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의학전문대학원에 입학한 뒤 내게 새롭게 생긴 하나의 버릇은 운전을 하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대로변이나 골목 곳곳에 있는 치과 간판을 보며 치과가 정말 많구나…하는 감탄반 걱정반을 하는 것이다. 여기 더해 평소에 웹서핑을 하며 시간 축내는걸 즐기는 나는 각종 커뮤니티에 올라오는 치과 관련 게시물도 빼놓지 않고 보는 편인데, 얼마전 블라인드라는 직장인 커뮤니티에 한 치과의사 선배님이 어떤 치과를 가고 싶냐고 물어보는 글에 많은 직장인들의 댓글이 달렸는데, 굉장히 많은 참고할만한 댓글이 달려서 공유해보고자 한다. 약 200여개의 댓글 중 많은 공감을 받았던 댓글로는, 1. 과잉진료 안하고, 데스크에 계신분들이 친절한 곳(좋아요 214개) 2. 평일에 야간진료를 하고, 주말에도 여는곳(좋아요 72개) 3. 상담실장 없는 치과(좋아요 38개) 4. 입 오래 벌릴때 바세린이나 립밤 발라주는 곳(좋아요 22개) 5. 가글마취, 도포마취 해주는 곳(좋아요 14개) 6. 치아상태 카메라로 찍어서 직접 보여주는 곳(좋아요 14개) 7. 네이버 예약 연계, 일년에 한번 스케일링 알림문(좋아요 10개) 8. 시술시 어떤 과정을 하고 있는지 차례차례 말해주는 곳(좋아요 9개)
누군가를 처음 만나서 이런저런 신변잡기와 관심사에 관해 대화하다 보면, 인생 영화나 인생 책을 질문 받는 경우가 있곤 하다. 마치 회사 면접 질문 리스트를 미리 만들어 준비하듯이 저 두가지 질문에 대한 답변은 어느 정도 대비가 되어있는데, 얼마 전 인생 ‘시’가 뭐냐는 질문을 처음으로 받고 굉장히 놀라고 당황했던 기억이 난다. 학창시절 정철의 사미인곡이라든지, 이상의 시라든지를 화자의 정서와 표현법에 교과과정에 맞추어 마치 MBTI F처럼 억지로 공감해가며 읽었던 기억만 있을 뿐 남에게 당당히 내 인생 시라며 마음에서 우러나와 추천해줄 수 있는 시가 없었던 까닭이다. 그래서 본과 2학년 2학기의 다시 없을 마지막 방학을 맞이했겠다 오랜만에 교보문고에 들러 시 코너를 뒤적였다. 나의 고약한 습관 중 하나는 영화든, 소설이든, 무엇이든 처음 전개부터 흥미로워야 끝까지 결말을 보고싶어 한다는 것인데, 내 이목을 끌만한 제목이나 첫 챕터를 보이는 책이 없어 슬슬 흥미가 떨어져가던 찰나 한 시집의 제목을 발견했다. <사랑하라, 한번도 사랑하지 않은 것처럼>, 류시화 엮음. 이 얼마나 짧고도 강렬한 제목이던가. 제법 관심을 가지고 시집을 찬찬히 넘겨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