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티스는 지난 7월 24일 출시한 유니트체어 ‘루비스체어’가 출시 한 달 만에 설치 30대를 돌파하는 등 일선 개원가에서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고 최근 밝혔다. 덴티스의 루비스체어는 우수한 기술력, 술자의 편의성, 환자의 편안함 그리고 안전성을 고려한 유니트체어로 출시 전부터 사전예약을 통해 구매 문의가 쇄도한 바 있다. ‘서대구오늘치과’에서 1호 설치를 시작으로 출시 한 달 만에 30대를 설치하며 그 인기를 실감하고 있다. ‘루비스 체어’는 C클래스, S클래스, E클래스 총 3가지 타입으로 구분되며, 각각 진료실‧수술실‧예진실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먼저 C클래스는 ‘Clinic(진료)’를 위한 모델로 하이브리드 광학설계로 제작된 진료등 ‘LUVIS C700’이 기본 옵션으로 장착돼 일반적인 진료실에 적합한 모델이다. S클래스는 ‘Surgery(수술)’의 이니셜로 ‘LUVIS C700’과 함께 수술등 ‘LUVIS S300’이 기본 옵션으로 장착돼 있다. 마지막으로 E클래스는 ‘Examination(검사)’의 이니셜로, ‘LUVIS C500 camera’가 장착돼 진료 과정을 Full HD급으로 녹화가 가능한 모델이다. 영상 기록이 가능한 만큼, 진료실
치조제보존술에 따른 임상 증례는 물론, 최신 경향까지 다루는 특별 강연이 찾아온다. 대한나래출판사는 ‘치조제보존술과 Open Healing iGBR–ESM의 새로운 시작’(이하 iGBR™) 출판기념 특별강연을 오는 9월 17일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7층에서 개최한다. 이날 출판기념 특별강연에는 구기태, 김정주, 김정훈, 박정철, 임현창 등 iGBR™의 저자가 직접 연자로 나서 강의한다. 오프닝으로 ‘ARP야 iGBR™이야? 이거 왜 하나?’ 주제를 시작으로 ▲발치와는 어떻게 분류하고 iGBR™ 어떻게 하나? ▲ARP 할지 IMMEDIATE할지, 뭐가 다른지 알려주세요(녹화강의) ▲ARP하면 개원가에서 뭐가 좋은데? ▲iGBR™ 후 식립은 어쩌죠? 식립 & 절개의 정석 등 다분야를 주제로 강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iGBR™은 iGBR에 관한 술식과 최신 경향을 담아낸 지침서다. 서평에 따르면 iGBR과 ESM은 같은 술식이며, iGBR은 시대적 흐름과 급변하는 트렌드에 맞춰 새롭게 탄생한 용어다. 이에 맞춰 저자는 치조제보존술 개념부터 감염발치와의 분류, 치료 방법, 개방형 치유(Open healing), 봉합 방법, 수술 타이밍, 그리고 eGBR(e
치과종사자들의 일상 속 스트레스 해결법을 명쾌하게 담아낸 ‘힐링 콘서트’가 성황리 막을 내렸다. 그간 코로나블루와 함께 지친 몸과 마음으로 치과진료실에서 많이 힘들어 했던 치과종사자들에게 오프라인으로 전문가들의 명쾌한 조언을 전하는 자리였다. 대한심신치의학회는 지난 20일 서울 종로구 세종마을 푸르메센터에서 ‘치과종사자의 스트레스 관리(집단심리상담과 NLP)’를 주제로 ‘3회 학술대회 및 집단심리상담 경험’을 개최했다. 