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내 감염관리 실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멸균 비용 등 감염관리에 관한 건강보험 수가가 제도적으로 반영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대한치과감염학회 2025 종합학술대회’가 지난 6월 22일 대웅제약 베어홀에서 열린 가운데, 이날 치과의료정책연구원 연구용역의 일환인 ‘멸균관리 강화에 따른 개원가의 효율적인 멸균관리 시스템 연구’(최혜숙 교수 외 5인)에 관한 주제 발표와 질병관리청 민간위탁 사업으로 이뤄진 ‘치과의료기관 감염관리 교육과정 개발 및 시범운영’(정경석 서울대치과병원 연구원)에 관한 연구보고가 진행됐다.
이날 주제 발표에 나선 최혜숙 교수(경동대 치기공과)는 개원가의 감염관리 강화 방안으로 ▲감염관리 비용 수가 반영 ▲감염관리에 관한 홍보·캠페인 강화 ▲사물인터넷(IoT) 기술 도입에 관한 정책적 기반 마련 등을 꼽았다.
특히 최혜숙 교수는 치과 의료기관에서 감염관리를 위해 멸균기 구입 및 유지 관리, 인건비 등을 부담하고 있는 만큼 이에 관한 보상 체계가 상응해야 감염관리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정경석 연구원도 치과 규모별 환경에 따른 차이로 감염관리 지침을 준수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며 감염관리에 관한 인센티브 도입과 함께 정부 주도 아래 감염관리 정책을 체계화하고, 이에 관한 행정적 틀도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다.
최혜숙 교수는 “국가적 차원에서 감염관리를 굉장히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그러나 병원은 인력도 너무 부족하고, 행정적인 부담도 크다”며 “국가 차원에서 감염관리에 관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경석 연구원은 “중소형 의료기관의 경우 감염관리 전담 인력을 확보하거나 유지하기가 매우 어려운 현실이 확인됐다”며 “이는 개별 의료기관의 노력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부분인 만큼, 제도적 개선과 정책적 지원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