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협이 지부장회의를 열고 효율적인 대의원총회 운영을 위해 중지를 모았다. 제73차 정기대의원총회 개최 하루 전날인 4월 26일 오후 4시 30분부터 치협 회관 4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이날 지부장회의에서는 박태근 협회장을 비롯한 치협 임원, 의장단, 감사단 및 시도지부 회장들이 한 자리에 모여 총회 진행에 대해 주요 의제를 조율하며, 폭넓게 의견을 나눴다. 특히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5건의 정관개정안과 88건의 일반의안 등 90여건이 넘는 안건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면서 다음날 열릴 총회에 대비했다. 박태근 협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오늘 회의는 내일 총회의 원활하고 신속한 진행을 위한 사전 토론의 장이라는 의미가 있다”며 “회의 안건들이 다소 격론이라 할지라도 품위 있고 결국에는 화합을 도모하는 장으로 거듭날 수 있기를 소망한다. 오늘의 회의와 내일의 총회가 어려움을 겪는 회원들에게 존중받고 희망의 메시지를 선사하는 의미있는 회의가 되기를 기대한다” 밝혔다. 박종호 대의원총회 의장은 “오늘 지부장회의는 원만한 정기 대의원총회를 위해 많은 토론을 거쳐 현명한 결론을 도출해 주길 기대한다”며 “참석한 지부장들께서 뜻 있는 고견들을 많이 제시해 달라”고 당부했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이하 치산협)가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와 함께 치과의료기기 관련 활발한 토론의 장을 연다. ‘식약처-치산협 워크숍’이 오는 5월 9일 오후 2시부터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개최된다. 이번 워크숍은 지난 3월 12일 안제모 회장이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을 방문, 정승환 과장(구강소화기기과)과 만난 자리에서 치과의료기기만의 특성화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마련된 것이다. 처음으로 시도되는 만큼 이번 워크숍은 치과의료기기만을 주제로 해 관련된 인증·허가·심사담당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활발한 소통의 장을 이어나갈 전망이다. 안제모 회장은 “치산협이 현재 대관업무와 치과의료기기산업의 홍보에 많은 노력을 쏟은 결과 사상초유의 치과만을 위한 식약처 워크숍이 탄생해 기쁘다”며 “이번 워크숍이 좋은 선례가 돼 앞으로 관계 부처들이 치과의료기기산업만을 위한 교육 강좌와 세미나들을 더 많이 개최할 수 있도록 회원사들의 많은 참여와 협조 바란다”고 당부했다. 워크숍 참여 희망자는 치산협 홈페이지(www.kodda.co.kr) 내 ‘알림마당’에서 신청서를 다운로드해 해당 담당자에게 제출하면 된다.
영상치의학 분야의 최신 지견을 나눈 학술대회가 최근 성황리에 열렸다. 대한영상치의학회(이하 영상치의학회)가 ‘제56차 춘계학술대회’를 지난 3월 16일 세브란스병원 에비슨의생명연구센터 유일한홀에서 개최했다. 100여 명의 학회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총 5개의 특별강연과 함께 연구논문 및 증례보고 등의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특히 박찬수 회원(서울대)은 ‘딥러닝 기반 정량적 콘빔 CT 영상을 이용한 악골의 골밀도 측정’, 최한승 회원(연세대)은 ‘턱관절 디스크 변위 예측을 위한 콘빔시티 영상기반 라디오믹스 분석법 개발’를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각각 제56차 대한영상치의학회 춘계학술대회 우수 발표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이밖에 흥농공로상은 이병도 교수(원광대), 청사학술상은 한상선 교수(연세대)가 수상했다. 학술대회 기간 중에 열린 제56차 영상치의학회 정기총회에서는 2024년도 사업계획(안) 및 예산(안)을 원안대로 통과시켰다. 또 총회에서는 신임회장으로 최항문 교수(강릉원주대), 부회장으로 김진수 교수(조선대)와 나승목 원장(안양만안치과의원)을 선임했다. 감사로는 최용석 원장(닥터뷰치과의원), 전인성 원장(서울H치과의원)이 선출됐다.
