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는 철저한 사후관리가 동반 돼야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 과가 나왔다.
대한치주과학회(이하 치주과학회)와 동국제약이 ‘제17회 잇몸의 날 기자간담회 및 기념식’을 지난 20일 한국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임플란트 성공과 실패, 사후 관리가 중요 합니다’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이날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임플란트 시술 환자의 43%는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을, 22%는 임플란트 주위염을 경험한다. 박진영 교수(연세치대병원)는 “임플란트 주위 질환 주변 조직의 세균은 우리 몸의 면역세포에서 잘 분해되지 않아 치주염과 달리 더욱 파괴적으로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구강 위생 불량(3.8배) ▲흡연 (5.89배) ▲조절되지 않은 당뇨(2.75배) 등이 있다.
하지만 임플란트 시술자의 89.4%는 “불편함이 없어 사후관리를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민경만 학회 홍보부위원장은 “임플란트 주위 질환은 증상이 느껴질 때 이미 진행된 경우가 많아 정기검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성태 교수(서울대치과병원)에 따르 면 임플란트의 유지 치료 간격은 초기 1 년간은 3개월, 이후에는 개별 위험도에 따라 6개월이 적절하다.
설양조 치주과학회 회장은 “임플란트 성공은 수술이 아닌 환자의 꾸준한 사후 관리와 정기 검진에 달려있다”며 “올해 잇몸의 날을 통해 사후관리의 중요성을 국민 건강을 위해 널리 알려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밖에 치주과학회는 ‘사랑의 스케일 링’ 봉사활동을 지난 14일 한양여대에서 진행했다. 치주과학회, 한양여대 치위생과, 동국제약은 매년 잇몸의 날을 맞아 평소 치과 방문이 어려운 장애인에게 치과검진, 스케일링 등 치과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이날 현장에는 학회 회원 25명과 치위 생과 학생 30여 명이 참석해 성분도 복지관 대학생과 작업장 근무자 60여 명에게 스케일링, 칫솔질 교육, 구강검진 등을 제공했다. 황윤숙 한양여대 치위생과 교수는 “학생들이 치과위생사로서 전문가 의식과 윤리의식, 책임감을 체득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설양조 회장은 “치주질환이 있는 장 애인들은 만성적 전신질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지만 진료에 어려움이 있다”며 “일반 개원의들의 장애인 진료에 대한 장벽을 낮추고, 넓은 의미의 치과계가 함께 할 사회공헌의 한 예시를 제공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또 조기영 재능기부단장(학회 고문)은 “이번 행사는 스케일링, 불소도포, 구강 보건 교육 중심의 ‘장애인 치과주치의 사업’에 대한 사례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