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덴티스트리 선도 기업 디오가 시멘트리스 보철을 활용한 임상 노하우를 공유했다. 디오는 지난 11월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Stress-less 치과 만들기 프로젝트 Part.1 Cement-less 보철 시스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디오의 차세대 시멘트리스 보철 시스템 ‘DIO UV+ Abutment’를 중심으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치과 진료를 위한 실질적 솔루션과 임상 경험을 공유하는 자리로 진행됐다. 100여 명의 참가자와 함께한 이번 세미나는 UV+ Abutment의 차별화된 장점과 이를 실질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심도 있는 강연으로 큰 호응을 얻었다. 첫 번째 강연에서는 최병호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명예 교수(디지털월드치과)가 ‘환자와 분쟁 없는 치과’라는 주제로 진료 시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으로 UV+ Abutment를 사용한 Cement-less 보철 시스템을 추천해 이목을 끌었다. 이어 ‘DIO UV+ Abutment’의 최다 필드 테스트를 진행한 손현락 원장(뉴튼치과병원)은 ‘UV+ Abutment의 이해와 활용’을 주제로 다양한 임상 사례를 공유, ‘No Link, No Col
네오바이오텍(이하 네오)이 임플란트 수술 성공률을 높이고 술자의 편의성을 강화한 Bone Shaping Kit ‘MAXY Kit’를 새롭게 출시했다. MAXY Kit는 ‘MAXY-Hard’와 ‘MAXY-Soft’ 두 가지 타입으로 구성된 임플란트 수술용 키트다. Fixture와 동일한 형태의 Tap을 사용해 ‘Non-Traumatic Osteotomy’와 ‘Maximum BIC(Bone-to-Implant Contact)’를 구현, 골질별로 다르게 적용했던 Drilling protocol을 단순화시켜 뼈 손상을 최소화해 임플란트의 안정성과 성공률을 높이도록 설계된 솔루션이다. MAXY-Hard는 Hard Bone(D1~D2)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나타날 수 있는 ‘Over Compression’과 ‘Over Heating’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Fixture와 동일한 형상의 Tap을 적용해 뼈를 정밀하게 절삭한다. 또 특수 설계된 ‘Cutting Edge Flute’를 통해 뼈 조각(Bone Chip)을 효과적으로 제거해 작업 효율성을 향상하고, 기존의 프로토콜을 단순화해 수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MAXY-Soft는 Soft Bone(D4)에서 인접
디오가 최근 독일 VHF 사의 체어사이드 밀링머신 E4를 선보여 이목을 끈다. E4 밀링머신은 컴팩트한 사이즈(28kg, 360x370x490mm)로 공간 제약 없이 어디에나 설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German Innovation Award 2023’을 수상한 에어터빈 툴을 탑재해 에어컴프레서가 필요 없어 소음을 완전히 차단, 치과 환경에 최적화된 설계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E4 밀링머신은 하이브리드 세라믹(Hybrid Ceramic) 소재로 단일 크라운(Single Crown)을 약 20분 내외로 가공할 수 있을 만큼 뛰어난 정밀도를 자랑하며 VHF에서 자체 개발한 직관적인 CAM 소프트웨어를 통해 클릭 몇 번으로 밀링 작업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업계 최초로 2년 무상 보증(스핀들 2,000시간 기준)을 제공해 장기적인 안정성과 내구성도 보장한다. 이를 통해 밀링기 고장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대폭 줄이고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무엇보다 VHF 사는 3shape과의 비즈니스 파트너십을 통해 혁신적인 디지털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왔다. 이번 VHF E4 밀링머신은 3shape Design St
디지털 임플란트 전문기업 디오가 지난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첨단기술기업에 지정됐다. 첨단기술기업 지정은 특구에 입주한 기업 가운데 정보통신기술, 생명공학기술, 나노기술 등 기술집약도가 높고 기술혁신 속도가 빠르며 기술 분야에서 국내외 특허권을 보유하고 이를 활용해 제품을 생산·판매하는 기업을 첨단기술기업으로 지정하는 제도다. 디오는 디오나비(DIonavi), 디오나비-풀아치(Dionavi-FullArch)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환자 상태에 맞는 시술 방법을 결정하는 최첨단 디지털 임플란트 시술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첨단기술기업으로 지정되면 향후 3년 동안 법인세가 100% 면제되고, 그 후 2년 동안 50%가 감면된다. 또 취득세와 재산세 등의 지방세 감면 혜택도 제공된다. 디오 관계자는 “약 300억 원대의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로 마련되는 재원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 해외 주요 국가사업 확대를 위한 거점 확보,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신규 국가 진출, 설비 자동화 투자를 통한 안정적 공급체계 구축, 글로벌 전문 인력 고용 확대 등에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김종원 디오 대표이사는 “우리 회사의 디지털 임플란
