수 있는 기회였기 때문에 참석자들이 세미나에 끝까지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로덴포유 주효미 과장은 “전반기에는 보험청구의 기초과정에서 고급과정까
서울시 치과위생사회(회장 오보경)가 지난 11월 12일 제5차 보수교육을 서울대치의학대학원에서 회원 5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최근 밝혔다<사진>. 서울시 치과위생사회에 따르면 이날 보수교육에서는 회원 권익증진과 친목 도모를 위한 분회 발족식도 진행됐다. 1년간의 준비과정을 거쳐 강북과 강남 두 지부 발족으로 25개구 분회 결성을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는 평가다. 오보경 회장은 축사를 통해 “회원들이 행복해지고 권리를 찾기 위해서는 참여가 중요하며 소통과 화합을 위해서는 분회 구성이 최우선이다”며 “어려운 여건 속에서 초석이 돼주신 분회장님과 위원들께 감사드린다. 회원들이 분회원으로 참여하셔서 권리를 찾고 안정된 치과위생사의 삶을 살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분회 가입에 대한 사항은 서울시 치과위생사회 사무국(02-714-8212)으로 문의하면 된다.
한국치위생과학회 산하 사회치위생학분과회(회장 윤미숙·이하 분과회)가 지난 10월 28일 서울대치의학대학원 교육동 404호에서 9차 연구세미나 및 토론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분과회에 따르면 이번 세미나는 사회치위생학 학문정립을 위해 ‘사회치위생학 영역 문헌리뷰와 토론’을 주제로 진행됐다. 분과회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사회치위생학 영역의 다양한 문헌을 리뷰하면서 사고를 확장했다. 또 사회치위생 연구와 교육 어젠다를 찾아내고 자유롭게 토론했다”고 밝혔다. 한편 분과회는 오는 12월 2일(토) 오전 10시 을지대학교 성남캠퍼스 범석관 210호에서 치위생학 교수가 지역사회에서 기대하는 요구에 어떻게 부응할 수 있을지를 톺아보고, 최근 보건사업 흐름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구강건강증진사업을 기획·평가하는 워크숍을 연다. 이번 워크숍은 이론과 실습으로 진행되며 11월 27일(월)까지 선착순 40명 마감이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치위생과학회 홈페이지(분과회-사회치위생학)를 참고하면 된다.
한국QI치과위생사회(회장 김선경·이하 QI치과위생사회)가 지난 10월 28일 서울대학교치과병원 8층 B세미나실에서 큐아이(QI) 학술집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QI치과위생사회에 따르면 이번 학술집담회에서는 ‘질 향상(QI)활동 방법의 개요와 적용사례 및 치과의료기관만의 특성이 반영된 질 향상(QI)활동 사례 발표’를 통해 질 향상(QI)활동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지속적인 발전방안을 모색했다. QI치과위생사회 측은 “치과위생사 선생님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학술집담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치과병원에서 질 향상(QI) 활동을 수행하는 치과위생사들에게 큐아이(QI) 교육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치과 진단기기 개발에 필요한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치과 진단 기술의 미래를 모색하는 자리였다. 치과기기 미래진단기술연구회(회장 이종호) 심포지엄이 지난 11일 서울대치의학대학원 1층 강의실에서 성황리에 열렸다<사진>. 이번 심포지엄 세션1(‘구취 측정기의 개발 및 진단 증례’)에서는 최용삼 대표(iSenLab Inc.)를 비롯한 김재두 대표(제이디에스컴퍼니·FIS 공식 한국대리점), 김영수 교수(고대구로병원 치과구취클리닉) 등이 ▲국내·외 구취 측정기 개발 현황과 미래 진단 기술로서 발전 전망 ▲구취 측정기의 해외 현황 ▲생리적 구취진단 증례 등을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또 세션2(‘타액측정기 및 진단기기의 개발 방향’)에서는 후나모토 다케히로(Arkray 포인트오브케어), 장준근 대표(크리액티브헬스) 등이 ▲타액검사기기의 개발 ▲진단기기의 개발 방향을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신상완 신기술치과기기연구회장은 축사를 통해 “이종호 교수님께서 새로운 연구회 만드신 것을 적극 지지하고 축하드린다. 우리나라 의료산업 발전에 실질적으로 큰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면서 “의료서비스에서 진단 영역 비중이 20% 정도 된다. 불행히도 치과의료서비스의 경우 그 비중이
