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티움의 상악동 거상술 관련 제품에 중국 치과의사들이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덴티움이 지난 9일과 12일 연이어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서 각각 개최한 ‘Sinus Simple’ 핸즈온 세미나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시안에서 열린 세미나에는 중국 내 현지 학회와 협업해 중국 공립병원 치과의사 60명을 포함해 상해, 광저우, 베이징 등의 중국 치과의사 175명이 참석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임상철 원장(웰치과)이 상악동 임플란트 이론 강연과 DASK Simple을 활용한 Bicortical fixation, Crestal·Lateral approach Hands-on, 상악동 수술의 Complication 해결 방안 등에 대해 강연하며 실용적이고 쉬운 상악동 수술 노하우를 전수했다. 참가자들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상악동 막을 천공 없이 안전하게 거상하며, 거상된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자가골이 모이게끔 고안된 DASK Simple의 ‘Compaction Drill’을 직접 사용해볼 수 있었다. 실제 실습 시 자가골 칩이 상악동 쪽으로 밀려 올라가는 것을 체험할 수 있어 큰 호응을 얻었다는 후문이다. 쑤저우에서 열린 세미나에서는 136명의 중국 치과의사들을 대상으로 정
원광치대 동문 및 전북지역 개원의들이 봄기운이 감도는 익산에 모여 최신의 학술강연과 내실 있는 기자재 전시를 즐겼다. 2024 원광치대 종합학술대회가 지난 10일, 치대 제2치학관에서 개최됐다. ‘Moving to Success 다학제적 관점에서의 치료전략’을 대주제로 다양한 임상강연이 마련된 이날 학술대회는 1000여 명이 등록해 성황을 이뤘다. 강의의 포문은 윤리강연으로 구수환 이사장(이태석재단)이 ‘의사 윤리와 이태석 신부’를 주제로 아프리카의 참혹한 전쟁터 작은 움막에서 하루 300명씩 몰려드는 환자들을 진료하는 삶을 살다 48세의 짧은 생을 마감한 의사 출신 사제 이태석 신부의 삶을 소개했다. 구수환 이사장은 “인간의 소중한 생명을 살리는 의사윤리를 말이 아닌 행동으로 실천한 분이 이태석 신부다. 의료인, 나아가 국가의 리더들이 꼭 본받아야 할 분”이라고 강의했다. 이 외에도 허영구 대표(네오바이오텍)의 ‘신개념 임플란트 보철: Screw-Free Detachable Prostheses’, 이정삼 원장의 ‘골폭이 좁은 증례에서 유용한 one-piece 임플란트’, 엄상호 원장의 ‘디지털 덴티스트리, 이제는 나사 유지형 임플란트 보철의 전성기’, 김현
기존 합성골의 HA나 β-TCP와 달리 체내 골로 쉽게 변환 되는 OCP(Octacalcium Phosphate) 이식재를 활용한 GBR 노하우를 알려주는 세미나가 부산을 찾아간다. 휴덴스바이오가 마련한 ‘정상급 연자들과 함께 하는 골 만들기 좋은 시간, 골든타임 인 부산’ 세미나가 오는 23일(토), 오후 4시부터 부산 벡스코 컨벤션홀 1층 104~105호에서 개최된다. 이 세미나에서는 인체 뼈의 무기성분인 하이드록시아파타이드(HA)의 전구체로 알려진 OCP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합성골 이식재를 다양한 임상 케이스에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유명 연자들이 나서 강의한다. 박정철 원장(효치과의원)이 ‘골~라 쓰는 골이식재’, 박병규 원장(서울필치과의원)이 ‘심한 골소실 발치와의 극복’, 이원표 교수(조선치대 치주과)가 ‘높이뛰기(수직적 골증대)’를 주제로 강의한다. 세미나를 주관한 휴덴스바이오는 OCP 다량 함유 골이식재 ‘Bontree’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Bontree는 골재생능을 동종골 수준으로 향상시킨 제품으로 수직적 치조제 증대술에서 좋은 결과를 보이며, 특히 조작성이 뛰어난 것이 장점이다. 특히, Bontree는 가이스트리히코리아가 국내
