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3 (일)

  • 흐림동두천 22.2℃
  • 흐림강릉 21.3℃
  • 서울 23.1℃
  • 대전 23.4℃
  • 박무대구 23.4℃
  • 흐림울산 23.8℃
  • 광주 22.6℃
  • 박무부산 23.7℃
  • 구름많음고창 22.8℃
  • 흐림제주 27.0℃
  • 구름많음강화 22.6℃
  • 흐림보은 22.1℃
  • 구름많음금산 23.7℃
  • 흐림강진군 23.4℃
  • 구름많음경주시 22.8℃
  • 구름많음거제 23.5℃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일본, 치아 재생 약 세계 최초 개발 주목

선천성 무치증 치료 효과 오는 9월 임상 예정
항체 활용해 치아 성장 막는 단백질 작용 억제

 

일본이 세계 최초 치아 재생 약을 개발한 가운데 오는 9월 임상 시험에 나선다.


일본 기타노 병원과 교토 시 소재 토레젬 바이오파마(이하 토레젬)는 지난 2일 기자회견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해당 연구 프로젝트는 선천적으로 치아가 적게 나는 ‘선천성 무치증’ 환자의 치료를 위해 시작됐다. 토레젬 연구팀은 지난 몇 년에 걸쳐 해당 약을 개발, 2030년 상용화를 목표로 오는 9월 인체 안전성 등을 확인하는 임상 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선천성 무치증은 태어날 때부터 치아가 적게 나는 증상이다. 사랑니를 제외한 성인 일반 치아 수는 28개. 이 중 6개 이상이 적을 무치증을 의심한다.

 

무치증 환자는 적은 치아 개수 탓에 씹는 기능이 저하되고 턱 발달에도 악영향을 준다. 특히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어 임플란트 수술을 받거나 틀니를 착용하는 것이 현재로선 전부다.

 

연구팀이 주목한 점은 항체를 통해 치아 성장을 막는 단백질(USAG-1)의 작용을 억제하는 것. 앞선 동물 실험에서는 턱뼈 안에 있는 치아 싹을 움직여 이를 자라게 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


오는 9월 진행 예정인 1차 임상 시험에[서는 30세 이상 성인 남성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며 내년 예정된 2차 시험에서는 2~7세 선천성 무치증 환자에게 투여한다. 해당 약의 가격은 150만 엔(약 1335만 원)에 달한다.


타카하시 카츠 박사(토레젬 대표이사)는 “임플란트와 틀니를 잇는 제3의 선택지를 만들겠다”며 “선천성 무치증 환자들을 위해 신약이 건강보험 대상에 포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