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에볼라 바이러스 같은 제1급 법정 전염병으로 지정되었던 2020년 12월 중순, 60대 남자 환자가 하악 정중부와 양측 과두 골절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환자는 구강 내 다발성 열상으로 인한 구강 내 출혈과 양측 외이도 출혈, 치아파절과 충치로 인한 다수 잔존 치근이 관찰되었다. 환자는 발열, 호흡기 증상, 인후통, 근육통 등의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코로나19 “감염자” 또는 “감염의심자”로 분류되지 않았다. 응급진료 원칙에 따라 PCR 검사하기 전에 우선 응급처치를 하도록 구강악안면외과로 의뢰되었다. 당직 전공의는 구강 내 출혈부를 봉합하고 골절에 대한 악간 고정과 핸드피스를 이용한 잔존 치근을 발치하였다. 불행하게도, 다음날 병동 이송 직후에 확인된 PCR 검사 결과, 그 환자는 코로나19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무증상 코로나19 감염자였던 것이다. 해당 환자와 그 환자의 병실에 있었던 입원환자들도 모두 격리병실로 이송되었다. 그 환자의 진료에 관여하였던 응급의학과·이비인후과·우리 과 전공의, 응급의학과·외상 센터·병동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총 33명의 의료진이 무증상 감염자에 대한 밀접접촉자로 분류되어 2주간 자가격리
‘지식의 저주’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저는 위즈덤 하우스에서 출간된 <모든 관계는 말투에서 시작된다>(김범준 저)라는 책을 통해서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책의 가장 말미에 다섯 번째 ‘좋은 말투의 법칙’으로 ‘지식의 저주’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 책 말고도 다른 곳에서도 ‘지식의 저주’에 대한 내용 소개는 많습니다. 내가 알면 남도 알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틀렸다는 사실, 이것이 ‘지식의 저주’라고 합니다. 흔히 미국 심리학자 엘리자베스 뉴턴의 실험을 예로 들어 설명합니다. 한 사람은 테이블을 두드리는데, 누구든 들으면 알만한 노래를 머리 속에서 생각하며 그 노래의 박자에 맞춰 테이블을 두드립니다. 예를 들면 ‘학교 종이 땡땡땡..’ 이런 노래를 상정해 테이블을 두드리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은 그 테이블 두드리는 소리를 듣고, 그 노래가 어떤 노래일지 알아 맞춰야 합니다. 두드리는 사람은 듣는 사람이 대략 50% 정도는 맞출 수 있을 것이라 예상했지만, 실제로 듣는 사람은 겨우 2.5% 맞췄을 뿐이라고 합니다. 즉, 모두 120곡으로 실험을 했는데, 고작 3곡을 맞췄다고 합니다. 이것이 바로 ‘지식의 저주’ 실험입니다. 교사는 자신이 알
■ 2024년 1월 22일 이후 세미나 일정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보기 가능합니다.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 PDF 첨부파일을 클릭하세요.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보기 가능합니다.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 PDF 첨부파일을 클릭하세요. 지 혁 원장 ·전주 미소아름치과 원장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전북대학교 교정과 수련 및 석사/박사 ·전북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 외래교수 ·아주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 외래교수 ·인비절라인 faculty ·‘최신 디지털 교정학’ 공동 저자
새로운 무엇인가를 도모하게 하는 힘은 어디에서 나올까요? 생존을 위한 본능적인 혹은 반사적인 행동을 하는 생명체들과는 달리, 우리들 사람이란 존재 속에는 새로움을 향한 변화에 대한 갈망과 그 변화를 기꺼이 수용하겠다는 자기 의지가 내재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잘 계획된 일이라도 막상 시작이 어려운 것은 왜일까요? 지난 시절 이룬 것들을 잃거나 빼앗기게 되고, 애써 얻은 평정마저 혼란에 빠질 수도 있지 않겠냐는 두려움과 미련이 주저함이란 발목잡기로 나타나기 때문일 것입니다. 시간과 인간관계라는 두 가지 복합적인 요인이 일으키는 다양한 주변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애초 세웠던 계획이 굴절되고 왜곡되기도 하면서, 제대로 성취를 이루기가 어렵게 되는 경우도 비일비재합니다. 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보기 가능합니다. 기존 질서에 반하고, 이전에 없었던 새로움을 창조하려는 강렬한 욕구가 유전자로 깊게 각인된 우리 인간종의 존재 가치를 믿습니다. 의지력이 강한 당신은 충분히 그리고 만족스럽게, 유효한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이미 이루어보고 이긴 경험이 있으니, 시간과 인간관계들이 만드는 여러 걸림돌을 오히려 기회와 계기와 인연으로 바꾸면