3차원 CBCT 영상 자동분석 프로그램을 접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 더불어 투명교정 장치의 대세가 될 ‘Direct printed aligner’에 대해서도 공부해 볼 수 있다. 중앙대학교광명병원이 주최하는 ‘AICiTi(아이씨티) 프로그램’ 론칭 세미나가 오는 5월 18일(토), 오후 2시부터 코엑스 컨퍼런스룸 327호에서 열린다. AICiTi 프로그램은 안장훈 교수(중앙대학교광명병원 치과교정과)의 교정 진단법 ‘Natural head position’ 이론을 바탕으로 AI기술을 적용해 개발한 3차원 CBCT 영상 자동분석 소프트웨어다. 안 교수는 3차원 CBCT 자동분석 프로그램 개발을 목표로 지난 2021년 4월 ‘㈜아인사이트’란 업체를 설립했으며, AICiTi 프로그램을 오는 5월 중 론칭할 계획이다. 강연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자 윤종헌 교수(한양대 기계공학과)가 ‘AICiTi: Smart AI solution for diagnosis and 3D measurements of tooth arrangement’를 주제로 강의하며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한다. 이어 최정호 원장이 ‘CBCT essentials for orthodontists’를
교정 치료를 위해 촬영한 3차원 CBCT 영상을 인공지능을 통해 신속 정확하게 분석,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을 위한 지표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개발됐다. ‘(주)아인사이트(AInsight inc.)’가 3차원 CBCT 자동 분석 AI 프로그램 ‘AICiTi(아이씨티)’를 개발해 5월 초 론칭 예정이다. ㈜아인사이트는 개원가에 교정 진단의 기준을 제시해 온 안장훈 대표(중앙대학교광명병원 치과교정과 교수)가 지난 2021년 4월에 설립한 회사다. 3차원 CBCT 자동분석 프로그램 개발을 목표로 윤종헌 한양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와 손잡고 소프트웨어 개발에 매진했다. 그렇게 개발된 AICiTi 프로그램 계측수치의 정확도 측정을 위해 교정 전문의 3명의 교정진단 계측수치와의 비교 논문을 2022년 9월 IF 7.8의 저널 ‘Computer Methods and Programs in Biomedicine’에 게재했다. AICiTi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촬영한 CBCT 데이터를 해당 홈페이지 클라우드에 업로드하면 영상을 렌더링 해 원하는 계측 항목을 30초 내 보여준다. 사용자는 이를 보고 진단,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기존 세팔로(Ceph), 엑스레이 영상을 수작업
원광대학교의 ‘제생의세’ 정신을 가슴에 품은 새내기 치과의사들이 사회에 첫발을 내딛었다. 원광치대 2023학년도 학위수여식이 지난 2월 20일 제2치학관 1층 손외수홀에서 개최됐다. 40회 졸업생 83명을 배출한 이날 졸업식에는 이유미 원광치대 학장과 박태근 협회장, 임현대 원광대학교치과병원 진료부장, 양춘호 원광치대 총동창회장, 박수진 대한여자치과의사회 정보통신이사 등 내·외빈이 참석해 졸업생들을 축하했다. 이날 시상식에서는 학장상에 김정남·황은규, 협회장상에 호주현, 대한여자치과의사회 미래여성인재상에 이미리, 동창회장상에 송성훈 졸업생 등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유미 학장은 “여러분의 꿈을 향해 가는 첫 걸음을 내딛는 순간을 진심으로 축하한다. 치과의사는 단순한 기술자가 될 수도, 진정한 의사가 될 수도 있다. 그 선택은 이제 여러분의 몫”이라며 “인간의 삶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만드는 중요한 힘을 지니고 묵묵히 걸어가야 한다. 어려움이 있더라도 이겨내고 자신의 길을 확고히 걷기를 응원한다. 안주하거나 머무르지 말고 최고의 전문성을 갖고, 환자와 소통하며 진정한 의료를 향해 나가라. 여러분이 속한 사회를 아름답게 만드는 존경받는 치과의사가 되길 바란다”
