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덴스바이오가 HODEX 2024에서 OCP 함유 골이식재 ‘Bontree+(이하 본트리)’를 홍보해 좋은 반응을 얻었다. OCP(Octacalcium Phosphate)는 인체 뼈의 무기성분인 하이드록시아파타이드(HA)의 전구체로 동종골, 이종골이 가지는 교차감염의 위험을 극복하면서도 빠른 신생골 형성과 동종골 수준의 골재생능을 보여준다. 휴덴스바이오는 OCP 골이식재 본트리를 세계 최초로 대량생산에 성공하며 합성골에 대한 인식을 바꿔나가고 있으며, 개원가에서 입소문을 타며 유저들이 늘고 있다. 전시 현장을 찾은 호남지역 개원의들은 OCP 골이식재의 임상효과와 활용방법에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휴덴스바이오는 GBR과 관련한 국내 정상급 연자들과 함께 본트리의 임상 효과를 개원가에 적극 알리고 있으며, 하반기에도 계속해 관련 세미나 등을 통해 본트리를 홍보한다는 계획이다. 휴덴스바이오는 본트리 외에도 다이아몬드 버 ‘BURSTAR-D’, 카바이드 버 ‘BURSTAR-FG’, 임시치관용 레진 ‘EZ-TEMPO’, 연질의치상 이장재 ‘EZ-SOFT’, 합금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덴티움이 HODEX 2024에서 높은 강도로 편리한 보철 시스템 실현이 가능한 bright Implant Tissue Level(이하 TL) 제품으로 관람객들의 관심을 받았다. 덴티움은 이번 전시회에서 bright Implant 제품군과 함께 관람객들에게 ▲bright CT ▲3D Viewer ▲bright Chair 2 ▲Regeneration ▲IOS 등 주요 제품을 소개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번 전시는 군산 새만금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됐음에도 덴티움 부스에는 372명이 방문해 전시 참가자들이 덴티움 제품들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특히 bright Implant TL이 높은 강도와 편리한 보철 시스템으로 이목을 집중시켰다. 덴티움은 Hands-on을 통해 bright Implant TL의 최소 침습이 간편하고 쉽고 빠르다는 점을 강조했다. 덴티움 관계자는 “이번 전시에선 Regeneration 제품에 대한 관심이 가장 뜨거웠다. 특히 Collagen Graft2의 우수한 연조직 증강과 Collagen Membrane 2에 반응이 좋았다”며 “YESDEX 2024에도 참가해 Regeneration 제품군과 주력인 임플란트 존을 확장, 더 많
박재현 교수(애리조나치대 교정과장)가 지난 14~19일 이탈리아 3개 치과대학과 치과교정학회(Italian Society of Orthodontics·SIDO) International Annual Congress의 연자로 초청돼 열강을 펼쳤다. 강의와 함께 Angle-net Comes Alive in SIDO Symposium의 좌장을 맡으며 학회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올해로 55주년을 맞는 SIDO International Congress는 이탈리아 Florence에서 열렸으며, 올해 주제는 ‘BUILDING BRIDGES FOR THE FUTURE’를 주제로 진행됐다. 박 교수는 ‘The Quest for Excellence: What Defines Great Results?’라는 주제로 강의를 성황리에 진행했다. 또 박 교수는 SIDO International Congress 방문에 앞서 UNIVERSITY OF MILAN, UNIVERSITY OF NAPLES FEDERICO II, UNIVERSITY OF FERRARA 등 3개 치과대학 교정과 초청 강의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박재현 교수는 “이탈리아 현지 치과의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할