이날 현장에는 다수 참가자들이 모여 일상 속 고민을 이야기하는 한편, 다수 강의를 통해 자신의 내면을 살펴보거나 불안과 우울, 공황 등 여러 부정적인 감정의 관한 개념과 해결법을 배웠다. 이번 학술대회는 크게 ‘마음건강힐링 토크콘서트’와 치과질환의 근본적 원인으로 꼽는 스트레스, 마음챙김 긍정심리 훈련, NLP 치료기법 등을 다뤘다. 이날 강의에서 치과 종사자들은 각 조별로 나뉜 후, 연자들의 설명에 따라 각 일상 속 스트레스 또는 고민들을 이야기하며 상담을 통해 이를 해소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오전에 진행된 집단심리상담에서는 12분의 치과의사들이 각자 간단한 자기소개는 물론, 본인이 생각하는 상담의 목적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다. 이후 스
덴티스는 오는 9월 16~17일 양일간 김포 메이필드 호텔에서 ‘DWS 2023 SEOUL’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 주제는 ‘The Private - 임플란트 합병증 처치 노하우’로 진행되며, 저명한 연자 13인의 임상적 경험을 토대로 한 고견을 듣는 자리가 마련된다. 우선 첫날 9월 16일(토)에는 글로벌 참가자 전용 세션으로 워크샵(Workshop)이 열린다. 이날 4명의 연자가 각 2개의 강연, 2개의 핸즈온을 진행한다. 첫 강연은 Dr. Edward J. Mills가 ‘The Art and Science of Regenerative Oral Rehabilitation’을 주제로 강연을 펼친다. 또 전인성 원장(서울H치과)이 연자로 나서 ‘단일 수복부터 전악회복까지 범용성으로의 SQ Implant의 활용’을 주제로 강의한다. 아울러 같은 시각 열리는 핸즈온 코스에서는 김재윤 원장(연수서울치과)이 ‘Step by step GBR Hands-on with pig jaw’를 주제로 까다로운 GBR 술식에 관한 핸즈온 강연을 펼친다. 나기원 원장(연수서울치과)은 ‘SQ Surgical Guide, SQ Sinus Guide’을 주제로 임플란트 가이
“저는 사람들이 한밤중에 별들로 가득 찬 하늘 아래 절벽의 끝에 서 있는 것이 어떤 느낌인지 궁금해 했으면 하는 소망이 있어요.” 독일 사진작가 니콜라스 뢰멜트(Nicholas Roemmelt)가 평일에는 치과의사 의자에서 사람들을 살피고, 주말에는 알프스(Alps) 산에서 사진 촬영을 하며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마이모던맷(Mymodernmet)이 최근 보도했다. 뢰멜트는 지난 20년 동안 주말마다 알프스 산에서 저녁을 보내며 사진 촬영을 통해 자신의 창의력을 마음껏 펼쳤다. 보도에 따르면 그의 사진 작품 중 가장 잘 알려진 이미지는 지난 2018년 알프스산에서 찍은 은하수와 페르세우스 유성우의 합성물로, 최근 NASA로부터 천문학 사진으로 인정받기도 했다. 별 아래 산을 오를 때마다 항상 카메라를 준비했던 그의 모험 정신이 마침내 빛을 발한 것이다. 뢰멜트는 “전경, 은하수, 그리고 별똥별을 하나의 사진에 담았다. 그리고 도시의 밝은 조명은 물론, 전경에 있는 사람 등을 혼합했다. 혼합물이긴 하지만, 가짜 합성물은 아니다. 등산을 할때마다 관람자들을 함께 데리고 가고 싶다”고 밝혔다.