전주의 문화·예술 속에서 글로벌 리더로서의 자질을 갖춘 새내기 치과의사들이 사회로 나가는 힘찬 출발을 알렸다. 전북치대 2023학년도 학위수여식이 지난 2월 22일 치대 본관 4층 아원홀에서 개최됐다. 총 56명의 졸업생이 배출된 이날 행사에는 유미경 전북치대 학장과 박태근 협회장, 김현철 원광치대 총동창회장, 최정희 대한여자치과의사회 전북지부 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시상식에서는 총장상에 안유진, 학장상에 김 진, 협회장상에 김세민, 대한여자치과의사회 미래여성인재상에 권민지, 동창회장상에 정유라, 공로상에 김현수 졸업생 등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유미경 학장은 “6년 동안 성실히 치대 교육과정을 잘 마무리하고, 치과의사 국가고시 100% 합격이라는 쾌거를 이뤄낸 졸업생들이 자랑스럽다. 치대시절 같이 기뻐하고 걱정하고 고민했던 많은 추억을 소중히 간직하고 영원한 전북치대 동문임을 가슴에 깊이 새기며 살길 바란다”며 “우리 동문 치과의사들이 각지에서 성공적 삶을 사는 것은 우리대학의 일대일 맞춤형의 내실 있는 교육제도와 글로벌 리더로서의 자질을 함양시켰기 때문이라 자부한다. 학교와 동문 선배들로부터 받은 것을 후배들에게 베풀며, 따뜻하고 실력 있는, 환자로
보건복지부는 ‘의료법 제45조의2’에 근거해 2023년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대상으로 실시한 비급여 보고제도를 금년부터 의원급 이상 모든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비급여 보고제도는 ‘의료법 제45조의2 및 동법 시행규칙 제42조의3, 비급여 진료비용 등의 보고 및 공개에 관한 기준’에 따라 의료기관이 비급여 진료비용과 제증명수수료의 항목, 기준, 금액 및 진료내역 등에 대해 의무적으로 보고하는 제도를 말한다. 2024년 보고대상이 되는 비급여 항목은 총 1,068개로, 기존 2023년 보고항목 594개 외 이용빈도·진료비 규모 등을 고려해 선별된 비급여 항목(행위·치료재료, 약제, 영양주사, 예방접종, 교정술, 첩약 등)이 포함됐다. 치과는 인·온레이, 광중합형 복합레진 충전, 치석제거, 치과임플란트, 치과교정 등 148개 항목이며, 치료재료에 인체조직유래 2차 가공뼈, MTA, 지혈제 등이 포함된다. 치료재료의 경우 보고 대상 항목에 포함된 제품만 보고하면 된다. 의료기관의 장은 각 비급여 보고항목별 단가, 빈도, 상병명, 주수술명 등을 보고해야 하며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은 연 2회(3, 9월분 진료내역), 의원급 의료기관은 연 1회(3월분
최근 국회를 통과한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지역사회 통합돌봄법)’과 관련 고홍섭 고령사회 치과의료포럼 대표(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내과 교수)가 “방문치과진료 및 방문구강관리를 위한 법적인 근거가 확보됐다”며 지난 5일 환영 논평을 냈다. 고홍섭 대표는 “고령사회 치과의료포럼은 지역사회 통합돌봄법의 제정과 이 법에 방문구강관리를 포함한 것을 환영한다. 앞으로 이어질 시행령 제정을 통해 일상생활 유지에 어려움이 있는 노인과 장애인 등의 구강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예방적인 치료와 관리를 제공해 구강건강이 향상되길 바란다”며 “치과계가 중요한 파트너로서 다양한 전문 인력과 협력을 통해 방문구강관리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게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지난 2월 29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지역사회 통합돌봄법은 그동안 개별적으로 제공해 오던 보건의료, 장기요양, 일상생활돌봄 등의 지원을 대상자 중심으로 지역에서 통합 연계·제공하는 절차를 규정하고 있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통합돌봄 대상자가 살던 곳에서 건강하고 자립적인 생활을 유지하게 하기 위해 필요와 욕구에 맞춰 생애 말기까지 돌봄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기본
