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4 (목)

  • 구름조금동두천 22.6℃
  • 구름많음강릉 27.2℃
  • 구름많음서울 23.5℃
  • 박무대전 23.6℃
  • 맑음대구 23.1℃
  • 맑음울산 22.8℃
  • 박무광주 23.6℃
  • 박무부산 23.3℃
  • 맑음고창 21.9℃
  • 박무제주 24.7℃
  • 맑음강화 21.0℃
  • 구름많음보은 22.9℃
  • 맑음금산 20.8℃
  • 흐림강진군 23.5℃
  • 맑음경주시 22.3℃
  • 맑음거제 23.3℃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코로나 환자 정신적 후유증 원인 밝혔다

스파이크 단백질이 해마 신경세포 사멸
이성중 교수 “새 치료법 개발 기틀 마련”

 

국내 치과대학 연구팀이 코로나19 환자가 겪는 정신적 후유증의 원인을 규명해냈다.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이성중 교수 연구팀(신경면역네트워크연구실)은 코로나19 환자가 겪는 인지 및 정신 장애의 원인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Spike protein, S1 protein)에 의한 해마 내 신경세포의 사멸 때문이라는 사실을 밝혀 최근 학계에 보고했다.


코로나19 환자의 약 15~20%는 정신적 후유증을 경험하고, 완치 후에도 증상이 지속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그 원인은 명확히 규명되지 않고 있었다.


이에 연구진들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그 원인으로 지목해, 스파이크 단백질을 실험용 쥐의 뇌 해마영역에 직접 투여하고 행동을 관찰했다. 그 결과 인지 능력이 감소하고, 불안 증세가 늘어난 것이 확인됐다.


또 이러한 현상의 근본 원인을 찾기 위해 스파이크 단백질을 주입한 마우스의 뇌를 조직학적 측면에서 조사한 결과, 해마영역의 신경세포 수가 크게 감소했고, 신경교세포(neuroglia)가 활성화된 것을 발견했다.

 

뿐만 아니라 스파이크 단백질에 의해 활성화된 신경교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1베타(Interleukin-1β)의 발현과 분비가 증가해, 해마신경세포의 사멸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진들은 추가 연구를 통해 인터루킨-1베타에 대한 항체가 해마신경세포의 사멸을 감소시킨다는 중요한 결과를 보고했다.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뇌 안에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신경교세포의 면역반응을 유도해 신경세포의 사멸 및 정신적 후유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데 의의가 있다.


이성중 교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남을 커다란 상흔에 대한 새로운 치료표적을 제시함과 동시에 향후 치료법 개발에 대한 기틀을 닦는 매우 중요한 연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