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3.8℃
  • 흐림강릉 28.7℃
  • 흐림서울 24.8℃
  • 대전 24.4℃
  • 흐림대구 28.8℃
  • 구름많음울산 26.6℃
  • 구름많음광주 26.4℃
  • 부산 24.3℃
  • 구름많음고창 25.9℃
  • 구름많음제주 29.8℃
  • 구름많음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5.1℃
  • 흐림금산 25.4℃
  • 구름많음강진군 27.3℃
  • 흐림경주시 28.9℃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훈민정음(訓民正音)

배광식 칼럼

한글은 조선의 제4대 임금인 세종이 1443년 음력 12월에 창제해, 1446년 음력 9월 상순에 반포한 우리나라 고유의 문자이고, 한글 창제시의 명칭은 훈민정음(訓民正音;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이다. 

 

훈민정음의 문자 체계를 해설한 한문본 책인 『훈민정음(해례본)』(https://kostma.aks.ac.kr/classic/gojunViewIframe.aspx?dataUCI=G002+CLA+KSM-WO.1446.0000-00000000.0002)은 1446년(세종 28년) 음력 9월 간행된 목판본 1책으로,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과 이 문자의 음가 및 운용법, 그리고 이들에 대한 해설과 용례를 붙인 책이다. 1940년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발견되어 현재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으며, 1962년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었고, 1997년 10월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훈민정음(해례본)』의 체재는 크게 ‘예의(例義)’와 ‘해례(解例)’ 두 부분으로 구분된다. 

 

‘예의(例義; 예와 뜻)’는 세종의 훈민정음 서문과, 새로 만든 문자 훈민정음의 음가 및 그 운용법에 대한 간략한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은 국립국어원(2008) 역에 의하면, “한국어의 음운체계가 중국과 달라서 중국어나 한국어를 기록하는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 백성들은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한자로는 제 뜻을 펼 수 없는 사람이 많다. 그래서 내가 이를 딱하게 여기고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들었다. 이것은 사람들이 쉽게 익히고 나날이 편하게 쓰도록 하기 위함이다”라고 목적과 취지를 밝혔다. 이는 백성을 사랑하고, 백성들이 생각할 수 있게 만드는 한글의 인문성(人文性)이 잘 드러나 있다고 하겠다.

 

음가 및 그 운용법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자음(초성자初聲字) 17자[아음(牙音,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는 모양; ㄱ, ㅋ, ㆁ), 설음(舌音, 혀가 윗잇몸에 붙는 모양; ㄷ, ㅌ, ㄴ), 순음(脣音, 입술의 모양; ㅂ, ㅍ, ㅁ), 치음(齒音, 이의 모양; ㅈ, ㅊ, ㅅ), 후음(喉音, 목구멍의 모양; ㆆ, ㅎ, ㅇ), 반설음(半舌音; ㄹ), 반치음(半齒音; ㅿ)]와 모음(중성자中聲字) 11자(ㆍ, ㅡ, ㅣ,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 도합 28자에 대한 것이고, 초성자의 병서(並書; 전탁자全濁字. ㄲ, ㄸ, ㅃ, ㅆ, ㅉ, ㆅ)가 추가되어 있다. 이는 한글의 과학성(科學性)이 잘 드러나 있다고 하겠다.

 

‘해례(解例)’는 제자해(制字解;문자 훈민정음을 만든 원리에 대해 해설 설명), 초성해(初聲解), 중성해(中聲解), 종성해(終聲解), 합자해(合字解; 초성·중성·종성의 세 글자를 합쳐 쓰는 방법 해설)의 5해(解)와 용자례(用字例; 실제 단어 123개의 용례)의 1례(例) 및 ‘정인지의 해례 서문[鄭麟趾 序文]’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해가 끝난 뒤에는 ‘訣曰’(“비결에 이르기를”)로 시작해 운문(韻文)으로 그 해의 내용을 압축하여 설명하고 있다.