일반 개원의로서 쉽고 간단한 부분교정, 일반적인 교정치료를 진행하는데 있어 보다 정확한 진단 기준과 치료법을 정리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 최용현 교수(건국대학교 치과교정과)가 진행하는 ‘제22회 STM 교정 아카데미 베이직코스 & 온라인강좌(www.dentipia.com)’가 오는 23일 강변 STM치과의원에서 첫 강의를 시작으로 7월 13일 마지막 강의까지 총 12회에 걸친 교육과정을 진행한다. 이 연수회는 일반의로서 가능한 부분과 전문가가 해야 할 부분을 확실하게 분류해 주며, 원론적이고 이론적인 부분보다 일반의로서 가능한 한도 내에서 실제로 사용 가능한 부분들을 SWA를 통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세미나 코스다. 구체적인 강의내용은 ▲Case 분석 및 치료방법 선택법 ▲SWA치료법의 특징 및 사용법 ▲Bracket positioning & leveling ▲치아이동의 기본원리 및 Biomechanics ▲Leveling & Alignment법 ▲발치 및 비발치교정의 특성 및 치료법 ▲Finishing, Debonding, Retention ▲Wire 선택법, Rectangular wire 사용법(토오크 &
턱관절 장애(TMJD)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는 세미나가 마련됐다. 제6차 한국전신치과 교정연구회(Korean Academy of Holistic Orthodontics·이하 KAHO) 세미나가 오는 23~24일 양일에 걸쳐 면목동 유일치과 세미나실(서울 중랑구 면목로299)에서 개최된다. The Paradigm Shift of TMJ Disorders and Its Dx’ & Tx’를 대주제로 한 이번 세미나에서는 23일 Dr. Kamyar Hedayat이 ‘Medicine of Endobiogeny and Craniofacial Connection’을 주제로 강의한다. Dr. Kamyar Hedayat은 Endobiogeny and integrative medicine의 미국 학회장으로, 이번 강의에서는 Hormone, Nervous system 등이 TMJD, Bruxism, Clenching, Orofacial pain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강의한다. 또 모든 치과의사들이 알아야 하는 불안장애, 공황장애에 대한 사항도 강의할 예정이다. 24일에는 Dr. Mona moy가 ‘TMJD 치료에 활용되는 ALF Treatment’를 주제로
덴티움이 지난 3월 2일 중국 광저우에서 ‘DSC(Dental South China) 2024 Pre-congress’를 개최했다. 이어 ‘제29회 DSC 2024’에 참가해 덴티움 만의 Digital Minimalism 컨셉을 소개해 토탈 디지털 덴티스트리 선두주자의 입지를 다시 한번 공고히 했다. ‘Digital Minimalism’을 주제로 한 Pre-congress에는 중국 치과의사 525명이 참석했으며, 중국공립병원의 연자진과 정성민 원장(덴티움치과), 한승민 원장(서울이촌치과), 백장현 교수(경희대학교치과병원) 등 양국의 핵심 연자 5인이 참여했다. 정성민 원장은 ‘Digital Minimalism’을 주제로 수많은 디지털 관련 정보와 장비들로 인해 혼란스러운 디지털 덴티스트리에 정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Bite Tray impression Scan(이하 B.T.S)과 bright CT, 3-Layer block을 이용한 Daily Practical의 중요성을 소개했다. 특히 B.T.S의 경우 Intra Oral Scanner보다 최소한의 투자로 매우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기존의 Bite tray im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