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암, 마이크로바이옴, 줄기세포 등 한해의 기초치의학 연구를 총망라하는 자리가 열린다.
대한기초치의학협의회가 오는 11월 21일 서울 마곡동 오스템임플란트 본사 대강당에서 ‘제24회 대한기초치의학 학술대회(Annual Meet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Science)’를 연다. 이번 학술대회는 기초치의학 각 분야의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임상과 기초의 접점을 확장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첫 세션의 좌장은 김재영 교수가 맡으며, 방강미 교수(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구강해부학교실)가 ‘구강편평세포암 예후와 관련된 유전자 연구(Genes associated with the prognosis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를, 배형규 교수(연세의대 해부학교실)가 ‘From 2D to 3D: New Dimensions in Head and Neck Anatomy’를 주제로 강연한다.
이어진 초청강연에서는 하야토 오시마 교수(니가타대 의치학대학원)가 ‘Bridge of the Dental Sciences between Korea and Japan’을 주제로, 한일 양국의 기초치의학 연구 협력에 대해 다룬다.
오후부터 시작되는 세션Ⅱ의 좌장은 조성대 교수가 맡는다. 첫 연자로 나서는 김지은 교수(가톨릭대학교 의생명과학과)는 ‘From Gut to Oral Microbiome: Implications for Stem Cell Biology and Dental Regeneration’을, 김정현 교수(전북치대 구강병리학교실)는 ‘GLP-1 Signaling in Salivary Gland Hypofunction: Pathophysiological Impact of GLP-1R Sulfonation’을 주제로 발표한다.
세 번째 세션(좌장 문석준)에서는 김우진 교수(서울대 치의학대학원 치과약리학교실)가 ‘lnRNA H19 modulates osteoblast differentiation independently of cellular senescence under oxidative stress’를, 김형식 교수(부산치대 구강생화학교실)는 ‘TGFβ2-Driven Iron Dysregulation and Ferroptosis in Salivary Glands Trigger Hyposalivation Under Postmenopausal Conditions’을 주제로 강연을 펼친다.
특별세션에서는 김선헌 대한기초치의학협의회 회장이 좌장을 맡고, 배용철 교수(경북치대 구강해부학교실)가 ‘Morphological basis for craniofacial sensory processing and chewing within the brain and dental pulp’을, 김강주 교수(원광치대 구강미생물학교실)가 ‘Crosstalk between host and parasite’를, 허강민 단장(한국연구재단)이 ‘치의학분야 연구지원 현황’을 주제로 발표한다.
그 밖에 포스터 세션에서는 기초치의학 전 분야의 최신 연구가 전시되며, 연구자 간의 교류가 활발히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학술대회 초록 제출 및 사전등록 마감은 27일까지다.
대한기초치의학협의회 학술대회는 기초와 임상을 잇는 연구 교류의 장으로서 올해도 각 분과의 경계를 넘어선 통합적 연구 성과를 공유하며, 치의학 기초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등록 및 문의: urorasaeyo@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