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이하 보건연구원)이 국제기구인 국제백신연구소(IVI) 등과 협력해 지난 7일 제작에 성공한 코로나19 예방 백신 후보물질의 임상시험을 실시할 계획이다. 보건연구원이 이번 임상시험은 지난 6일부터 미국에서 임상시험을 실시하고 있는 이노비오(Inovio)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INO-4800)을 이용해 국내 임상1·2상 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지난 16일 밝혔다. 이 연구는 국제 민간공동기구인 감염병혁신연합(CEPI)에서 약 84억 원을 지원하며,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협업해 해당 후보물질의 안전성·효능 등을 분석·평가할 예정이다. 김성순 보건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장은 “이번 글로벌임상시험을 통해 인체에 대한 안정성과 효능이 확인되면 코로나19 백신 개발이 가속화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필수 예방 백신 개발을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해 실용화 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현재 건립 중인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를 통해 민간 지원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에 사용하는 후보백신은 인체 접종 후 세포 내에서 병원체의 단백질이 생산돼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DNA백신 플랫폼을 이용한 기술로, 메르스(MERS,
턱관절장애교육연구회(회장 김욱)가 지난 12일 광명데이콤 빌딩 대강당에서 ‘2020년 제1회 턱관절장애, 이갈이, 수면무호흡증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어드밴스 실습 코스’를 열었다. 이날 세미나에는 김욱 원장(의정부 TMD치과의원)의 강의와 소속 임상지도의인 김재홍, 남진우, 김성헌, 손병진, 김형일 구강내과 전문의들의 실습 지도로 28명의 수강생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세미나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수강생 전원의 문진•체열 측정을 마치고 1미터씩 떨어져 앉아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진행했으며, 높은 학구열에 미리 예정된 시간을 1시간이나 훌쩍 넘겨 마무리됐다. 1교시에는 ‘턱관절장애의 진단 및 대표적 10가지 증례에 대한 표준적 측두하악장애 진단분석검사에 대한 강의’를 통해 임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90% 이상의 증례에 대한 표준적 분석검사•차트작성법을 교육했다. 2교시에는 ‘턱관절장애의 물리치료 및 교합안정장치요법’에 대한 강의 후에 물리치료 장비를 시연하고 임상지도의의 지도하에 감염 방지형 셀프 실습을 수행했다. 3교시에는 소위 “턱관절 전달마취”라 불리는 이개측두신경 전달마취(Auriculo-Temporal Nerve Block)에 대
영국이 코로나19 대응으로 일반적인 치과 진료를 중단하고 응급 치료만 가능하도록 조치를 내린 가운데, 진료가 필요한 환자들의 불만이 급증하고 있다. BBC는 최근 영국치과협회(이하 BDA)가 응급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긴급치과허브(Urgent Dental Care hubs•이하 UDCs)를 설치하고 있지만 수요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환자들이 불편함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UDCs는 3월 20일부로 모든 치과의 일반적인 진료를 중단하라는 BDA의 조치와 함께 설계됐으며, ▲부러진 치아 ▲발치 후 출혈 ▲얼굴 붓기 ▲치주 및 연조직 감염 등의 증상이 나타난 환자만 이용할 수 있는 응급 치과 서비스다. 그러나 BDA는 BBC와의 인터뷰를 통해 “UDCs가 턱없이 부족해 영국 치과의사들이 진통을 겪고 있는 환자들을 진찰할 수 있는 곳이 거의 없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현지 환자들은 UDCs를 이용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한 환자는 “치과의사와 두 차례 정도 통화했지만 얼굴이 부어올랐을 때만 진료가 가능하다는 답변만 받았다”며 “지금은 자가 진단을 스스로 해야 하는 상황이다. 만약 증상이 오래되면 어떻게 될지 걱정 된다”고 전했다. 영국 국민건강서비스(
이정후 원장(아이엠치과)이 비타민B3 섭취가 부족하면 치주염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논문을 발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 원장이 서울대학교 예방치과학교실 박사 과정 중 SCI급 국제 치과학술지 ‘치과의술과 구강역학(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2월호에 비타민과 치주염의 연관성을 연구한 논문 'Periodontitis and intake of thiamine, riboflavin and niacin among Korean adults'(제1저자 이정후·교신저자 김현덕 교수)이 게재됐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2007년부터 2012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한국 성인 1만2750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식사를 통한 비타민B1, B2, B3 섭취량과 치주염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했다. 연구결과 비타민B 중에서도 특히 비타민B3 섭취가 부족하면 치주염 위험도는 1.25배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중에서도 여성 집단은 남성 집단에 비해 1.4배, 40~59세 성인은 다른 집단에 비해 1.6배 위험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 대상자 전체의 치주염 유병률은 29.9%로 나타났다. 이밖에 특이사항으로 치주염은 고
경북대 치전원 졸업생들이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방지하고자 모교 병원에 의료물품 5860여개를 기부한다. 경북치대 30회 졸업생들(치전원 1회)은 경북 지역이 코로나19의 영향을 상당히 받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경북대치과병원을 위해 페이스쉴드 3860세트와 손 소독제 500ml 2000개를 기부할 예정이라고 지난 2일 밝혔다. 이번 기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북 지역의 코로나 확진자 때문에 환자들이 몰리는 병원에서라도 안전하게 진료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 이뤄졌다. 이 기부를 처음 생각해낸 김재윤 원장(수치과의원·이하 김 원장)은 “마스크, 손 소독제 같은 의료물품이 당장 필요하다는 대구시의사협회장의 인터뷰를 접하고 개인적으로라도 도움을 드리고 싶었다”며 기부의 취지를 밝혔다. 또한 그는 “혼자서라도 기부를 하려고 했지만, 예상보다 많은 이들이 함께 돕고 싶어 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모금을 시작했다”며 동기간의 펀딩을 시작한 이유를 설명했다. 그의 뜻에 함께 동참한 동기는 무려 38명이나 됐다. 그리고 이 소식을 들은 의료업체 관계자들 또한 그들의 기부에 힘입어 동참의사를 비췄다. 디맥스인터내셔널(대표 한동훈)과 스킨팜(대표 안지훈)은 페이스쉴드와 손 소독
지난해 누적 수강생 3000명을 달성하며 뜨거운 호응을 받았던 ‘턱관절 장애 One-day 세미나’가 이번에는 어드밴스 실습 코스로 개원가를 찾아온다. 턱관절장애교육연구회(회장 김욱)가 주최하는 ‘2020년 제1회 턱관절 장애, 이갈이, 수면무호흡증 One-day Advance 실습 코스’가 오는 4월 12일 광명데이콤빌딩 12층 세미나실에서 열린다. 이번 세미나에서도 김욱 원장(의정부 TMD 치과의원)이 연자로 나서며, 15명의 임상지도의가 참석자들의 실습을 지도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코스는 참석자를 2인 1조로 구성해 더욱 심도 있는 실습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세미나는 강연과 실습 두 파트로 나뉜다. 강연은 ▲턱관절 장애 10가지 증례별 표준 진단 및 치료계획 ▲턱관절 환자의 2단계 교합치료 ▲턱관절강세척술, 스테로이드 주사요법 시술 동영상 강의 ▲턱관절 덴탈 콘빔 CT(TMJ-CBCT) 판독·청구 등 이론에서 보험 청구까지 폭넓게 구성돼 있다. 이어지는 실습에서는 ▲보툴리눔 독소 주사 실습 ▲목, 어깨 근막통증, 두통 치료·예방 승모근 주사 시연 ▲안면 주름 개선 미용 주사 HIFU 시연 ▲턱관절 이개측두신경블록 실습 등 질환별 주사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