치과용 임플란트 제조업체인 이젠임플란트가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이젠임플란트는 최근 중기부 주관 ‘2024년 중소기업 R&D 우수성과 50선’ 사업화 분야에 선정,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중소기업 기술개발(R&D) 우수성과 50선’은 중소기업 R&D 우수성과 선정기업을 격려하고 우수성과를 대내외에 알리기 위한 성과공유의 장으로서, 지난해 행사를 시작으로 올해 두 번째를 맞이했다. 이젠임플란트는 이번 선정으로 감면 혜택, 글로벌 전시회 참가 지원, 후속 R&D 과제 가점 부여 등 다양한 지원을 받게 된다. 업체 측은 ‘치과 디지털시스템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및 스캔바디 개발’을 통해 치과 디지털 환경에 최적화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임플란트 지대주, 스캔바디, 임플란트 고정체, 시술 기구 등을 개발 판매해 매출이 급성장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젠임플란트는 이러한 성과 및 기술력을 기반으로 국내 의료기기 인허가는 물론 유럽 CE, 미국 FDA 인증 등 국가별 인허가를 획득하고 글로벌 시장에 활발하게 진출하고 있으며 작년 138억의 매출을 달성한 바 있다. 김주석 이젠임플란
세계임플란트 교정학회(World Implant Orthodontic Association, 이하 WIOA)가 치의학 후학 양성을 위해 World Implant Orthodontic Foundation(이하 WIOF)을 조성했다. WIOA는 지난 11월 28일 서울 롯데월드타워에서 학회 임원, 교육지도의 및 회원 기업들과 함께 WIOF 설립 취지를 알리고 기금 조성에 힘을 실어준 치과계 유수 업체들을 소개하는 자리를 개최했다. 이번에 설립된 WIOF는 치의학 후학 양성을 위한 기금으로 이기준 WIOA 회장(연세치대 교정과 교수)이 주도, 치과계 유수 업체 11개 곳이 참여했다. 특히 회원 업체들의 참여로 매년 1만 불(1400만 원) 상당의 학술 상금을 조성, 이를 매년 개최되는 WIOC 학회에서 발표하는 복수의 우수한 전공의 및 석박사 학생에게 presidential award 형태로 지급할 수 있게 됐다. 이는 기존 1000불 상당이었던 presidential award 상금이 10배가량 증액된 것으로 교정학계 인재 발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아울러 WIOA는 이번 자리를 통해 치의학 후학 양성과 학술 진작 활동에 본격적으로 나
치의학 교육 전문가들이 모여 세대 간 거리를 좁히고 교육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방법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한국치의학교육학회(이하 치의학교육학회)는 지난 11월 21일과 28일 온라인 zoom을 활용해 ‘2024년 한국치의학교육학회 추계 학술집담회’를 개최했다. 특히 이번 학술집담회에서는 최신 치의학 교육과 기술변화에 대해 논의했으며 MZ세대와의 거리를 좁힐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법 등도 소개돼 눈길을 끌었다. 구체적인 강연으로는 지난 11월 21일 ▲신형석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수업 설계 이론의 효과적 적용’을 주제로 ▲박신영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교수가 ‘학생 평가의 원칙’을 주제로 강연에 나섰다. 이어 지난 11월 28일 오후에는 ▲김준혁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수가 ‘MZ 세대 이해하기’를 주제로 ▲류정희 전남대 치의학전문대학원 교수가 ‘학생 상담의 과정과 기법’을 주제로 강연해 의미를 더했다. 이병도 치의학교육학회 회장은 “최근의 눈부신 디지털 기술의 발전, Chat GPT 등을 포함한 AI 기술의 등장, ,스마트폰에 능숙한 MZ세대의 등장 등 치의학 교육환경이 많이 바뀌고 있다. 의료인의 사회적 책무성과 의료윤리의 강화, 환자 위주의 진
대한설측교정치과의사회(이하 KALO) 임원진이 지난 11월 23일 일본에서 개최된 일본설측교정학회(JLOA) 정기학술대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양 단체는 학술과 친목을 기반으로 10년 넘게 교류해왔으며 매년 열리는 학술대회 때마다 서로 연자를 초빙해 양국의 임상경험을 공유해왔다. 특히 도쿄에서 열린 이번 JLOA 학술대회에는 배기선 KALO 회장이 대표로 ‘Lingual, Clear Aligner and Digital Orthodontics’를 주제로 강연에 나서 이목을 끌었다. 무엇보다 Clear aligner로 얻기 어려운 치아 이동 유형에 관해 설명하고, 설측교정 장치를 Clear aligner와 함께 사용해 각 장치의 장점을 살려 치료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설명했다. 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3D 프린팅 브라켓으로 치료한 다양한 임상증례를 발표해 참석자들의 호평을 받았다. KALO 관계자는 “제17회 정기학술대회가 Lingual Braces and Clear Aligners, a Winning Combination이라는 주제로 오는 2025년 4월 6일 마곡 오스템 임플란트 대강당에서 개최될 예정”이라며 “심미적인 장치를 원하는 환자가 가장