근관치료의 필수적 술식을 하루 동안 배울 수 있는 세미나가 다음 달 중순 찾아온다.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가 오는 5월 19일 강변 오스템 연구센터에서 엔도 세미나를 개강한다. 해당 세미나는 임상에서 환자에게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치과 임상의들의 진료 숙련도 향상을 목표로 기획됐다. 이번 세미나 연자인 조성근 원장(루나치과보존과치과의원)은 ‘근관치료의 필수적인 과정인 근관와동형성부터 근관충전까지 요즘 유행하는 술식에 대해 이해하고 경험해 보는 세미나’를 교육 목적으로 지향한다. 조 원장은 대한치과보존학회, 대한치과근관치료학회, 한국접착치의학회 정회원으로 활동하는 등 최신 술식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연자로 잘 알려져 있다. 이번 엔도세미나는 ▲1人 1엔진·1키트·1모델 제공 ▲VDW ROTATE ▲ENDO 실습용 파일 & ENDOSEAL MTA, CLEANICAL 제공 등으로 커리큘럼을 구성했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최신 NiTi파일 시스템을 사용해 쉽고 빠른 근관성형 체험, 임상현장에서 환자에게 직접 적용해 볼 수 있도록 ENDO 파일 및 ENDOSEAL MTA, CLEANICAL을 제공해 예후 확인까지 가능하도록 도울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의 X-ray 기기인 ‘N1’이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2024(Red Dot Design Award 2024)’에서 제품 디자인 부문 본상(Winner)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는 60년 역사를 이어온 독일의 유서 깊은 디자인 공모전으로, 독일 iF, 미국 IDEA와 함께 글로벌 3대 디자인 대회로 꼽힌다. 수상작 N1은 치과 내 진료 공간 어디서든 간편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포터블 타입 X-ray 기기다. 다양한 환경에서 자유롭고 쾌적한 진료를 실현하기 위한 무선 X-Ray 장비인 만큼, 디자인 또한 휴대성과 기동성에 초점을 맞췄다. N1은 한 손 촬영이 가능한 건(Gun) 타입 디자인을 채택, 진료자가 구강 내 센서를 조정하는 등 다른 한 손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 후면에 디스플레이를 장착해 진료 중에도 기기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살필 수 있다. 더불어 초심자도 쉽게 운용할 수 있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디자인을 적용하는 등 편의성을 강화한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이 특징이다. 특히 작고 가벼우며 편의성이 뛰어나면서도 관전압, 관전류, 초점사이즈 등 화
탑플란이 '2024 오스템월드미팅'에서 오스템, 하이오센과 함께 부스전시를 진행한다. 4월 27일과 28일 양일간 서울 코엑스와 오스템임플란트 마곡중앙연구소에서 열리는 ‘2024 오스템월드미팅 서울(Osstem World Meeting)’에서 오스템임플란트 그룹의 3대 임플란트 브랜드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오스템월드미팅 제품전시존에는 오스템과 하이오센 뿐 아니라 탑플란의 주요 제품들도 해외에서 온 치과의사 및 관계자들에게 소개된다. 해외고객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전시인 만큼 핸즈온 및 1:1 상담이 모두 영어로 진행된다. 탑플란은 현재 유럽, 태국, 대만, 중동 등 해외 8개국에 제품을 수출을 하고 있고, 올해 러시아 수출 인허가를 획득하며 2분기부터 수출예정이다. 