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좋은 콜레스테롤로 불리는 고밀도 지단백(HDL) 콜레스테롤의 혈중 수치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 감염 질환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병원의 뵈르게 노르데스트고르 교수 연구팀이 이 같은 연구결과를 유럽 심장 저널(European Heart Journal)에 발표했다고 메디컬뉴스투데이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연구팀은 코펜하겐 인구연구 참가자 9만7166명과 코펜하겐 심장연구 참가자 9387명의 6년간 건강 조사자료를 분석했다. 이 결과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가장 높은 그룹(8%)과 가장 낮은 그룹(21%) 모두 위장염, 폐렴 같은 감염 질환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가장 낮은 그룹은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 범위인 그룹보다 감염 질환 발생률이 75%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HDL 수치가 가장 높은 그룹 역시 대조군보다 감염 질환 발생률이 43%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향후 HDL 콜레스테롤이 면역체계에 정확하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신치의학연구회(회장 김성욱)가 4th Advanced Seminar를 오는 5월 13일(일)과 6월 3일(일) 오전 10시부터 종로구 인사동5길 태화빌딩 10층 HDX 2세미나실(종각역 3번 출구 인근)에서 개최한다. 먼저 5월 13일에는 김성욱 회장(캘리포니아미형치과 원장)이 ▲턱관절과 족부치료를 주제로 강연하며 이풍섭, 박만규 원장이 ▲두개골 기능이상과 골반변형2 ▲Botulinum toxin을 이용한 편두통 두경부 통증치료 등을 주제로 각각 강연한다. 또 6월 3일에는 김성욱 회장이 ▲턱관절과 스트레스 및 영양치료를 주제로 강연하며 이풍섭, 유춘식, 박만규 원장이 ▲골반 변형1, 3 ▲입술폐쇄 부전증 진단과 치료 ▲Botulinum toxin을 이용한 편두통 두경부 통증치료 및 실습을 주제로 각각 강의한다. 지난 4월 9일 캘리포니아미형치과의원에서 기자와 만난 김 회장은 전신치의학의 의미와 앞으로 연구회가 어떤 활동을 해나갈 것인지를 밝혔다<사진>. 먼저 김 회장에 따르면 전신치의학이란 간략히 말해 치과의사가 치료하는 부위들이 전신건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공부하는 학문이다. 예를 들어 턱관절장애가 생기면 턱관절 자체뿐 아니라 그 주변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회장 여환호 ‧ 이하 카오미) 인천지부가 학술집담회를 열고 디지털 덴티스트리에 대해 강연을 공유한다. 오는 23일 인천지부 회관 8층 세미나실에서 진행되는 이번 집담회는 임플란트 가이드 수술과 3D 프린터 등 ‘디지털 덴티스트리’를 대표하는 치의학 기술을 주제로 저명 연자들의 노하우가 공개될 전망이다. 먼저 조진용 교수(길병원 구강악안면외과)가 ▲임플란트 가이드 수술 얼마나 정확한가?를 주제로 강연을 시작하고, 이어 오남식 교수(인하대병원 보철과)가 ▲치과에서 3D 프린터 어디까지 왔나?를 주제로 강연한다. 카오미 인천지부 측은 “4차 산업혁명을 맞아 이미 많은 임상현장에서 두루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기술에 대해 저명 연자들을 모시고 그들의 노하우를 듣는 자리를 마련했다.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문의 : 032-460-3373(류재영 학술이사)
대한치과임플란트이식학회(회장 김영균 ・ 이하 이식학회)가 제2차 학술집담회를 갖고, 임플란트 보철치료에 있어서 유명 연자의 노하우를 공유한다. 오는 5월 14일 서울대치과병원 제1강의실에서 진행되는 이번 학술집담회는 ‘임플란트 보철의 성공을 위한 나의 노하우’를 주제로, 김종화 원장(미시간치과)과 김종은 교수(연세치대)가 연단에서 자신들의 노하우를 공개할 예정이다. 먼저 김종화 원장은 ▲임플란트 보철시기의 합리적 결정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고, 이어 김종은 교수가 ▲편안한 임상을 위한 임플란트 인상의 핵심이라는 주제로 강연한다. 한편 이식학회 대구경북지부는 오는 5월 18일 경북대 치전원에서 지부 주관으로 집담회를 갖는다. 집담회에서는 이양진 교수(분당서울대병원)가 ▲임플란트 보철의 디자인과 교합측면에서 해결하는 음식낌과 고임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할 예정이다. 접수 및 안내 : 02-2273-3875
제11차 세계근관치료학회(이하 WEC)가 오는 10월 서울에서 열릴 예정인 가운데, 2018 WEC 조직위원회(위원장 김의성)는 이번 행사의 효율적인 진행을 위해 4월 30일까지 조기등록을 받는다. 2018 WEC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조기등록 시 등록비 할인은 물론 선착순 등록으로 마감되는 핸즈온 강의를 수강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오는 10월 4일부터 7일까지 3박 4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WEC는 세계근관치료연맹(IFEA)이 주관하는 세계 근관치료학계 최대 행사 중 하나이며 대한치과근관치료학회(회장 김의성)는 이번 WEC에 국내외 치과의사 1500여 명의 참가를 목표로 준비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올해 WEC는 ‘Endodontics: the utmost values in dentistry’를 대주제로 전 세계 치과의사들이 학술 담론을 나누고 교류하는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학술대회에는 근관치료학 분야 세계 최고 석학들이 연자로 초빙돼 이들이 평생에 걸쳐 갈고 닦은 임상 경험을 나누는 강연을 한 자리에서 들을 수 있을 전망이다. # 주요 초청 연자와 추천 평 Ⅰ 주요 초청 연자의 면면과 이들 강연에 대한 추천 평을 들어보면 이렇다.
