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장애·프롤로테라피 치료 등 초음파를 활용한 치료기법을 집중적으로 다른 강연이 성공적으로 마침표를 찍었다. 턱관절장애 교육연구회 주최 ‘2024년 제1회 초음파 핸즈온 코스’가 지난 8월 24일 서울대치과병원 8층 제1·2세미나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사전등록한 33명의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조용일 원장(울산 웰컴 치과의원)의 ‘턱관절 영역에서 치과 초음파의 이해’ ▲윤현옥 원장(울산 우리 치과의원)의 ‘초음파를 이용한 턱관절 프롤로 주사요법’ ▲오희정 원장(서울 송파 바른턱 치과교정과 치과의원)의 ‘턱관절 증식치료와 실손보험’ ▲남진우 원장(남양주 서울탑 치과의원)의 ‘안면 미용시술시 초음파의 활용’ ▲김 욱 턱관절장애 교육연구회 회장(의정부 TMD 치과의원)의 ‘턱관절 차단마취, 주사요법, 세척술 총정리 및 턱관절장애의 진단, 주사, 시술 완전정복’ 등 특강이 진행됐다. 강의 후에는 2인 1조로 5대의 초음파 장비를 활용해 이개측두신경 차단마취, 상관절강내 직접마취, 고농도 포도당 및 PDRN 주사는 물론 이갈이, 두통 치료 및 안면 미용 보툴리늄톡신 주사, 턱관절 기능 및 안면 미용 평가, 초음파 영상 유도하 주사요법 등 실습이 활발히 진행됐다. 수강
대한나래출판사가 출판한 치의학 분야 도서 3개가 올해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돼 눈길을 끈다. 우수학술도서 선정 사업은 기초학문분야 연구 및 저술활동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대한민국학술원에서 진행하는 사업으로, 최근 ‘치과의사가 시작하는 수면무호흡치료: 기초 지식과 구강내 장치 치료의 실천’, ‘iGBR: ESM의 새로운 시작’, ‘메타 임플란트, 그리고 메타’ 도서를 선정했다. Miyachi Mai가 저자인 ‘치과의사가 시작하는 수면무호흡치료: 기초 지식과 구강내 장치 치료의 실천’ 도서는 수면장애에 있어 하악전방견인장치 등을 활용한 치료법을 다뤘다. 수면무호흡의 치료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부터 하악전방견인장치 제작‧장착 등 이론은 물론 구체적인 방법까지 자세히 서술했다. ‘iGBR: ESM의 새로운 시작’ 도서는 구기태 교수 등을 저자로, 치조제보존술을 의미하는 iGBR에 관한 술식과 최신 경향을 담아낸 지침서다. 치조제보존술 개념부터 감염발치와의 분류, 치료 방법, 개방형 치유(Open healing), 봉합 방법, 수술 타이밍, 그리고 eGBR(early, easy GBR)에 대해 자세히 기술했다. ‘메타 임플란트, 그리고 메타’ 도서는 전인성
덴티움이 주최한 ‘Easy Bone Graft Consensus’ 세미나가 지난 9월 8일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치과 임상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골이식술(GBR)의 최신 트렌드와 임상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됐으며, 쉽고 효율적인 골이식술의 미래 방향을 제시하는 자리가 됐다. 이번 컨센서스에서는 복잡한 골이식술의 과정과 예측 불가능성을 줄이고, 간편하면서도 높은 임상적 성공률을 보장하는 ‘Easy Bone Graft’ 개념을 강조하며 OSTEON™ Xeno Collagen과 Collagen Graft 2를 기반으로 한 신개념 골이식술의 임상적 적용 방안을 보여줬다. 첫 세션의 주제는 ‘Trend of GBR materials’로 조영단 교수(서울대치과병원)가 ‘How to use collagen matrix efficiently’를 주제로 골이식 시 콜라겐 매트릭스의 효율적 사용법을 강조했다. 특히 Collagen Graft 2 의 임상적 장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해당 제품이 안정적인 연조직 치유뿐만 아니라 치조골의 양과 질을 동시에 향상시키고, 치주조직의 볼륨을 빠르고 간편하게 개선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덴티움이 주최한 ‘2024 One day Fixed Prosthesis in Edentulous Patients’ 세미나가 지난 9월 1일 덴티움 지식산업센터 16층 교육장에서 개최됐다. 이번 세미나는 무치악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부터 보철까지의 전 과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최신 기술과 임상 솔루션을 소개했다. 강의에는 백장현 교수(경희대학교치과병원 보철과)가 연자로 나서, 무치악 환자의 치료 계획 수립부터 보철 제작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과정에서 필요한 임상 팁을 제공했다. 