네오바이오텍(이하 네오)이 지난 11월 22일부터 24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YESDEX 2024에 참가, 혁신적인 제품과 다채로운 체험 기회를 제공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네오는 이번 행사에서 ▲제품존 ▲상품존 ▲디지털존 ▲가이드존 ▲개원존 등으로 부스를 세분화해 주요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였다. 제품존에서는 스크류 홀이 없는 차세대 임플란트 보철 ‘YK Link’, 새롭게 출시될 임플란트 tapping tool ‘MAXY Kit’를 비롯해 픽스쳐와 스크류, 어버트먼트까지 제거할 수 있는 토탈 리페어 솔루션 ‘All-in-One Remover Kit’ 등이 전시됐다. 특히 라이브 데모 등 참관객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면서 네오 제품들의 우수성을 생생히 각인시켰다. 또 상품 존에서는 최고급 가죽시트가 적용된 유니트체어 ‘NEO CHAIR M5’,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기 ‘AnyCheck’ 등을 소개했으며 디지털존에서는 3D 프린터 ‘NeoSpeed ll’를 비롯해 구강스캐너 ‘Primescan Connect‘, ‘i900’, 밀링머신 ’Motion2 Dry’을 선보여 개원가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부스에서 제품을 체험한 한 참관객은 “네오의 뛰어난 기술력으로
허영구 네오바이오텍(이하 네오) 회장이 남미 임상가들에게 임플란트 노하우를 전수한다. 네오는 오는 12월 4~5일 네오의 딜러사인 ‘All BIOMED Chile’가 칠레 산티아고에서 주관하는 ‘Third Latin American Symposium’에 참석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허영구 네오 회장이 직접 4일과 5일 연단에 올라 AnyTime Loading과 CMI Fixation을 콘셉으로 강연을 할 것으로 예정돼 있어 기대를 모으고 있다. 구체적으로 4일에는 ‘From Challenges to Innovations: Neobiotech's Revolutionary Journey In Implantology’를 주제로 네오의 혁신적인 제품과 함께 ‘AnyTime Loading’의 등장 배경, 역사 등을 소개하고 다양한 임상 사례를 통한 네오 제품 사용 노하우를 공유할 계획이다. 이어 5일에는 ‘From Concept To Practice: Zero Failure With CMI Fixation & AnyTime Loading’을 주제로 네오만의 독보적인 콘셉트인 ‘AnyTime Loading’을 중심으로 성공률 100%에 도전하는
최근 트럼프 2기 내각 인선에 미국 내 수돗물 불소화 사업 철회를 주장했던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가 보건 수장에 지명되며 불소 정책이 흔들리고 있다. 반면 이 여파로 헨리 샤인 등 치과 용품 업체의 주가가 크게 치솟고 있다. 트럼프 2기 내각 보건복지부(HHS) 장관에 지명된 케네디 주니어는 공공 수도 시스템에 충치 예방용 불소를 추가하는 것을 중단하라고 목소리를 내온 인물이다. 특히 SNS를 통해 “불소는 골절과 암을 유발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구강 건강을 위한 수돗물 불소화 정책은 미국 내에서도 오랫동안 유지되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불소화 사업 중단을 요구하는 일부 단체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고 이에 따른 법적 문제도 벌어진 상황이다. 특히 캘리포니아주의 한 판사는 공공 음용수에 불소를 첨가하는 것은 아이들의 IQ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미국 환경 보호청에 이러한 위험을 해결하기 위한 규제를 마련하라고 최근 명령키도 했다. 불소 사업을 반대해왔던 케네디 주니어가 미국 내 보건 영역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 내 공공 수도 불소와 정책이 큰 위협을 받고 있다. 특히 산업 분야에서도 이 같은 기조가 적극 반영되고 있다. 케네디
디오 임플란트(이하 디오)가 풀아치 임상 노하우와 이를 통한 병원 경영 노하우를 전수했다. 디오가 지난 11월 16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한 ‘디오나비 풀아치 성장 전략 세미나: 환자가 먼저 찾는 디오나비 풀아치의 핵심 노하우 공유’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치과 원장과 스텝 등 총 70여 명이 참석, 디지털 덴티스트리 기술과 풀아치 성장 전략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세미나는 ▲풀아치 케이스 증대를 위한 핵심 노하우 ▲효율적인 환자 상담 기술 ▲디지털 마케팅 방안을 활용한 치과 성장 방안 등 치과 경영과 임상 성장을 위한 다양한 주제를 다룬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됐다. 첫 번째 세션은 손현락 원장(뉴튼치과병원)이 풍부한 임상 경험과 다양한 사례를 바탕으로 치료 과정 전반을 심도 있게 설명하며 풀아치 케이스 증대의 핵심 노하우에 관해 발표했다. 이어 두 번째 세션에서는 조정훈 대표원장(화순 일이삼플란트치과의원)이 실제 풀아치 상담 사례를 통해 환자의 신뢰를 얻는 기술과 동의율 99%를 달성한 상담 노하우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참석자들의 실무 이해를 높였다. 세 번째 세션은 이현승 대표(원에이드)가 유튜브 채널 운영을 통해 환자와의 접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