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구름조금동두천 25.5℃
  • 구름많음강릉 23.0℃
  • 구름많음서울 24.9℃
  • 구름조금대전 26.0℃
  • 흐림대구 27.5℃
  • 흐림울산 26.9℃
  • 광주 23.9℃
  • 흐림부산 23.7℃
  • 흐림고창 23.8℃
  • 흐림제주 26.8℃
  • 구름조금강화 24.3℃
  • 흐림보은 25.2℃
  • 구름많음금산 25.2℃
  • 흐림강진군 24.0℃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3.5℃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의료기관 해외진출 5년간 143% 증가

18개국 141건…치과 18건 3위

2015년 해외진출 의료기관은 18개국 141건으로 2010년 58건 이후 5년간 143%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치과는 18건(13%)으로 피부·성형 54건(38%), 한방 22건(16%)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치과가 진출한 나라는 미국이 10건, 중국 5건, 카자흐스탄·베트남·기타가 각 1건이었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영찬)이 지난 2일 발표한 ‘2015년 의료기관 해외진출 현황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15년 해외진출 의료기관은 전년도 125건에 비해 16건이 증가했으며, 2010년 이후 약 20%의 연평균 증가율을 보였다.

진출 국가별로는 중국이 52건(37%)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미국 33건(23%), 카자흐스탄 9건(6%), UAE 8건(6%)가 그 뒤를 이었다. 중국은 한류와 의료특구 조성 영향이 컸으며, 미국은 한방분야 면허 취득 용이한 점이, 카자흐스탄은 중증환자 유치 연계 진출이, UAE는 서울대병원 등 위탁병원 진출 등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진출형태별로는 상대적으로 진출 실패에 대한 위험성이 적은 프랜차이즈가 34건(24%)으로 가장 많았고, 단독투자 29건(21%), 합자·합작과 라이센싱 각 24건(17%) 이었다.

진출규모별로 보면 의원급이 83건으로 전체의 59%를 차지했으며, 전문센터가 17건(12%)와 병원 7건(5%)의 순이었다.

한류 열풍이 강한 중국과 동남아에는 피부·성형 분야의 프랜차이즈 진출이 많았으며, 미국에는 한방 분야 진출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향후 해외진출 준비 건수는 지난 2014의 27건에 비해 늘어난 16개국 51건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 가운데 중국진출을 준비하는 프로젝트가 30건(59%)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베트남 4건, 몽골 3건 순이었다.

또한 이미 진출한 18개국에 포함되지 않은 러시아, 미얀마, 카타르 등에도 진출 준비 의료기관이 있어 이들이 실제로 진출하는 경우 진출국이 다변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의료기관 해외진출 시 발생하는 애로사항으로는 ▲현지 정보부족 ▲진출국의 법·제도 규제 ▲ 국내법상 규제 및 전문인력 부족 등이었으며, 필요한 정부지원 정책에 대해서는 ▲정부 간 협력을 통한 진출국의 의료규제 해소 ▲세제 혜택 ▲해당국 진출 정보 제공 등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