백 교수는 특히 덴티움의 첨단 기술을 활용한 ‘bright CT’와 ‘디지털 가이드(Digital Guide)’ 시스템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세미나는 실제 임상에서 까다롭고 복잡한 사례로 꼽히는 All-on-X 방식의 무치악 보철을 다뤘으며, 참가자들은 최신 임플란트 식립 기술을 실습하며 지식을 확장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핸즈온 실습에서는 덴티폼을 이용해 ‘bright Implant’를 식립하고, One-piece 임시 보철을 한 번에 마무리하는 즉시 식립 과정을 직접 경험하는 기회가 제공됐다. 덴티움의 ‘디지털 가이드
덴티움이 주최한 ‘임플란트의 정석’ 세미나가 지난 8월 24~25일 양일간 광교사옥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됐다. 이번 세미나는 덴티움의 혁신적인 bright Implant와 Digital abutment를 중심으로 다루며, 임플란트 식립의 간편함과 효율성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번 세미나는 덴티움의 독자적인 임플란트 시스템을 체험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기초 코스로 기획됐다. bright Implant와 Digital guide, Digital abutment를 통해 복잡한 임플란트 식립 과정을 간소화하고, 초보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했다. 특히, Digital abutment를 활용한 임플란트 시술은 과정의 단순화를 극대화해 빠르고 효율적인 시술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참가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첫 날 김정현 원장(e튼튼치과)이 bright Implant와 곧 출시될 Digital abutment를 활용한 간편 수술 프로토콜을 소개했다. 참가자들은 돼지뼈를 활용한 실습을 통해 직접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기회를 가졌으며, Digital abutment의 3-in-1 기능을 실습해봄으로써 더욱 간편해진 치료 프로세스를 체험할 수 있었
최신 실습시설을 갖춘 유한양행 치과교육센터에서 진행된 복합레진 수복 핸즈온 강의에 개원의들이 높은 만족감을 표했다. 세이덴탈이 주최하고 덴탈큐브, 유한양행이 후원한 ‘황성욱 원장(대구 청산치과의원)의 복합레진 수복의 새로운 시대’ 세미나가 지난 8일 유한양행 본사 2층 치과교육센터에서 열렸다. 이날 황성욱 원장의 강의에서는 치과용 직접 수복 재료의 발전사와 함께 이제는 광중합 없이 간단한 접착 술식으로 적용 가능한 수준에 와 있는 복합레진 수복 술식에 대해 강의했다. 또SDI 스텔라를 이용한 직접 수복 핸즈온을 진행했다. 또 강의에 앞서 유한양행 측이 나서 자사의 ‘리쥬비넥스(PDRN)’와 세멘리스 어버트먼트 ‘유한 트윈제로’의 특장점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세미나에 참가한 개원의들은 강의와 실습이 동시 가능한 유한양행 치과교육센터에 높은 만족감을 보였다. 유한양행 측은 앞으로도 첨단 교육시설이 개원의들에게 도움이 되는 강의 및 실습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보기 가능합니다.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 PDF 첨부파일을 클릭하세요. 강석기 원장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및 대학원 졸업(치의학박사)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병원 구강외과 수료 ·구강외과 전문의 ·현)동부치과 대표원장
“자신만의 임플란트 술기를 익히고 자신에게 맞는 임플란트를 찾기 위해 고민하는 임상가들이 많습니다. 그분들의 갈증을 해결해드리고자 당장 필요한 내용을 담은 아카데미를 마련했습니다.”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이하 KAOMI)가 임플란트 교육 프로그램 ‘2024 KAOMI Implant Academy(이하 KAMY)’를 새롭게 선보였다. 폭발적인 인기에 힘입어 조기 마감된 1기 교육이 한창인 가운데 황재홍 KAOMI 회장을 만나 교육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내용을 들어봤다. 황 회장은 “현재 1기에는 29분이 참여하고 있다. 신청이 조기 마감이 될 정도로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셨다. 어떤 임상가는 이번 기수 등록을 위해 한 달 넘게 기다렸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그래서인지 연수회에 참여하고 있는 분들의 열정이 대단하다”고 교육 현장 분위기를 대신 전했다. KAMY는 지난 7일부터 오는 11월 3일까지 주말을 활용해 총 10회에 걸쳐 진행된다. 특히 ‘임플란트 MBTI-나에게 맞는 임플란트 찾기’를 주제로 자신에게 맞는 임플란트 임상 환경을 찾기 위한 여정에 국내 수준급의 연자가 강연과 핸즈온을 함께한다. 무엇보다 서울대치과병원과 국내 유수 치과 기업(오스템, 네