시스루테크(주)(대표 홍경재)가 오는 4월 29일(일) 오후 1시부터 서울대치과병원 8층 B세미나실(종로구 연건동)에서 ‘오늘 배워 내일 바로 적용하는 시스루 얼라이너 투명교정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최근 밝혔다. 이와 관련해 홍경재 대표(보스톤클래식치과 원장)는 “시스루 얼라이너는 투명교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많은 치과의사들과 함께 생역학 부분의 연구를 통해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며 “다양한 연구 결과를 통해 많은 케이스에서 정밀한 진단과 정확한 교정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세미나는 선착순 20명 등록 후 마감된다. 참가자에게는 시스루 얼라이너 인증 임상연구병원 위촉 및 수료증이 제공된다. 세미나 접수 문의: 070-5015-4552, 010-4292-3374(김아진 대리)
㈜덴티스(대표 심기봉)가 오는 4월 22일 서울대치과병원 8층에서 ‘2018 DENTIS GBR&SINUS FORUM’을 개최한다고 최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번 ‘2018 DENTIS GBR&SINUS FORUM’은 ‘Beyond the Bone Deficiency’와 ‘Beyond the Sinus Membrane’ 두 파트로 나누어 GBR과 SINUS의 전반적인 임상 노하우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된다. 먼저 김철환 교수(단국대치과병원)가 좌장을 맡을 ‘Beyond the Bone Deficiency’ 파트에서는 손영휘 원장(e-좋은치과)과 김용진 원장(일산앞선치과)이 발치와 즉시 임플란트 식립 시 유의사항, 골 이식 방법 및 차폐막의 적절한 적용 방법, 연조직 처치 등을 내용으로 강의한다. 또 이수영 원장(서울라인치과)과 김용진 원장이 ‘디지털 테크닉을 활용한 GBR’을 주제로 관련 노하우를 공유할 예정이다. 이어 허 익 교수(경희대치과병원)가 좌장을 맡을 ‘Beyond the Sinus Membrane’ 파트에서는 허인식 원장(허인식치과)과 김재석 원장(명동루덴치과)이 ‘Treatment flow for Sinus lift’를 주
치아 교정용 앵커리지(anchorage) 3DKP를 활용한 교정치료를 심도 있게 배우는 자리가 마련돼 이목이 쏠렸다. ㈜쓰리디케이피는 지난 3월 31일 오후 4시 30분부터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607호 회의실에서 ‘제1기 임상교정 심화과정’ 스텝1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최근 밝혔다<사진>. 회사 측에 따르면 이번 심화과정에서는 개발자인 이강규 원장(분당 우방치과의원)이 직접 연자로 참여해 강연했다. ‘더 쉬워진 Sk CⅠ.Ⅰ급 임상교정’을 주제로 한 이번 세미나에서 이 원장은 ▲Don’t Extract in the Brachycehalic Pt ▲Crowding ▲Open Bite 등에 관한 내용을 강의해 호평을 받았다. 회사 측은 “다년간의 심층 연구와 다양한 교정 환자의 임상 증례를 통해 절대고정원인 3DKP를 완성하게 됐다. 지역별 오픈 세미나에 참석한 여러 선생님들의 요청과 의견을 바탕으로 이번에 제1기 임상교정 심화과정을 개최하게 됐다”고 밝혔다. 한편 쓰리디케이피는 제2기 3DKP 임상교정 심화과정을 오는 5월26일(1차), 6월9일(2차), 6월23일(3차) 서울성모병원 607호 회의실에서 오후 4시 30분부터 진행한다. 문의:
㈜덴티스(대표 심기봉)가 지난 3월 24, 25일 양일간 DICAO(덴티스 투명교정연구소) 주관으로 ‘투명교정 임상&기공 아카데미’ 봄학기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최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번 아카데미는 치과의사를 비롯한 치과기공사, 치과위생사 등 28명이 참석한 가운데 매뉴얼 기공과 디지털 기공 모두에 필요한 투명교정의 원리와 실전을 배우는 자리로 꾸며졌다. 또 디지털 투명교정 프로세스 진단, 디자인, 셋업, 임상, 기공 등 일련의 과정을 설명함으로써 오늘 배워 내일 바로 실전에 적용 가능한 커리큘럼으로 마련됐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특히 차현인 원장(백상치과)이 투명교정의 원리와 실전 임상을 완벽히 습득할 수 있도록 세미나를 진행해 참가자들의 만족도를 높였다. 덴티스는 “DICAO는 3월 봄 학기 ‘투명교정 임상&기공 아카데미’에 이어 오는 8월 부산 아카데미를 계획하고 있다. 이후 전국적인 아카데미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커리큘럼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특히 올해는 치과기공사를 대상으로 한 집중 코스를 마련해 디지털 시대의 투명교정 기공에 관한 내용을 심층적으로 다뤄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의: 070-4228-7363