충남 예산의 이음구강악안면외과치과(이하 이음치과)가 지역사회 아동 및 청소년들을 위한 후원 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음치과는 지난 10월 22일 초록우산 충남지역본부에 ‘키다리 아저씨 나눔행사’를 통해 모금된 후원금 990만 원을 전달했다. 올해로 2회 차를 맞이한 ‘키다리아저씨 나눔행사’는 이음치과가 주최·주관하는 행사로, 지역사회 기관들과 연계해 아동·청소년들이 건강하고 안정된 기반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이들이 필요로 하는 물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와 관련 이음치과는 지난 10월 11~12일 양일간 예산군에 위치한 베이커리 카페 벚꽃언덕에서 지역사회 어려운 환경의 여성 청소년 지원을 위한 ‘핑크박스(위생용품/생리대 세트)’ 후원 행사를 진행했다. 여기에는 이음치과를 비롯해 벚꽃언덕, 씨엘미디어(퀸덤), 충청남도예산교육지원청, 초록우산 충남지역본부 등이 함께 했다. 후원금은 행사당일 벚꽃언덕에서 판매된 매출액의 50%와 이음치과 및 예산지역 기업, 개인, 단체 후원자 44곳의 참여로 조성됐다. 지역 내 행사의 홍보는 씨엘미디어(퀸덤)에서 담당했다. 모금된 후원금은 예산교육지원청의 추천을 받아 초록우산 충남본부에서 대상자를 선정해 경제적 어려움으로 생
전북·전남·광주, 3개 지부 회원들이 군산 새만금에 모여 자신의 주력 진료와 관련한 최신의 임상지견도 듣고, 친교도 나누는 축제의 시간을 가졌다. 제13회 호남국제치과종합학술대회 및 기자재전시회(HODEX 2024)가 지난 10월 26~27일 양일간 군산 새만금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에는 치과의사 1168명, 학생·스탭 등을 포함 총 1500여 명이 참가하며 새만금컨벤션센터 개관이래 최대 규모의 학술·전시행사라는 평가를 받았다. 전북지부가 주관한 올해 HODEX 2024는 ‘치과 환자의 나이에 따른 치료 접근’을 대주제, ‘Through the life’를 슬로건으로 환자 연령별 주를 이루는 치과치료에 대해 최신의 임상지견을 총망라 했다. 26일 강연에서는 윤정호 교수(전북치대)가 ‘치주조직 재생의 현재와 미래-다양한 접근법과 고려 사항’, 김추성 원장(샘물소아치과)이 ‘소아의 턱 성장이 교합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강의했다. 27일 오전에는 장성욱 원장(자하연치과)이 ‘나이에 따른 맞춤형 생활치수치료-미성숙영구치에서 재생근관치료의 현재와 내일’, 김영삼 원장(강남레옹치과)이 ‘Bone graft의 최신 경향-콜라겐 본의 활용’ 등을 주제로 강의
악골괴사증과 관련해 국내외 최신 가이드라인을 총망라해 개원의들에게 확실한 임상팁을 제공한 세미나가 열렸다. 이화여자대학교 악골괴사질환 임상연구센터·임상치의학대학원 주관으로 마련된 ‘약물관련 턱뼈괴사 학술 심포지엄(2024 MRONJ Symposium)’이 지난 10월 20일 서울성모병원 마리아홀에서 1500여 명의 치과의사들이 몰린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세미나는 이화여대 악골괴사질환 임상연구센터 개소 10주년을 기념하는 심포지엄으로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대한골대사학회, 대한골다공증학회, 대한내분비학회가 공동주최로 참여했으며, 이대서울병원 구강악안외과의 김선종 교수(이화여대 임치원장)가 학술대회장, 김진우 교수가 조직위원장을 맡아 준비했다. 김선종 학술대회장은 “이화여대 악골괴사질환 임상연구센터가 2014년도 개소해 의과대학병원에서는 선도적으로 악골괴사질환 관련 연구를 많이 하고, 국책과제도 많이 수행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나와 있는 문헌들과 임상적인 결과들을 잘 정리해 실제 임상현장에서 치과의사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는 시간을 갖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는 “의과의 내분비학회, 골다공증학회,