‘2024년 경기 국제 종합학술대회 및 치과기자재전시회’(이하 GAMEX 2024)가 가을과 함께 돌아왔다. ‘GAMEX 2024’가 ‘Always with you, your GAMEX’라는 슬로건을 걸고 오는 28일(토)과 29일(일) 양일 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다. GAMEX 2024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에 따르면 현재 45개의 학술 강연 및 핸즈온 코스와 함께 총 170개 업체, 660개 부스가 이번 전시회 참가를 확정한 상태다. 우선 학술 강연의 경우 치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합병증 해결법에 대한 최신 지견을 담았다. 특히 덴처와 교합의 대가인 가와하라 히데요 교수의 특강을 비롯해 총 45개의 강연이 구강악안면외과, 디지털, 임플란트, 근관치료 등 분야별로 양일 간 펼쳐지는 만큼 회원들의 학구열을 채울 수 있는 핵심 콘텐츠가 될 것으로 조직위 측은 자신하고 있다. 보수교육점수 4점이 인정되며 필수보수교육점수 2점이 포함된다. 이제는 ‘킬러 콘텐츠’로 자리잡은 핸즈온 코스는 ▲디지털 임플란트와 가이드 디자인 ▲최신 경향의 근관치료 핸즈온 ▲앞니로도 씹을 수 있는 덴처 등 만족도 높은 강의로 구성돼 있다. 핸즈온의 경우 학술대회와는 별도로 사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개교 50주년 기념 학술대회가 한 달여 앞으로 성큼 다가왔다. 이번 학술대회는 ‘치과 임상 100년을 바라보다’를 대주제로 내세운 만큼, 학술‧임상 지견을 넓힐 수 있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및 총동창회는 오는 10월 13일 서울SC컨벤션센터에서 조선치대 개교 50주년 기념 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치과 임상의 100년을 조망하겠다는 포부를 내세운 만큼 폭넓은 학술‧임상 강연을 접할 수 있을 전망이다. 강연에는 국내 저명 연자 12인이 참여한다. 박창진 원장(미소를만드는치과), 김원중 원장(온유치과), 강재석 원장(예닮치과병원), 김재영 교수(연세치대), 국중기 교수(조선치대), 정희원 교수(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등 각 연자는 예방치의학부터 접착 수복, 구강 세균, 보철 등을 총망라할 계획이다. 이어 성건화 교수(원광치대), 이동균 원장(목포미르치과병원), 김현종 원장(가야치과병원), 박성철 원장(박성철그리고치과), 오상윤 원장(아크로치과), 이성복 명예교수(경희치대)가 나서 근관치료의 비전, 임플란트 주위염, 성인기 환자 치주‧보철 임상, 교합 등에 관해 통찰력 있는 강연을 선보일
올해로 창립 30주년을 맞은 (사)대한턱관절협회(이하 턱관절협회)가 단체의 새로운 비전과 학술 역량을 제시한 학술 행사를 성황리에 마쳤다. ‘대한턱관절협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대회’가 지난 7일 오후 서울대치과병원 지하 1층 승산강의실에서 개최됐다. ‘턱관절질환 치료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을 대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에는 100여 명이 참가해 턱관절협회의 지난 30년 성과와 앞으로 다가올 30년의 발전 가능성을 지켜봤다. 특히 턱관절협회가 출범 이후 꾸준히 다학제적 접근을 지향했던 만큼 이날도 구강내과, 구강악안면외과, 치과교정과, 치과보철과 등 다양한 전공의 치과의사들이 한 자리에 모여 턱관절 진료를 위한 최선의 관점과 지식을 공유해 눈길을 끌었다. 이날 학술대회의 첫 번째 세션에서는 김성택 교수(연세치대 구강내과)와 박주영 교수(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가 연자로 나서 구강내과와 구강악안면외과의 시각을 담은 턱관절 강연을 각각 전달했다. 이어진 두 번째 세션에서는 안석준 교수(서울대 치의학대학원 치과교정과)와 박휘웅 원장(서울에이스치과의원)이 치과교정과와 치과보철과 차원에서의 턱관절 진료 해법을 각각 제시해 주목 받았다. 모든 강연이 종료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