 

제자해(制字解)에서,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는 “성음(聲音)을 바탕으로 하여 그 이치를 다하였다(但因其聲音而極其理而已)고 하면서 정음(正音) 28자는 상형(象形)을 기본으로 하여 만들었다고 천명하고 있다. 즉, 초성의 기본자 ㄱ(아음), ㄴ(설음), ㅁ(순음), ㅅ(치음), ㅇ(후음) 등은 (각각 그 소리 내는) 발음기관을 본떠 만들었다고 설명하고, 그 외의 글자들은 소리의 세기[초려稍厲]에 따라 획을 더하여 만들었다. 다만, ㄹ와 ㅿ는 각각 혀와 이의 꼴을 본떴으되 바탕이 달라 획을 가하지 않고 모양을 달리하여 만들었다고 하였다. 사람의 소리는 오행에 근본을 두고 있으니, 어금니는 어긋나고 기니 아음은 오행(五行)의 목(木), 혀는 날카롭고 움직이니 설음은 화(火), 입술은 펼쳐져 있고 합해지니 순음은 토(土), 이는 단단하고 물건을 끊으니 치음은 금(金), 목구멍은 깊고 젖어 있으니 후음은 수(水)이다. 

 

중성의 세 기본자 ㆍㅡㅣ는 천·지·인을 본떠 만들었다고 한다. 곧 천원(天圓)·지평(地平)·인립(人立)의 원·수평·수직을 본뜬 것이다. ㅡㅣ의 위와 오른쪽에 ㆍ를 가하면 ㅗㅏ가 되고, ㆍㆍ를 가하면 ㅛㅑ가 되어 양성 모음이 되고, ㅡㅣ의 아래와 왼쪽에 ㆍ를 가하면 ㅜ ㅓ가 되고, ㆍㆍ를 가하면 ㅠㅕ가 되어 음성 모음이 된다. 자음은 오행을 따르고, 모음은 천지음양을 따르니 한글의 철학성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또한 한글의 글자가 방[ㅁ]·원[ㅇ]·각[ㅿ]·점[ㆍ]·수직[ㅣ]·수평[ㅡ] 등 단순 간결한 기하학적 조형요소로 이루어져 단순하면서 아름다우니, 한글의 미학성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에스놀로그(ethnologue; https://www.ethnologue.com/)에 의하면 세계에는 현재 7,164개의 언어가 존재한다. 이중 문자가 존재하는 언어는 250여개였으나, 현재 사용문자는 40여개에 불과하다고 한다. 

 

인도네시아의 부톤섬(제주도의 약 2.5배) 바우바우시는 열대우림지대로 인구 16만명, 13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중 가장 많은 수가 찌아찌아족으로 약 91,000명이고 대부분 이슬람교도라 한다. 찌아찌아족은 찌아찌아어를 사용하는데, 고유문자가 없어서 언어와 고유문화가 사멸할 위기에 처했다. 19년 전인 2005년 한국외국어대 전태현 교수가 바우바우시의 국제학술대회에 참석차 방문했다가 이런 사정을 알고 한글사용을 권해 부족장 회의를 거쳐 2009년 한글을 부족의 문자로 도입하기로 결정하였다. 정덕영씨가 한글교사로 선발되어 2010년 부임했고, 1년여 만에 정부지원이 끊겨 우여곡절을 겪으며 2022년 8월에 학교를 세웠고, 2층 규모 건물에 한글학당이 자리하고 있다고 한다. 현재 한국어와 한글을 가르치는 세계의 세종학당 수는 85개국 273개이다. K-pop, K-drama 등 한류붐을 타고 한국말과 한글을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들이 많이 늘고,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채택하는 나라들도 늘어나고 있다. 

 

음소들의 음성학적 차이가 글자 모양에 반영되어 있는 문자 체계를 자질문자(資質文字, featural writing)라 하고, 이는 영국의 제프리 샘슨(Geoffrey Sampson) 교수가 한국어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한 표현이다.

 

디지털시대에 맞춤인 한글에 맞는 컴퓨터 자판체계를 연구하는 덕성여대 초빙교수인 독일 본대학교 번역학과 교수 출신 알브레히트 후베(Albrecht Huwe) 교수는, 한글의 삼겹자음, 삼겹모음이 구현되는 컴퓨터 자판 및 소프트웨어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삼겹자음과 모음이 구현되고, 현재 28자 중 사용하지 않는 네 글자(ㆆ, ㆁ, ㅿ, ㆍ)를 사용하면 많은 다른 나라 언어의 음가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문자 창제자, 반포일, 창제 원리가 알려진 문자는 한글이 유일하고, 정보화시대를 예견하고 만든 듯 디지털맞춤인 한글이 세계 공용문자가 되도록 노력할 일이다. 

 


※ 이 글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