치과에서 할 수 있는 보톡스, 필러, 수면 마취 등 미용에 관한 최신 지견을 담아낸 두 번째 세미나가 열린다. (가칭)대한미용성형치과연구회 주최 '치과의사에게 K-뷰티란? 4人 4色 + 1 그 두 번째 이야기' 세미나가 오는 8월 27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지난 6월 치과 미용에 관한 최신 지견을 담아낸 첫 세미나에 이은 두 번째 세미나다. 연구회에 따르면 이번 세미나는 치과 뷰티의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폭넓게 다뤄 덴탈, 뷰티 토탈케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이들의 미용술식에 대한 이해도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우선 1교시 강의에는 임석균 원장(우리 치과)이 연자로 나서 ‘표면도포마취, 시술전준비 & 시술후케어’를 주제로 초보자도 쉽게 시작할 수 있고, 다음 강의에 앞서 기본기를 다지는 강연을 펼친다. 이후 2교시에는 남진우 원장(남양주 서울탑치과)이 ‘치과에서 할 수 있는 안티에이징 시술 – 보톡스, 필러’를 주제로 강의할 예정이다. 이는 기본적인 내용부터 난이도가 높은 내용들까지 강의 내용에 포함돼 오랜 시술에 대한 내공을 고스란히 접할 수 있을 것이라는 후문이다. 3교시는 박상훈 원장(연세 통
덴탈브레인이 오는 8월 31일 목요일 오후 4시 ‘현직 세무사가 알려주는 치과소득세 신고 시 주의사항’ 실시간 온라인 세미나를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소득세 신고는 세무사에게 많이 맡겨 개원의들이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 부분이다. 그러나 경비관리와 신고 내용에 문제가 없는지 항상 주기적으로 체크해가며, 절세 포인트의 누락 여부를 살펴보는 것은 원치 않는 세금 폭탄을 피하고 원활한 병원 운영을 하기 위한 기본이 된다. 이에 덴탈브레인은 실시간 온라인을 개최, 최규균(택스홈앤아웃) 세무사가 연자로 나서 합법적이고 효율적인 절세효과를 최대한 거둘 수 있는 소득세 신고 방법 등을 한 시간에 걸쳐 설명해줄 예정이다. 우선 최 세무사는 인건비, 임차료, 의약품비와 같은 치과주요 경비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할 예정이며, 이어 지역별 평균소득률과 국세청 분석 자료에 대해 짚어줄 예정이다. 특히 이번 세미나는 실시간 온라인 강의로 진행되는 만큼 질문이 생기면 채팅창을 통해 연자에게 실시간으로 묻고 답변을 받을 수 있다. 덴탈브레인 연간 유료 회원 가입 시 덴탈브레인의 다양한 강의들을 최대 50% 할인받을 수 있다. 세미나 및 연간 유료회원 가입 문의는 덴탈브레인 고객센
국내 연구팀이 별도 장치없이 전기만으로 세포를 자극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 신기술은 신경치료 등 전기자극 기술이 필요한 치료에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최성환 교수(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과학교실), 홍진기 교수(연세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과), 이상민 교수 연구팀(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이 스마트폰 등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세포로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지난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재료공학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IF 19.924) 최신호에 실렸다. 전기자극 기술은 비침습적으로 세포를 자극해 뇌 등 신경 치료에 활용하며 환자 부담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전기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배터리나 전선 등이 있어야 하는 만큼 불편함도 컸다. 연구팀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체가 전자기장을 전달하는 유전율이 높다는 특성에 집중했다.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타깃 부위에 전달할 수 있도록 인체 매개 에너지 전달 시스템(Body-mediated energy transfer, BmET)을 개발했다. 이를 유한