유한양행이 HODEX 2024에서 세멘리스 어버트먼트 ‘유한 트윈제로’를 집중 홍보해 참가자들의 많은 상담신청을 이끌어 냈다. 유한 트윈제로는 링크 없이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을 체결하는 원피스형 세멘리스 보철로, 시술 편의성으로 유저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기공용 스크류를 통해 교합 조정과 파이널 스크류로 최종 보철물을 세팅해 더 정밀하면서도 편리한 시술을 돕는다. 특히, 보철물의 착탈이 용이해 리페어가 간편한 점이 장점이다. 유한양행은 또 이번 전시에서 PDRN ‘리쥬비넥스(Rejuvenex·제조사 파마리서치)’도 집중 홍보했다. 리쥬비넥스는 항염증·혈관신생·조직재생 효과를 통해 각종 치과임상에서 치료기간 단축, 좋은 예후를 이끌어낸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늘 전시에 나서면 치과의사들에게 좋은 조건에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노력한다. 유한 트윈제로에 보여주는 큰 관심에 감사한 마음을 갖고 있다. 관련 세미나 등을 통해 유한 트윈제로 열풍을 더 확대 시킬 예정”이라며 “이 외에도 유한양행에서는 PDRN, 리도카인, 골이식재 ‘원오스’ 등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고 밝혔다.
1회 내원 근관치료를 가능케 하는 ‘PLAZEN 3D RCT(이하 플라젠RCT)’가 호남권 치과의사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덴토리는 HODEX 2024에 참가해 플라젠RCT를 적극 홍보했다. 학술대회 현장에서는 제품 전시와 함께 김동준 원장(김동준치과)의 ‘수중방전플라즈마와 임피던스 그래프를 활용한 근관치료’ 강의가 진행돼, 제품에 대한 정확한 이론과 활용법도 소개됐다. 플라젠RCT는 근관 내 마이크로 플라즈마를 방전시켜 근관 내 발수, 멸균, 지혈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비다. 기존에 근관 내 유기조직을 NaOCL로 제거했다면, 플라젠RCT는 방전열에 의해 근관 내 유기조직을 수축시켜 발수한다. 근관 내 수분이 활성 Radical로 변하며 강력한 산화력으로 근관 튜브, 마이크로 캐널 등을 멸균한다. 플라젠RCT를 활용하면 당일 발수, 근관충전이 가능하며, 단근치의 경우 10분 이내 근관충전이 가능하다. 송종호 덴토리 대표는 “플라젠RCT의 효과와 활용법에 대한 현장 문의가 굉장히 많았다. 관련 임상효과가 개원가에 더 많이 알려지고 있는 것 같다. 플라젠RCT의 정확한 원리와 활용법, 효과를 더 많이 홍보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치과 경영컨설팅 누적 건수 1000여 건, 보험청구에 특화된 세미나 교육 1만2540회. 원장은 진료에만 집중하게 하고 보험에 특화된 병원 매출 성장을 이끄는 대한치과경영연구소(이하 대치연)가 병원 맞춤 경영 솔루션을 자신하고 나섰다. 대치연은 치과 보험청구 교육 및 경영 컨설팅 27년 경력의 현미향 소장이 이끄는 치과경영컨설팅 전문 회사로, 치과 내부 컨설팅 및 보험 컨설팅, 현장 및 온라인 교육, 블로그와 유튜브 등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마케팅 등을 치과의 요구사항에 맞춰 전문적으로 제공한다. 현미향 소장은 10년 간 치협 요양급여청구센터에서 일한 경험을 바탕으로 인천지부·고양시·파주시 보험위원회 자문위원과 서울지부에서 보험청구교육 등을 진행하며 30여 년 간 보험 전문 컨설팅 업무를 해 온 전문가다. 병원 환경을 분석해 상담, 데스크, 진료, 조직관리 등에 대한 내부 컨설팅을 지원해 병원경영의 틀을 완전히 바꿔 놓는다. 특히, 제대로 된 보험청구을 통한 수익증가에 초점을 맞춰 최신 심사동향 교육과 함께 청구시스템 전체를 세팅한다. 이와 관련 최근 대치연은 ‘치과건강보험 이것만 알면 끝’ 보험청구 교육책자 발간과 함께 치과 전문 온라인 교육 플랫폼 ‘대치