치협이 주최하고 대한공중보건치과의사협의회(회장 김영준·이하 대공협)가 주관한 제11회 공중보건 치과의사 학술보수교육이 지난 10일 코엑스 402호실에서 성황리에 열렸다<사진>. 이번 학술보수교육에서 김현종 치협 국제이사(서울탑치과병원 원장)는 ‘쉽게 안전하게 빼는 발치학’을 주제로 발치 시 주의할 점과 노하우를 강의했다. 또 백장현 교수(경희치대 보철학교실)는 ‘발치 후 성공적인 보철치료: 총의치로부터 디지털임플란트까지’를 주제로 디지털 임플란트를 임상에서 어떻게 응용할 수 있는지 설명했다. 이어 안형준 치협 수련고시이사(연세치대 교수)가 ‘Diagnosis & Treatment of TMD’, 최종훈 교수(연세치대 구강내과학교실)가 ‘치과임상에서 보툴리늄 A형 독소 주사의 응용’을 주제로 각각 강연했다. 김영준 회장은 “대공협은 전국 각지에서 고생하시는 공보의 선생님들께 도움을 드리고자 매년 공보의 진료환경에 맞는 내용으로 학술보수교육을 개최하고 있다”며 “저희의 이런 노력이 선생님들의 역량 강화에 보탬이 돼서 각 지역 구강보건 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임플란트 시술 시 맞닥뜨리는 난제에 대한 해결방법을 함께 고민해보는 자리였다. 대한인공치아골유착학회(회장 정성화·이하 카오) 2017 추계학술대회(대회장 최성호)가 지난 12일 연세대학교 ABMRC 1층 유일한홀에서 성황리에 열렸다<사진>. ‘임플란트 난제의 치주, 외과, 보철적 해결’을 대주제로 한 이번 학술대회는 개원의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내용으로 학술프로그램이 구성됐다는 평가다. # 치주·외과·보철 세션 풍성한 강연 먼저 세션Ⅰ(‘치주적 난제’)에서는 김성태 교수(서울대 치주과)가 ‘치주병 환자를 위한 임플란트 치료 가이드라인’을 주제로 치주병 환자에게 임플란트 치료를 할 때 주의할 점에 대해 강연했다. 또 김영택 교수(일산병원 치주과)는 ‘치주병으로 인한 심한 골격손부의 극복-PartⅠ수평적 골격손보의 극복’을 주제로 ‘Ridge splitting, ridge expansion’, ‘골유도재생술(guided bone regeneration)’ 등 수평적 골격손부(horizontal bone defect)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 대해 발표했다. ‘치주병으로 인한 심한 골격손부의 극복-PartⅡ 수직적 골결손부의 극복’을 주제
개원의들이 임상 현장에서 맞닥뜨리는 ‘치과 보존학’ 관련 문제에 대해 임상 고수들이 노하우를 전하는 학술대회였다. 대한치과보존학회(회장 조병훈·이하 보존학회) 2017년 추계학술대회가 지난 11~12일 양일간 연세대학교 백양로플라자 그랜드볼룸에서 7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열렸다. 이번 학술대회 첫째 날에는 Lorenzo Breschi 교수를 비롯한 이우철 교수(서울대), 김선재 교수(연세대), 민경만 원장(메이치과) 등이 ▲How to achieve a stable bond: from research to clinic ▲Save or extract? Endodontic perspective ▲Save or extract? Periodontal perspective-My Clinical Guidelines for Tooth Extraction을 주제로 각각 특강을 했다. 이날 강연이 모두 끝난 뒤에는 연구발표와 Bisco 학생 임상 경연이 열렸다. 둘째 날에는 민경산 교수(전북대)가 ‘근관치료시 CBCT 촬영에 대한 치과보존학회의 position statement’를 주제로 발표했다. 또 최성백 원장(파스텔 치과)을 비롯한 라성호 원장(서울미소치과
(가칭)대한치과감염학회(회장 김수관·이하 치과감염학회)가 2017 추계학술대회를 오는 25일(토) 오후 1시부터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6층 합동강의실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치과감염학회에 따르면 이번 추계학술대회는 ‘인체와 미생물과의 크로스퍼틸라이제이션(Cross Fertilization between Human Body and Microorganisms)’를 대주제로 마련된다. 이날 학술 강연에서는 윤나라 교수(조선대 감염내과)를 비롯한 유재식 교수(조선대 구강악안면외과), 안세연 교수(동남보건대 치위생과) 등이 ▲What is Antibiotics? ▲진료실에서의 감염관리 ▲마음속부터 우러나오는 감염관리 등을 주제로 각각 강연한다. 특히 이날 학술 강연이 끝난 뒤에는 치과감염학회 이사회 및 워크숍이 이어질 예정이다. 문의: 010-7290-2875, 062-220-3814(유재식 교수)
(가칭)대한치과수면학회(회장 김연중·이하 치과수면학회)가 2017 추계학술대회를 오는 26일(일) 12시부터 서울대치과병원 지하1층 제1강의실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치과수면학회에 따르면 이번 추계학술대회는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사회적 영향과 치과적 접근’(Social Influence of OSA – the Dental Approach)을 주제로 마련된다. 이날 학술 강연에서는 조정환 교수(서울대치과병원 구강내과)를 비롯한 박상권 연구위원(교통안전공단), 이상돈 교수(국군수도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등이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다양한 합병증 Comorbidities of OSA ▲수면과 안전운전 Sleep and safe driving ▲군대 내 수면문제 Military service and sleep problems 등을 주제로 각각 강연한다. 또 정재광 교수(경북치대 구강내과)를 비롯한 이의룡 교수(중앙대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김명립 원장(서울일리노이치과) 등이 ▲폐쇄성수면무호흡증 구강내장치 치료의 전신적 영향 Systemic effect of intraoral appliance treatment for OSA ▲폐쇄성수면무호흡증 수술적 치료의 전신적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