바텍이 올해 2분기 영업이익으로 197억 원을 기록했다. 바텍은 금일 잠정 공시를 통해 2분기 실적을 공시했다. 바텍 2023년 2분기 매출은 1,019억 원, 영업이익은 197억 원이다. 이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4.4%, -14.2%지만, 전분기 대비로는 12.1%, 40.6% 성장한 수치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율은 19.4%를 기록했다. 아울러 동기간 유럽 내 법인 설립 국가들(프랑스 21%, 체코 52.8%, 영국 10.7% 각각 전년 동기 대비 증가)과 멕시코(47.5%) 브라질(12.4%) 등 이머징 시장(emerging market) 매출이 두 자리 수 성장했다. 이머징 시장이란 요약하면 ‘신흥시장’으로, 새로 급성장하는 시장. 특히 자본시장 부문에서 급성장하는 국가들의 시장을 일컫는다. 이번 성장은 치과용 CT 신제품 ‘그린엑스(Green X)’시리즈와 ‘에이나인(A9)’이 성공적으로 안착한 결과다. 우리나라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11.4% 증가했다. 이는 치과용 CT 신제품 ‘스마트엑스(Smart X)’ 국내 판매가 호조를 보인데 기인했다. 이밖에도 미국을 비롯한 선진시장 고 금리와 경기 침체 등 거시경제 환경 악화로 인해
치의학 분야 도서가 대한민국학술원(이하 학술원) 2023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대한민국학술원은 최근 2023 우수학술도서로 대한나래출판사가 출판한 ‘AΩ 교합(이재훈 외 저)’, ‘교합재건을 위한 교정적 접근(김석필 저)’, ‘투명교정치료의 원리와 생역학(Nanda R. 외 저, 호사회 역)’과 ‘Remaking the Bone Vol. 2’(군자출판사 출판)를 선정했다. 우수학술도서 선정 사업은 기초학문분야 연구 및 저술활동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대한민국학술원에서 진행하는 사업이다.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는 인문학, 사회과학, 한국학, 자연과학의 4개 분야를 대상으로 하며 선정된 도서는 ‘대한민국 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표시가 부착돼 전국 주요 기관에 보급된다. 2023년 올해는 인문학 분야 78종, 사회과학 분야 103종, 한국학 38종, 자연과학 80종, 총 299종이 선정됐다. 이번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AΩ 교합’은 지난해 상반기 출판된 책으로, 통합 학문으로서의 ‘교합’을 다룬다. 역사, 진단 및 적용, 결정 요소, 실전 교합 증례까지, 오랜 전통에서부터 Digital Dentistry에 이르는 방대한 교합의 모든 것
바텍엠시스가 최근 지르코니아 블록 신제품 ‘Perfit FS’를 출시했다. 업체에 따르면 원데이 진료에 대한 의료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빠른 시간 안에 제작할 수 있는 보철 소재에 대한 술자들의 관심이 높다. 이 가운데 바텍엠시스에서 출시한 맨드릴 타입의 완전 소결된 지르코니아 블록은 작업 과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55분 이내로 지르코니아 Crown 제작이 가능하다. CAD/CAM 밀링장비로 성형한 후 글레이징을 거쳐 즉시 세팅이 가능한 만큼, 일반 지르코니아 대비 9시간 이상, 리튬디실리케이트 대비 30분 이상 작업 시간을 단축시켜 환자의 진료 동의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Perfit FS는 특허 받은 성분 조합과 제조 공법으로 파괴인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킨 만큼, Crack(크랙) 저항성은 높고, Chipping(치핑) 발생률이 낮아 마진 적합도가 우수하다. 이는 저작 시 균열 발생률이 낮아 장기 안정성을 제공해 임상 결과가 향상돼 술자와 환자 모두 만족스럽다. 특히 강도와 안정성이 우수해 세라믹 블록에 비해 프렙양이 줄고 적응증이 넓어 Onlay, Inlay뿐 아니라 Crown, Bridge 등 다양한 케이스를 원내에서 제작할 수 있다.
덴티스 ‘Save Wide Cap’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취득했다. 어려운 GBR을 보완하기 위한 개발된 ‘Save Wide Cap’은 경우에 따라 멤브레인을 대체할 수 있는 GBR Tool로, 이번 FDA 승인을 통해 그 안정성을 인정받았다. ‘Save Wide Cap’은 픽스처(Fixture)와 연결이 가능하고, 날개 부분이 손쉽게 구부러져 골 이식재와 멤브레인을 고정시키기에 용이하다. 또한 제품 자체가 노출되더라도 염증이 발생할 우려가 적다. 이는 사용법도 간단해 복잡한 GBR 술식 과정을 쉽게 진행할 수 있다. 픽스처를 식립한 이후 ‘Save Wide Cap’을 픽스처에 체결한다. 이어 골 이식재를 채운 후 ‘Save Wide Cap’에 멤브레인을 연결해 멤브레인 주변을 밀봉하면 된다. 골 이식재 부위가 넓지 않은 경우에는 골 이식 후 ‘Save Wide Cap’의 날개 부분을 구부려주면 멤브레인 대신 골 이식재를 고정하면 된다. 덴티스 관계자는 “‘Save Wide Cap’는 세계 최초로 ‘Bending’이 가능한 GBR Tool 제품이다. 흡수성 차폐막을 상방 고정에 적용해 예지성 높은 골 형성과 합병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S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