새해 벽두부터 치과계는 오랜 숙원이 이뤄진 기쁨을 만끽하고 있다. 치의학과 관련된 모든 연구를 할 수 있는 국립치의학연구원을 설립할 수 있는 법안이 3만여 회원들의 염원을 담아 지난해 12월 28일 국회를 통과 한 것이다. 국립치의학연구원은 그간 여러 집행부를 거쳐오면서 국회와 정부를 오가며 그 필요성을 역설해 왔으나 아쉽게도 매번 성사되지 못했다. 2012년 관련 법안이 발의되었으나 국회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가 11년 만에 드디어 통과된 것이다. 다소 늦은 감은 있으나 치과계로서는 매우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박태근 집행부의 노고에 경의를 표하고 싶다. 이렇듯이 모든 일은 한순간에 되는 법이 없다. 때로는 수십 년이 지나도 이뤄지지 않는 일도 있다. 과거 구강보건전담부서가 1975년 폐지된 이후 보건복지부 내에 다시 부활시킨 것은 22년이 지난 1997년 11월이었다. 매 집행부마다 매년 대의원총회 때마다 구강보건전담부서 부활을 최우선 과제로 선정했으나 이뤄지지 않다가 20여년 만에 이뤄진 것이다. 그러나 이마저도 2007년경 다시 단독 전담부서가 없어지고 다른 과와 통합되어 구강생활건강과로 변질됐다가 10여년 만인 2018년 구강정책과로 구강전
치조제보존술 시행 시 협측골 결손부가 존재할 때 Collagen matrix가 차폐막 보다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김성태·조영단 교수(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주과) 연구팀의 ‘Effectiveness of a collagen matrix seal and xenograft in alveolar ridge preservation: an experimental study in dogs’란 제목의 논문이 저널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이 저널은 Nature 자매지로 평가 받는다. 앞선 연구에서는 발치 후 협측골 결손부가 존재하는 발치와에 치조제보존술을 시행하면서 골이식과 함께 협측에 차폐막을 적용하는 것이 치조제 형태 유지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들이 있다. 골이식재와 함께 협측에 차폐막을 적용함으로써 발치와가 연조직으로 차는 것을 막아 신생골이 원활히 형성되고, 전반적인 치조제의 contour의 위축을 막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김성태·조영단 교수는 발치 후 협측골 결손부가 존재하는 발치와에 치조제 보존술을 시행하면서 골이식과 함께 협측에 Collagen matrix(제노스의 Collagen Graft 2)
단국치대 연구진이 전자기력에 의한 줄기세포 분화조절 관련 기전을 해외 저널에 발표해 화제다. 단국치대 MRC연구센터(메카노바이올로지 치의학연구센터)는 김해원·이정환 교수 연구진(재생치의학 및 치과생체재료학 교실)이 SCI급 저명 저널인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IF 19)’에 Inside Cover 논문으로 연구결과를 게재하는 쾌거를 올렸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진은 지난해 12월 말 융복합 분야(MATERIALS SCIENCE, MULTIDISCIPLINARY)의 상위 5% 저널인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Inside Cover 논문으로 연구결과를 게재했다.(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adfm.202370308) 이는 단국치대 연구팀이 2021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선도연구센터 의약학분야(Medical Research Center - MRC)에 선정된 후 이뤄낸 주요 성과 중 하나이며, 단국치대 MRC에서 수행하는 연구 주제인 ‘메카노바이올로지(기계생물학)’를 골자로 연구를 진행한 주요 결과물이다. 메카노바이올로지는 세포 간, 또 세포-기질 간의