탑플란 관계자는 “이번 오스템월드미팅을 통해서 오스템의 또 다른 임플란트 브랜드인 탑플란의 위상을 널리 알려 수출국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 세계 치과인들이 ‘2024 OSSTEM WORLD MEETING'(이하 오스템월드미팅) 참가를 위해 이달 말 내한한다.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은 오스템월드미팅을 오는 27일과 28일 양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와 마곡 오스템임플란트 중앙 연구소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Magic of Leading Digital Dentistry’를 대주제로 열리는 이번 오스템월드미팅은 다가오는 디지털 시대 치과계 변화를 선도할 수 있는 다채로운 토론과 세미나는 물론 핸즈온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이 기간 52개국에서 치과의사 및 관계자들이 오스템월드미팅 참여를 위해 방문하는데 이는 오스템월드미팅 중 역대 최다 기록이 될 전망이다. 아시아, 중동, 유럽, 남미, 북미 등 전 대륙의 치과의사 및 관계자들이 참석하며 주요 국가로는 ▲중국 ▲미국 ▲러시아 ▲튀르키예 ▲인도 ▲일본 ▲말레이시아 ▲태국 ▲캐나다 등(이상 참여국 인원순)에서 1500여명의 관계자가 참석을 희망하고 있다. 해외 치과의사가 참석하는 행사이지만, 국내 치과의사들을 위해서도 덴올TV와 유튜브를 통해 시청 서비스를 운영한다. 오스템월드미팅 첫날인 27일에는 오스템 서울 마곡 중앙 연구소에서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가 운영하는 치과포털 덴올의 논문 리뷰 프로그램 ‘Journal Inside’가 다섯 번째 이야기로 독자들을 찾아온다. 4월 18일 신규 업로드되는 콘텐츠는 박창주 교수(한양대병원 치과 구강악안면외과)가 저자로 참여한 논문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Guided Bone Regeneration for Peri-Implant Dehiscence Defects with Two Anorganic Bovine Bone Materials Covered by Titanium Meshes’이다. 해당 논문은 두 가지 Bovine bone(A-Oss, Bio-Oss)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을 핵심 골자로 실험군 A-Oss와 대조군 Bio-Oss를 사용해 열개결손(Dehiscence defect)에 대한 GBR을 시행하고 각 시기 별로 골량과 골질을 측정, 실제 임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 내용을 전달한다. 18일 방송되는 Journal Inside 5회차 방송에서는 해당 논문 저자로 참여한 박창주 교수가 직접 출연해 사용된 술식부터 평가 방법, 통계적인 결과 그리고 효과에 대한 핵심 내용만을 쉽고 간
“치과 교정학 정수를 한국에서 꼼꼼히 배워 갑니다.” (사)한국치과교정연구회(이하 KORI)가 주최한 ‘제73차 KORI Standard Edgewise Typodont Course’가 지난 7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KORI 본회 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서울 KORI 코스는 매년 두 차례, 봄과 가을에 각각 열린다. 이번 제73차 코스에는 러시아 11명, 중국 6명, 캄보디아 5명, 태국 2명 등 24명의 해외 연수생과 국내 연수생 6명 등 총 30명이 참여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4번째인 이번 코스에서는 강규석 코스 디렉터의 지휘 하에 10명의 인스트럭터들이 교육을 담당했다. 또 연수회를 지원하고 참가자들을 격려하기 위해 이선국 Charles H. Tweed 국제교정연구회 한국지회 회장이 연수회 기간 동안 함께 했으며, 김낙현 KORI 명예 회장도 연수회를 찾았다. 또 중국 칭다오치과교정연구원의 창슈류 부회장이 방문해 연수생으로 참여한 칭다오구강의학원 교정과 전공의들을 격려하고 점심시간을 이용해 근처 낙산을 산책하는 행사에 동행했다. 코스 커리큘럼은 Edgewise 술식의 습득을 위한 이론 강의와 실습으로 구성돼 있다. 실습은 Basic
