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흐림동두천 24.5℃
  • 흐림강릉 22.6℃
  • 흐림서울 24.5℃
  • 흐림대전 24.1℃
  • 흐림대구 29.2℃
  • 흐림울산 26.4℃
  • 흐림광주 24.4℃
  • 흐림부산 24.3℃
  • 흐림고창 23.7℃
  • 흐림제주 27.1℃
  • 구름조금강화 25.9℃
  • 흐림보은 23.9℃
  • 흐림금산 25.5℃
  • 흐림강진군 24.9℃
  • 흐림경주시 27.6℃
  • 흐림거제 23.6℃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구강관리·전신건강 연결 ‘무알코올 가글’ 대세

전 세계 가글 시장 청량감에서 효능·효과 중심으로 변화 추세
선스타 ‘검덴탈린스에스’ 높은 임상효과·통계학적 유의성 확인

구강건강과 전신건강의 상관관계가 학계 정설로 통용되면서 가글을 활용한 구강위생관리의 필요성도 함께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글로벌 업체들이 앞다퉈 무알코올 가글 시장에 대비하고 나섰다.

 

이 중엔 특히 CPC 주성분의 무알코올(Alcohol-Free) 가글(Mouthrinse)로, 잇몸질환 예방과 구강 내 박테리아 살균‧감염관리로 전신건강을 한 번에 케어가 가능하다는 제품도 등장해 눈길을 끌고 있다.

 

치과 가글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향후 가글 시장의 중심 추는 ‘청량감’ 보다는 ‘효능과 효과’에 집중된다. 가글 업계 관계자는 “알코올이 가글의 효능 효과를 증대시킨다는 과학적 증거는 없다. 알코올은 청량감을 높이기 위해 처방되는데, 알코올로 인한 청량감과 강한 자극은 마치 구강 내 세균을 더욱 강하게 살균할 것 같은 착각을 소비자에게 주기 때문”이라며 “그러나 알코올은 구강 내 쓰라림과 강한 자극, 가글 사용의 거부감을 키우고 입안을 건조하게 만든다. 따라서 가글 선택에 있어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식품의약품안천처(이하 식약처)와 미국치과의사협회(American Dental Association‧이하 ADA), 질병관리청에서도 무알코올 가글 제품을 활용토록 권장하고 있다. 먼저 식약처는 지난 2018년 구중청량제 중에 일부는 에탄올 함유 제품이 있어 사용 직후에는 음주측정 시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식약처는 특히 구강건조증이 있는 사람이나 입안이 쉽게 건조해질 수 있는 노약자의 경우 에탄올이 없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권장했다. 또 지난 2021년 ADA도 가글 선택기준 중 ‘임상적 고려사항(Clinical Consideration)’을 통해 치과의사에게 알코올은 구강을 건조하게 하기 때문에 환자에게 무알코올 가글을 권장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다고 권고했다.

 

이밖에 질병관리청에서도 알코올이 함유된 가글(구강 청결제) 사용 시 입안을 더욱 건조하게 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 같은 국내‧외 추세를 고려할 때 향후 가글제 선택의 중요한 기준으로 ▲무알코올 ▲순한 청량감 ▲높은 임상적 효능과 효과 ▲장시간 구강 내 유지를 핵심 키워드로 예상했다.

 

#‘검덴탈린스에스’ 가글 임상효과 눈길

 

이처럼 가글 선택에 관한 패러다임이 점차 알코올에서 무알콜로 변화되고 있는 가운데 무알코올 가글 대표 제품으로 알려진 선스타(Sunstar Inc.)의 ‘검덴탈린스에스’가 높은 임상적 효과와 통계학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경북대 치과대학병원 치주과학교실 임상 연구결과에 따르면, 잇몸의 건강을 나타내는 척도인 플라그 지수(PI)와 잇몸 지수(GI), 잇몸출혈지수(BOP)와 관련 유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제품에 관한 연구는 최근 SCI(E)급 학술저널(JPIS)에 등재되기도 했으며, 제12회 아시아-태평양 치주과학회(APSP) 및 제57회 대한치주과학회 종합학술대회에 공식 보고되기도 했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치주과학회 학술대회에서는 치주질환과 전신질환(당뇨‧심혈관질환‧특정암‧조산 등)의 상관관계 및 병원성 박테리아 억제 효능‧효과에 대해 공식 보고됐다.

 

해당 제품은 현재 서울대‧연세대‧경희대치과대학병원을 포함 치과의사를 교육하는 치과대학병원 및 국내 다수의 상급, 종합병원 및 치과병·의원에서 처방되고 있다. 특히 치과치료 후 치료효과 증대 및 지속, 재발방지를 위한 잇몸관리 프로그램인 SPT(Supportive Periodontal Therapy)의 핵심 축으로 국내 프로페셔널 마켓에서 인식되고 있다.

 

검덴탈린스에스는 CPC 성분의 4차 암모늄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한다. 제품 주성분인 CPC는 전기적으로 양전하(+)를 띄고 있으며, 이는 음전하(-)를 띄는 구강 내 유해‧병원성 박테리아와 전기적으로 강하게 결합해 입 밖으로 배출토록 해준다.

 

선스타 측은 “검덴탈린스에스는 리포다당과 전기적으로 강력하게 결합해 이를 구강 밖으로 뱉어 배출할 뿐만 아니라, 병원성 박테리아가 구강 내 부착, 정착하지 못하도록 잇몸을 코팅해 보호막을 형성해 준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잇몸 건강뿐 아니라 전신건강도 지킬 수 잇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선스타는 코로나19 펜데믹에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아시아 시장에 최적화된 ‘제3세대 GUM 가글’ 시장 확대를 대비한 연간 5천만 병 규모의 최첨단 가글 생산공장을 일본 야마니시현 미나미 알프스시에 신규 오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