2023년 노인실태조사 결과, 소득·자산 및 교육 수준이 높은 새로운 노년층이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는 지난 17일 노인들의 가족·사회관계, 경제상태, 건강 및 생활상황 등에 관해 조사한 ‘2023년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노인실태조사는 노인복지법 제5조에 근거해 2008년 이후 매 3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으며, 2023년 조사는 전체 1만78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191개 문항에 관한 방문·면접 방식으로 진행됐다. 노인 가구의 연간 소득은 3,469만 원, 개인 소득은 2,164만 원, 금융 자산 규모는 4,912만 원, 부동산 자산 규모는 3만1,817만 원으로 각 항목별로 2020년 조사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조사를 시작한 2008년 이후로 지속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연간 가구 소득은 3,027만원, 금융 자산 규모는 3,213만원이었다.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연령’ 기준은 평균 71.6세로 나타나 2020년 70.5세 대비 1.1세 상승했다. 재산 상속에 관해 ‘자신 및 배우자를 위해 사용하겠다’는 비중 역시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가치관의 변화가 확인됐다. 상속 방식을 ‘자신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가 치과의사, 의사, 한의사 등 20개 보건의료직종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복지부는 이 같은 ‘제2차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를 위한 연구용역에 나선다고 최근 밝혔다. 실태조사는 이달부터 시작해 내년 4월까지 진행되며, 직종별 양성대학 현황 및 정원, 직종별 활동·근무현황 전반을 살필 계획이다. 이는 의료인력 양성 및 적정 수급관리를 위해 3년 마다 실시하는 정례 조사로, 국내 보건의료인력 실태를 파악해 관련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해당 직종은 치과의사, 의사, 한의사, 조산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약사, 한약사, 치과기공사, 치과위생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안경사, 응급구조사, 영양사, 위생사, 보건교육사 등 20개 직종이다. 직종별 양성대학 현황, 입학 정원, 졸업 및 취업 현황 등을 분석하며, 의료 취약지와 공공의료분야 보건의료인력 양성·배치 현황도 연구한다. 또 보건의료인력의 면허·자격 보유 현황, 직종별 국가시험 운영과 면허·자격 제도, 직종별 면허보유자 수, 신규면허 발급자 수 등도 조사한다. 아울러 보건의료인력의 의료기관 및 비의료기관에서의 활동 현황, 근무
덴티움이 지난 19일 바르셀로나 CCIB 오디토리움에서 ‘2024 바르셀로나 월드 심포지엄(2024 Dentium World Symposium in Barcelona)’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2017년 바르셀로나 월드 심포지엄 이후 7년 만에 다시 개최돼 더욱 발전된 치과 기술과 디지털 솔루션을 선보이는 장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총 28개국에서 약 1000명 이상의 인원이 참석했으며, bright 임플란트와 DASK Simple 등을 활용한 혁신 솔루션을 선보이고 bright 임플란트를 활용한 Sinus 실습도 진행됐다. 심포지엄에서는 3개의 강의 세션이 진행됐다. 먼저 Surgery 세션에서는 Dr. Quevedo(UIC)가 Short 임플란트 컨셉을 소개했고, 변수환 교수(한림대학교 성심병원)가 DASK Simple을 활용한 Sinus Simple 개념을 발표했다. Dr. Ortiz(UIC), Dr. Philip Kang(콜롬비아대학교), Dr. Alan Meltzer(펜실베니아대학교) 등 미주 연자들도 무대에 올라 심도 있는 강의를 진행했다. Prosthetic 세션에서는 Dr. Pokpong(마히돌대학교), 백장현 교수(경희대학교치과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