치대 정시 경쟁률이 지난 3년간 지속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2024학년도 경쟁률이 5.2대 1을 기록했다. 종로학원을 통해 ‘최근 3년간 치의예과 정시 경쟁률’을 확인해본 결과 2024학년도 치대 정시에는 모집 인원 287명에 총 1494명이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경쟁률을 살펴보면 2022학년도에는 299명 모집에 1939명이 지원해 6.5대 1의 경쟁률을 보였으며 2023학년도에는 275명 모집에 1621명이 지원해 5.9대 1을 기록했다. 특히 이를 서울권과 비수도권으로 분석해본 결과 서울권의 경우 모집 인원·지원자 수가 지속 상승한 데 비해, 비수도권의 경우에는 지원자 수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2022년 당시 서울권 치대 정시 모집 인원은 69명, 2023학년도에는 78명이었으며 이번 학년도에는 82명으로 늘었다. 비수도권의 경우 지난 학년도에서는 230명에서 197명으로 소폭 감소했지만, 이번 학년도에 205명으로 재증원됐다. 지원자 수의 경우 서울권이 310명, 318명, 374명으로 점차 늘어났으며, 비수도권의 경우 1629명, 1303명, 1120명으로 줄었다. 이번 정시 경쟁률 역시 서울권의 경우에는 4.6대 1
수도권 대학 입시 준비생 10명 중 4명이 치과위생사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진학을 고려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이들 중 약 6.2%는 직업의 존재조차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온·오프라인 정보수집 경로에 따른 치과위생사 이미지 : 대입 준비생을 중심으로(이경진 외 6인)’를 제호로 대한치과위생학회지 최근 호에 발표됐다. 연구팀이 수도권 대입준비생 30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입준비생 중 약 6.2%(19명)는 이번 설문을 통해 치과위생사란 직업을 처음 접했다고 응답했다. 또한 전체 약 67.8%는 치위생(학)과에 ‘비진학(207명)’을 선택했다. 이들이 비진학을 선택한 가장 주된 이유는 ‘흥미가 없고 적성에 맞지 않는다(45.5%)’였다. 또 ‘직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40.6%)’가 뒤를 이었으며, ‘직업의 보수가 낮다(9.7%)’, ‘직업의 사회적 인식이 좋지 않다(1.4%)’ 등의 순을 보였다. 아울러 이번 설문에서 연구팀은 대입준비생의 치과위생사 직업 정보 습득 경로도 조사했다. 그 결과, 대입준비생의 약 87.8%가 온라인을 통해 정보를 획득한다고 답했다. 아울러 치과
치아 외과적 정출술이 비급여로 신설됐다. 이로써 전치부 등 심미적 활용성이 다소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은 지난 4일 ‘치아 외과적 정출술(1치당)’을 신설하고 1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공지했다. ‘치아 외과적 정출술’은 치아를 인위적으로 탈구시켜 보철 수복이 가능한 위치로 정출시킨 뒤 고정하는 기술로, 지난 2022년 8월 신의료기술로 등재된 바 있다. 치관연장술의 일종인 치아 외과적 정출술은 치주 조직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전치부 등 심미적인 측면에서 활용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아 외과적 정출술은 제4절 치주질환 수술 중 초-113 심미적 치관형성술란 다음에 신설됐다. 분류번호는 초-114, 코드는 UZ114다. 이에 관해 김수진 치협 보험이사는 “치아 외과적 정출술은 심미적인 측면에서 활용되는 기술로 이번 비급여 신설에 따라, 개별 치과에서는 원활히 술식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의료계와 정부 모두 보여주기식이 아닌 진정성을 갖고 밤을 새워서라도 충분한 논의와 합의를 통해 문제를 풀어나가야 한다.” 2024년 새해를 맞이해,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와 대한병원협회(이하 병협)가 지난 4일 의협 회관에서 의료계 신년하례회를 열었다. 이날 행사는 여·야 국회의원과 정부 관계자 등 내빈이 다수 참석한 가운데 이뤄졌다. 특히 이 자리에서 양 단체는 정부와 의료계의 진정성 있는 논의의 장을 열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의협은 의대 정원 확대와 관련해, 합리적 자세로 의료계와 정부가 협상을 나눠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필수의료 지원 및 육성법, 의료분쟁특례법 등의 제정을 촉구했다. 이필수 의협 회장은 “의대 정원 증원은 정치적 논리나 인기영합적 접근이 아닌,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의협은 유연하고 합리적인 자세로 협상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병협은 의료인력 수급 불균형, 의료 현장 과잉 경쟁, 의료기관 안전 문제 등을 지적했다. 윤동섭 병협 회장은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라며 “의료계와 정부는 적정 수가 산정을 위한 노력과 함께 의사 인력 수급 불균형 해소, 의료협력 체계 구축을 위해 심도 있는 논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