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0 (일)

  • 맑음동두천 9.1℃
  • 흐림강릉 9.5℃
  • 박무서울 9.5℃
  • 안개대전 13.9℃
  • 구름많음대구 18.8℃
  • 흐림울산 13.2℃
  • 광주 16.5℃
  • 박무부산 16.6℃
  • 구름많음고창 14.4℃
  • 구름많음제주 16.8℃
  • 맑음강화 6.6℃
  • 흐림보은 14.7℃
  • 흐림금산 15.1℃
  • 구름조금강진군 17.0℃
  • 구름많음경주시 12.0℃
  • 흐림거제 17.4℃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한국인 비만 기준 새롭게 바꾼다

건보공단, 국내 실정 맞게 상향 의견
질병 발생 위험 구간 고려 조정 필요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이 한국인의 비만 기준 조정을 추진한다.

 

건보공단은 지난 11일 한국인 비만 기준 체질량지수(BMI)를 기존 25에서 27로 상향 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건보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이 지난 8일 ‘2024년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이뤄졌으며, 건강검진 수검 성인 약 847만 명을 21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를 토대로 삼았다.

 

이에 따르면, 현재 비만 기준인 BMI 25 구간에서 사망 위험이 가장 낮게 측정됐다. 또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 심뇌혈관질환과 연관성에서도 BMI 25를 기준으로 특정할 근거가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BMI 27을 비만의 기준으로 상향해야 한다는 것이 건보공단의 설명이다.

 

실제 연구에서도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의 질환은 BMI 27 구간에서 증가 폭이 확연히 높아졌다. 이어 심혈관질환은 BMI 29, 뇌혈관질환은 BMI 31 구간에서 크게 늘어난 모습이 확인됐다. 이에 건보공단은 현행 비만 기준을 최소 BMI 27 이상으로 상향 조정할 것을 제언했다.

 

이번 연구에 대해 오상우 교수(동국대일산병원)는 “20년 전 분석에서는 BMI 23에서 가장 낮은 사망 위험률이 나타났으나, 현재는 국민 체형, 생활습관, 질병 양상이 서구화하며 BMI 25에서 가장 낮은 사망 위험 결과가 나왔다”며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BMI 진단 기준을 27로 상향 조정하는 것이 한국인의 적절한 진단 기준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또 이선미 건강보험연구원 건강관리연구센터장은 “이번 연구는 비만 기준과 관련한 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 최대 규모 추적 관찰 연구”라며 “이를 고려할 때 기준을 최소 BMI 27 이상으로 상향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중국은 이미 BMI 28 이상을 비만 기준으로 적용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