제2차 ‘아시아수면학회 학술대회’가 지난 3월 22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됐다. 아시아수면학회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학술대회에는 30개국에서 1000여명의 수면의학자 및 관계자가 참여해 최신 지견 및 임상 경험을 공유했다. 특히수면의학 권위자들이 연자로 초청돼 8개의 기조강연과 교육강좌, 3개의 특별강연, 27개의 심포지엄 등이 열렸으며 렘수면행동장애, 일주기리듬, 수면부족과 인지기능, 불면증, 하지불안 증후군, 수면무호흡증 등에 대한 최신지견이 발표됐다. 아울러 정진우 교수(서울치대 구강내과)를 비롯한 김명립 원장(서울 일리노이치과의원), 권용대 교수(경희치대 구강악안면외과), 박지운 교수(서울치대 구강내과), 김수정 교수(경희치대 교정과) 등이 연자로 참여했으며 최진영 교수(서울치대 구강악안면외과)를 포함한 황순정 교수(서울치대 구강악안면외과), 박지운 교수(서울치대 구강내과) 등이 좌장으로 활약했다.
성공적인 근관치료를 위해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전하는 학술대회에 개원의들의 발길이 몰렸다. 대한치과근관치료학회(회장 김의성·이하 근관치료학회)가 지난 4월 1일(일) 서울성모병원 의과학연구원 2층 대강당에서 제52차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성공적인 근관치료를 위한 최신지견 공유’를 대주제로 마련된 이번 학술대회에는 400여 명의 치과의사들이 등록해 성황을 이뤘다. 이날 학술강연에서는 먼저 최성백 원장(파스텔치과)이 ‘Ni-Ti file 사용의 모든 것’을 주제로 ▲일반적인 Ni-Ti file의 개요 및 장·단점 ▲Ni-Ti file의 종류 및 Hybrid technique ▲Separation된 file의 제거 방법 ▲Separation을 줄이기 위한 Ni-Ti file counting을 강의했다. 또 곽영준 원장(연세자연치과)은 ‘근관치료 최고의 무기-Hand files!!’를 주제로 어떤 Hand file을 선택해야 하는지부터 시작해 어떻게 하면 Hand file을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노하우를 전했다. 이어 유기영 원장(서울탑치과병원)은 ‘개원가에서 터득한 Endo Tip’을 주제로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를 가진 근관계를 빠르고 안전
(가칭)대한치과감염학회(회장 김선종·이하 치과감염학회)가 치과 감염관리에 관한 이론을 정리한 교과서를 펴냈다. 치과감염학회 편찬위원회(위원장 김진선)는 최근 ‘치과임상의 감염관리(Infection Control for Dental Practice)’라는 제목의 교과서를 발간했다고 최근 밝혔다. 치과감염학회에 따르면 이번 책은 치위생과 학생들을 위한 교과서로 만들어졌다. 이 책의 주요 목차를 보면 ▲감염관리 개론 ▲감염관리의 표준지침 ▲소독과 멸균 개념 ▲치과진료실 감염관리 과정 ▲수술실 감염관리 ▲영상 촬영실의 감염관리 과정 ▲치과 유니트 수관관리 ▲환경감염관리 등이다. 또 이 책은 부록으로 ▲예방접종 일정표 ▲의료법 의료법 시행규칙 ▲의료기관세탁물 관리규칙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등을 담았다. 치과감염학회 측은 “이 책은 치위생과 학생들을 위한 교과서 용도로 만들어졌다. 학생들이 꼭 알아야 할 이론을 정리했고 교차 감염 방지를 위한 개인방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며 “특히 실무 부분에서는 가능한 많은 사진을 수록해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자 노력했다. 이밖에 관련 법령 및 시행규칙을 부록에 실었다”고 밝혔다. 한편 치과감염학회는 이 교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