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8.1℃
  • 구름조금강릉 32.7℃
  • 구름많음서울 30.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많음대구 33.1℃
  • 구름조금울산 33.3℃
  • 구름조금광주 31.5℃
  • 맑음부산 29.5℃
  • 맑음고창 33.1℃
  • 맑음제주 29.4℃
  • 구름많음강화 27.1℃
  • 흐림보은 29.6℃
  • 구름조금금산 31.7℃
  • 맑음강진군 30.6℃
  • 구름많음경주시 34.3℃
  • 구름많음거제 25.4℃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학·술·지·상·강·좌
현미경을 이용한 미세치근단 수술(Ⅱ)
김의성 교수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존과

치과의사들의 학술욕구가 나날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세미나들이 붐을 이루고 있다. 치의신보는 치과의사들의 이러한 욕구에 발맞춰 임상학술을 지면에 반영한다. 학술지상강좌는 각종학술대회와 세미나, 각 치대 임상수련원 등에서 발표하거나 발표예정인 학술주제를 채택, 치과의사들에게 보다 유익한 정보가 될수 있도록 구성된다. <편집자주>
Inspection of resected root surface 수술시 현미경을 사용했을 때 가장 큰 장점중의 하나가 바로 치근의 절단면을 잘 관찰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과거에는 보이지 않아 도무지 할 수 없는 과정이었다. 때때로 비록 현미경을 사용하더라도 잘 관찰 할 수가 없을 때가 있으므로 메틸렌 블루로 염색한 후 식염수로 깨끗이 씻고 고배율(X16-25)로 보면 치근의 outline을 비롯하여 isthmus, accessory canal, fin, crack line등을 관찰 할 수 있다. 절단면을 관찰함으로써 또하나의 장점은 기존 근관치료의 실패원인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가장 흔한 실패의 원인으로는 missed canal (isthmus포함), poor canal obturation, microfracture이다. 특히 이중에서 isthmus에 의한 실패는 과거에는 언급되지 않았던 것으로서 상악 제1대구치의 근심협측 치근은 치근단에서 3~4mm 상방에 약 50%정도가 isthmus를 가지며 하악 제1대구치의 근심치근은 약 70~80%의 빈도를, 상 하악 소구치부위에서는 약 30% 정도의 빈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isthmus의 존재를 알지 못하면 치근단 수술을 하더라도 계속되는 apical leakage로 인하여 실패하게 되며 설사 안다고 하더라도 초음파와 같은 Microins-truments와 수술현미경이 없이는 제대로 retropreparation과 retrofilling을 할 수 없다.
<증례 1> 27세 여환으로서 하악 우측 제1대구치의 동통을 주소로 개인 병원에서 수술을 위해 refer 되었다. 해당치아는 1년전 근관치료와 코아가 되어 있었으며 방사선 및 구강검사 결과 근, 원심 치근 모두에 방사선 투과성 병소<그림 1>를 가진 chronic apical periodontitis로 진단되어 치근단 수술을 시행하기로 하였다. 우선 술후 numbness을 예방하기 위하여 판막을 거상 하면서 mental foramen을 확인하고<그림 2 좌측 상단 화살표> foramen의 상방에 groove를 형성하여<그림 2 우측 상단> retractor를 위치시킨다<그림 2 하단>. 이렇게 하지 않고 mental foramen 상방에 retractor만 위치시키면 수술중에 retractor가 mental foramen쪽으로 미끄러져 mental nerve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커진다. 근심치근의 치근단 절제 후 메틸렌 블루로 염색시 근심협측근관에 leak이 일어나고 있음을 관찰 할 수 있었다<그림 3 우측 상단>. 이에 초음파 기구로 역충전을 위한 와동을 형성하고<그림 3 우측상단> Super EBA cement으로 역충전을 시행하였다<그림 3 하단>. 원심치근은 치근단 절제 후 unfilled isthmus를 확인하고<그림 4 좌측 상단> 마찬가지로 와동형성<그림 4 우측 상단>후 역충전<그림 4 하단>을 시행하였다. <그림 5>는 술후 방사선 사진이며 이후 환자의 증상은 소실되었다. <증례2> 60세 여환으로 상악 좌측 제1대구치의 둔통으로 본원 2년차 레지던트가 근관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원심 협측 근관의 석회화로 구개측 근관과 근심 협측 근관만을 충전<그림5>하고 계속되는 증상으로 치근단 절제술을 시행하기 위하여 필자에게 refer 되었다. 근심 협측 치근 절제술 후 절단면을 고배율(X25)로 관찰시 근관 충전된 근심협측 근관 외에 제2근심협측 근관이 설측쪽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두 근관 사이에 untouched incomplete isthmus가 메틸렌 블루에 가늘게 염색된 것을 볼 수 있었다<그림6 좌측>. 이에 isthmus를 포함하여 역충전 와동형성<그림6 중앙> 후 Super EBA cement으로 역충전 하였다<그림6 우측>. 석회화 되어 근관치료를 할 수 없었던 원심협측치근은 치근단 절제 후 두 개의 근관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그림7 좌측>. 마찬가지로 와동형성<그림7 중앙> 후 역충전 시행하였다<그림7 우측>. <그림 8>은 술 후 방사선 사진<좌측>과 7개월 후 방사선 사진<우측>이며 환자의 증상은 수술 직후부터 사라졌다. Root end filling Root end filling의 목적은 apical seal을 확보함으로써 근관 내에 남아 있을 수 있는 irritants가 치근단 조직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데 있다. Root end filling재료로는 gutta-percha, amalgam, gold foil, glass ionomer, Ketac sil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