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8.1℃
  • 구름조금강릉 32.7℃
  • 구름많음서울 30.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많음대구 33.1℃
  • 구름조금울산 33.3℃
  • 구름조금광주 31.5℃
  • 맑음부산 29.5℃
  • 맑음고창 33.1℃
  • 맑음제주 29.4℃
  • 구름많음강화 27.1℃
  • 흐림보은 29.6℃
  • 구름조금금산 31.7℃
  • 맑음강진군 30.6℃
  • 구름많음경주시 34.3℃
  • 구름많음거제 25.4℃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한·일학술교류 (下)
조선치대 - 도쿠시마대학 치학부

■ 치과보철학 제2강좌 소개 ※ 도쿠시마대학 치학부 치과보철학 제2강좌 나카노 마사노리( Masanori Nakano) / 조교수 오상호 / 한국인 유학대학원? 2001년 3월 8일부터 3월 11일까지 도쿠시마대학 치학부의 반도 에이이치 교수를 대표로 교직원 6명과 치학부학생 10명 및 조선대학교 치과대학으로부터 본 교실에 박사과정의 대학원생으로 유학을 하고있는 오상호 선생등 일행 17명은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신축교사의 완성을 기념하는 식전 및 제4회 국제학술세미나 그리고 제2회 한일 학생학술교류 세미나의 초대를 받아 방문하였다. 조선대학교 치과대학의 새로운 건물의 위용, 대학측의 따뜻한 환대, 교직원과 학생들의 학구열, 그리고 학생들의 반짝이는 눈빛에 감동을 받고 돌아왔다. 이번 광주방문은 참가한 사람 뿐만아니라 도쿠시마대학 치학부로서도 상당히 좋은 경험이 되었다. 일본의 대학은 지금 개혁의 시련을 겪고 있지만, 조선대학교의 시스템이라든가 교직원의 열의는 도쿠시마대학에 있어서 크게 참고가 되었다. 필자는 반도교수의 교실에 속해 있고, 1996년부터 양교의 교류발전을 위해 미력하나마 노력하고 있다. 양교의 교류의 발자취와 함께 필자가 소속해있는 치과보철학 제2강좌의 연구현황과 목표를 소개한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는 교합소면을 면이 대항하는 방향등에 주안을 두어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의 제안에 이르게 되고, 나아가 교합면 형태의 기능적의의를 분석한 아베의 연구에 계속 이어지게 된다. 아베는 오쿠보의 방법에 따라 저작중의 동적 교합접촉 상태를 분석, 구치의 교합소면을 면이 향하는 협설적 방향에 따라 A, B, C의 3종류로 분류해, 상하의 교합소면 등의 거리를 파라메타로서 교합소면이 저작에 관여하는 역할을 검토했다. 그 결과, 저작 스트로크의 후반에 있어 식품을 섭취할 때, 우선 상,하악의 A 및 C 교합소면이 먼저 근접하고, 교합면간에 압착공간을 형성하여 계속해서 상,하악의 B 교합소면이 급격하게 근접해서 압착공간을 좁혀 식품을 압착, 분쇄하는 양상을 발견하였다. (사진 4 일본 보철치과학회 우수 강연상 수상)
교합을 어떻게 평가하는가는 오래전부터 보철학의 중요한 테마의 하나이지만, 교합에 대한 계통적인 분류가 없었고, 명확한 진단 기준도 없었다. 나카노는 교합을 ① 교두감합위의 위치 ② 교두감합위에서의 교합접촉 ③ 각 활주운동를 유도하는 부위 ④ 각 활주운동을 유도하는 방향 ⑤ 교합평면이나 치열의 위치 등의 5요소로 분류하여 교합진단의 기준을 만들기 쉽게 하였다. 나아가 활주운동을 유도하는 부위 중에, 유도하는 교합소면의 방향에 관해, 상악견치나 소구치부의 근심쪽의 교합소면에서 유도한는 M형 가이드와, 반대의 D형 가이드로 분류, 악기능 장애의 임상경험과 개념적 고찰로부터 D형 가이드는 측방운동을 후방쪽으로 유도해 작업측의 악관절에 부하요인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고 제언했다. 사또는 스플린트에 M형과 D형의 가이드를 부여, 측방활주운동에 있어 과두운동을 분석, D형 가이드에서는 후방에의 과두운동 범위가 크게 되어 부하요인이 되는 것을 실험적으로 보여줬다. 그 밖의 교합평가의 수단으로 다까이의 각종 교합진단법과 금속판의 drawing force 측정실험에 의한 방법이 있다. 나아가 교합지에 의한 교합접촉 평가법의 기준을 결정하기 위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현재 계속되고 있는 일련의 프로젝트로서 자기공간을 이용한 새로운 악운동 측정기의 개발이 있다. X, Y, Z 의 각 방향에 대항하는 3쌍, 합계 6개의 코일을 설치해 자기공간을 만들어, 운동을 측정하는 대상(상, 하악 또는 치아)에 작은 센서코일을 부착, 악운동 혹은 기능시의 치아의 움직임을 높은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 왔다. 코리는 prototype의 측정기를 완성시켜, 15명의 여성 피험자의 최대개구운동을 측정했다. 시게모토는 수면중 악운동 측정이 가능한 측정기의 개발(일본 치과보철학회 우수 논문상 수상), 시바쟈키는 체어사이드형 측정기의 개발, 반도와 사쯔마는 치아의 6자유도 운동측정이 가능한 Helmholtz형 측정기의 개발(일본 보철치과학회 100회 기념 우수 포스터상 수상)에 관여 해 왔다.(사진 5, 6) 이러한 측정기는 상,하악에 face-bow가 연결되어 있는 MM-J1에 비하면 측정중에 부하가 적고 생리적인 운동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과 함께, 기종에 따라서는 submicron의 측정이 가능하다. TMD와 교합이상의 관련에 관해 논쟁이 있고, 북미를 중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