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십 수 년 전부터 중국 진출을 위해 문을 두드렸던 우리 치과 업체들 사이에서 다시 중국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와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이사장 이재화)은 중국 옌청 시에 설치된 ‘중국 현지화 진출 지원센터’가 본격적인 업무를 개시한다고 최근 밝혔다.
이 센터는 보건복지부의 지원을 통해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이 설치·운영하는 것으로, 2016년 연두업무보고 ‘바이오헬스 7대강국 도약’의 후속조치로 추진된 것이다.
특히 국내 의료기기 업체의 중국 내 생산시설 설치를 위해 현지법인 설립, 판로개척, 인·허가 획득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중국 정부 측이 먼저 민간에 교류 및 상호투자를 위해 손을 내민 사례도 있다. 한국치과기재산업협회(회장 이용식·이하 치산협)는 지난 11월 21일 라마다호텔에서 중국 사천성 자양시와 전략 협의서를 교환했다.
이날 자양시가 주최한 투자 설명회에서 천커 부시장은 “13억 인민폐를 들여 중국 최고 규모, 최대 영향력을 가진 구강산업 기지 등 기반 시설을 구축할 계획을 세웠다”며 “(투자를 할 경우) 증치세 17%를 2년간 면제해 주고 3년째부터는 절반만 받겠다. 개인 소득세의 경우도 돌려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인·허가 기간 길고 판로 개척 어려워”
천커 부시장의 발표 내용을 요약해 보면 일방이 기술을 투자하고 설비를 제공받는 방식의 투자가 아니라 서로 상호 투자하는 구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 동안 ‘죽의 장막’으로 여겨 왔던 인허가나 가격 경쟁력 등에 대해서는 시 차원에서 별도의 배려를 해 줄 수 있다는 의지로 읽힌다.
그동안 국내 유력 임플란트 업체들이 이미 중국 현지에 진출, 연착륙을 노리고 있는 상황이지만, 업체 간 ‘온도차’가 적지 않다.
특히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업체들의 경우 이미 이전 중국 진출에서 실패한 경험들이 축적돼 선입견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문제점으로 지적 받아 온 병원 내 자국산 제품 사용률 강제, 수입제품에 대한 자국산 대비 높은 허가수수료, 까다로운 인·허가 조건, 허가심사에 오랜 기간 소요 등에 대한 의심을 쉽게 풀지 않고 있는 것.
한 국산 제조업체 대표는 이와 관련 “6개월 내로 (허가를) 내주겠다는 말을 듣고 들어갔는데 무려 5년이 걸렸다”며 “또 우리가 만드는 제품과 현지에서 원하는 제품 퀼리티 사이에 갭이 있어 판로 개척이 쉽지 않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