푸르고바이오로직스(이하 푸르고)의 최고 인기 세미나로 자리 잡은 ‘5Matrix 핸즈온 세미나’가 이번에도 전회 차 조기마감을 달성했다. 회사 측은 지난 3월 16일 1회 차 세미나를 시작으로 5주간 매주 토요일에 진행된 5Matrix 핸즈온 세미나의 5회 차 강의를 최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4회 차 세미나에서는 이동운 교수(원광치대 치주과학교실)가 ‘Hard Tissue Management 2, Advanced GBR’을 주제로 ▲Ridge Split + Mini-Block Graft ▲Vertical ridge augmentation 등에 대해 강의를 진행했으며, 마지막 5회 차 강의는 조용석 원장(22세기서울치과병원)이 ‘Essence of Lateral Approach Sinus Bone Augmentation Surgery’를 주제로 진행, 총 5주간의 세미나를 종료했다. 이동운 교수는 쉬는 시간에도 쉬지 않고 참가자들의 핸즈온을 봐주며 열정적인 강의를 진행해 강의 종료 후 진행된 만족도 조사에서 ‘향후 강사의 다른 세미나를 수강할 의향이 있는지’를 묻는 항목에서 응답자 전원 ‘그렇다’는 답변을 받았다. 수강생 중에는 특히 몽골에서 온
단국치대 치주과학교실이 학부생 대상 치주 수술 실습을 올해도 이어갔다. 치주과학교실 측은 지난 3월 30일 단국대학교 임상전단계 실습실에서 본과 4학년 재학생 중 실습에 자원한 신청자 31여 명을 대상으로 치주 연수회를 진행했다. 이는 국내 유일 학부생 대상 치주연수회로, 단국치대생들이 모교에 대한 자긍심을 느끼고 치주치료에 대해 더 쉽게 접근, 이해할 수 있도록 시작돼 교수진, 전공의들 전원의 봉사로 무료진행되고 있다. 올해로 8회째 진행된 연수회에는 신현승, 조인우, 이성조, 강대영, 김상민, 공준형, 안현성 교수 및 교실원 전원의 지도 감독 하에 9시 간 동안 다양한 내용의 실습이 이어졌다. 치주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학술적, 현실적 근거에 관한 신현승 교수의 강의로 포문을 연 이번 연수회는 절개와 봉합을 포함한 치주판막술, 근단변위판막술 및 유리치은이식술, 조직유도재생술, 치근피개술 및 잇몸웃음 교정술 등의 내용으로 간단한 강의에 이은 실습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특히 조직유도재생술의 실제적인 실습을 위해 (주)신흥에서 학생에게 S-Oss 골이식재를 후원해 더욱 현실적인 실습이 가능했으며, 또 모형 차폐막, 돼지턱 뼈, 가지 및 바나나 등을 이용한 다양
푸르고바이오로직스(이하 푸르고)가 ‘BDEX 2024’에서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이끌어냈다. 주식회사 해피스마일과 함께 참가한 이번 행사에서 푸르고는 특별 프로모션, 전시, 핸즈온 등으로 부스를 구성했는데 특히 푸르고 대표 제품인 이종골 이식재 ‘THE Graft’와 콜라겐 함유 이종골 이식재 ‘LegoGraft’ 등을 비롯해 Membrane, biotex 그리고 합성골 이식재 ‘THE BCP’를 전시했다. 부스 역시 푸르고의 메인 컬러를 활용해 부스를 깔끔하게 조성, 멀리서 봐도 한눈에 푸르고 부스인 것을 알 수 있어 찾아오기 쉬웠다. 무엇보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푸르고 제품에 대한 많은 부산 치과의사들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푸르고 관계자는 “특히 LegoGraft, THE Graft, 최근 출시된 합성골 THE BCP의 제품별 특성을 문의하는 사례가 많았는데 LegoGraft가 가진 가장 큰 장점인 체어타임을 줄이는 것과 THE Graft의 우수한 친수성, 그리고 신생골 형성과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THE BCP 핸즈온에도 좋은 평가가 잇따랐다”며 “향후 진행될 다양한 학회와 전시회에서도 푸르고 제품에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