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철웅 원장
■학력
전남대학교 치주과 수료
■경력
전남치대 외래 교수
현)금남로 미르치과병원 병원장
빛고을 임상 치의학 연구소 치주 및 임플란트 연수회 Director
MINEC 치주 및 임플란트 연수회 Director
New Crown Lengthening Procedure in Retromolar Area
하악 후구치부에서 새로운 치관연장 수술법
Introduction
임플란트가 발달되면서 치광연장술에 대한 필요성이 많이 감소되는 추세이지만, 자연 치아의 보존에 대한 노력은 시대와 상관없이 우리 임상의들에게 꼭 필요한 부분인 것 같다. 치주수술 중 임상 치관 확장술은 어려운 술식이 아니지만, 하악 후구치 부위의 수술은 매우어려운 경우들을 간혹 접하게 된다.
하악 최후방 구치의 원심측 치관연장술로는 치은절제술과 후구치 수술법이 이용된다. 그러나, 후구치 원심측의 부착치은이 부족한 경우에는 각화치은을 보존하기 어렵고, 유동성의 비각화 조직이 재증식돼 충분한 임상치관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많은 양의 골처치가 필요한 경우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후구치의 원심 측 치관연장시 각화치은을 보존하면서 충분한 양의 치관을 노출시킬 수 있는 새로운 술식을 보고하고자 한다.
Conventional Technical procedure
Gingivectomy (Fig 1)
Biologic width를 위한 건전 치질 3mm 이상이 확보돼 있고 절제 후에도 부착치은이 충분히 남는 경우 Externally beveled gingivectomy를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골 상방 건전 치질의 양이 확보되지 않거나 부착치은이 부족한 경우에는 금기증이 될 수 있다.
Distal Molar Surgery (Fig 2)
Biologic width를 위한 건전 치질 3mm 이상이 확보돼 있지 않아 치조골 삭제를 시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후구치 수술을 시행한다. 후구치 부위의 부착치은이 부족한 경우에는 각화치은을 보존하기 어렵고, 골삭제가 근단측으로 많이 시행되는 경우에는 유동성의 비각화 조직이 재증식돼 충분한 임상치관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Apically Repositioned Flap Surgery with denudation technique (Fig 3)
후구치 수술을 시행하기에는 부착치은의 양이 부족하고 골삭제가 근단측으로 많이 시행되는 경우에는 협측 판막을 근단 변위시키고 후구치 부위의 치조골을 노출 시키는 방법이 이용 되기도 한다. 그러나 노출된 치조골 상방의 치유가 늦고, 설측과 후방 부위의 유동성의 비각화 조직이 재증식돼 치근면에 협착돼 충분한 임상치관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New Technical procedure (Modified Apically Repositioned Flap Surgery)
임상적으로 하악 후구치 부위에서는 부착치은이 부족하거나, 많은 양의 골처치가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기존의 후구치 수술법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후구치의 원심 측 치관연장시 각화치은을 보존하면서 충분한 양의 치관을 노출시킬 수 있는 새로운 술식에 대해 임상 소견과 도식으로 설명하겠다.
Conclusion
하악 최후방 구치의 원심측은 부착치은이 부족한 경우가 많고, 수술 접근이 어려워 치관연장술 시행시 어려움을 많이 겪는 부위 중 하나이다. 본 증례에서 사용한 술식의 경우 각화치은을 보존하면서 충분한 양의 치관을 노출시킬 수 있어 하악 최후방 구치의 원심측 치관연장술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