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차 치과의사가 경영학적 관점으로 원장실에서 놓고 읽을 수 있는 치과 경영서를 펴냈다. 조정훈 원장(이젤치과의원)이 최근 ‘Dr MBA의 원장실 경영학’을 출간해 온라인 서점 주간베스트셀러에 오르는 등 주목받고 있다. 이젤치과그룹 대표, 주식회사 디에프 덴탈프렌즈 대표이사를 역임하고 있는 조 원장은 9년간의 세미나 활동과 3년간의 블로그 활동, 신문 기고문을 새로 정리하고 집대성해 한 권의 책으로 탄생시켰다. 조 원장은 과도한 의료 장비 투자와 의료 광고 전쟁에서 실패해 파산과 스트레스로 스스로 환자가 되고 마는 의료인들에게 원장실에서 놓고 보는 경영학 참고서가 돼주고 싶었다고 집필 배경을 밝혔다. 책에서는 그간 병원 운영을 하며 느낀 인사, 재무, 마케팅, 서비스, 전략, 경영정보, 의료계의 미래 등을 총망라했다. 또 워라밸이 사회 이슈가 되고 가족과 함께하는 행복한 저녁 식사가 당연하며 토요일과 일요일의 연휴는 기본적인 세상에서 야간 진료와 공휴일 진료 그리고 명절 당직 진료를 해야 하는 ‘의료인 자영업자’의 현실을 소개한다. 특히 치과 맞춤형 경영을 고등학생 수준의 지식과 이해도만으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쉬운 내용으로 구성했다는 설명이다.
코웰메디가 지난 2월 6~8일 두바이 세계무역센터에서 개최된 제28회 AEEDC DUBAI에 참가해 다양한 제품 전시와 체험을 제공했다. 이날 코웰메디는 미국, 독일, 스위스. 이탈리아, 스페인. 중국, 인도, 터기, 러시아, 브라질 등 세계 각국의 치과의사들의 참여도를 끌어올렸다. 또 ‘대한민국 최초의 임플란트’라는 수식어를 강조한 부스 디자인을 통해 코웰메디의 정체성을 전략적으로 홍보하는 한편, 1차 단기 주문으로 500만 달러 수주 성공했다고 밝혔다. 코웰메디는 전 세계 70여 개국에 임플란트를 수출하고 있다. 또 ‘REID’ 라는 임상교육 시스템을 통해 전 세계 치과의사들에게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임상적 교류를 도모하고, 연구 중심 경영으로 치과 의료기기의 혁신을 다지고 있다. 특히 코웰메디는 2015년부터 이번 전시회를 포함해 지속적인 분기별 매출 성장을 이룸으로써 앞으로 더 큰 성장과 수익을 보여줄 것으로 전망했다. 코웰메디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는 코웰메디를 더 성공적으로 알릴 수 있는 기회였다”며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는 변화와 거듭된 도전으로 혁신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메가젠임플란트(이하 메가젠)가 지난 2월 6~8일 AEEDC DUBAI에 참가해 제품 및 솔루션 전시를 통해 기술력을 홍보했다. 메가젠은 주력 제품과 임플란트 종합 솔루션 제시하고, 디지털을 활용한 솔루션 제품으로 참관객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임플란트 존에서는 발치부터 보철까지 하루만에 실현가능한 ‘원데이 임플란트 솔루션’을 제공하며 발치 후 즉시식립 방법에 대해 소개해 호응을 얻었다. 디지털 존에서는 AI 기술을 탑재한 구강 스캐너 ‘R2i3’ 신제품을 선보였다. 또 체어존에서는 국내기업 중 유일하게 유니트 체어의 Continental Type을 중동시장에 출시하며 주목받았다. 전시회 기간동안 부스에서는 현장 강연을 진행하며 참관객들의 발길을 사로 잡았다. 메가젠유저들이 연자로 나서, 디지털 트렌드를 반영한 연자별 임상케이스 및 노하우를 중심으로 수준 높은 강의를 진행했다. 메가젠 관계자는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인 덴탈 솔루션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글로벌 고객들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제2공장 설립을 위해 첫 삽을 뜬 코웰메디가 최신 자동화 공정으로 생산성과 품질이 비약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코웰메디는 지난 2월 22일 제2공장 기공식을 개최했다. 제2공장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에코델타시티 도시첨단산업단지 내에 설립되며 2025년 3월에 완공될 예정이다. 에코델타시티는 김해국제공항, 가덕도신공항, 부산신항 등 접근성이 우수한 글로벌 거점 도시를 목표로 건설되고 있다. 이번 제2공장이 설립될 시 최신 제조·연구·개발 시설을 갖춰 지역 경제 활성화와 치과용 임플란트 수출 확대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업체 측은 밝혔다. 코웰메디 제2공장이 위치한 산업 14블록은 에코대로와 서낙동강에 인접, 쾌적한 근무 환경을 갖췄다. 또 연구, 생산, 물류, 사무, 홍보, 교육, 복지시설 등을 기능별로 공간 효율적으로 배치했고 복도 및 계단실 등 유틸리티 공간을 중앙에 배치해 공간을 집약화했다. 특히 제2공장이 완공되며 생산 규모가 지금보다 최대 6배 증가할 것으로 업체 측은 전망했다. 최신 자동화 생산공정과 연구개발 시설이 적용된 최첨단 스마트팩토리로 생산성과 품질 모두 크게 향상할 것이라는 기대다. 아울러 코웰메디는 국내외 치과의사
박광범 메가젠임플란트(이하 메가젠) 대표가 모교인 경북대학교 치과대학의 개교 50주년을 기념해 발전기금 10억 원 출연을 약정했다. 약정식은 박광범 대표와 홍원화 경북대 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2월 20일 경북대학교 본관 총장실에서 열렸으며, 모교 발전을 위한 발전기금과 감사패가 전달됐다. 발전기금은 오는 5월부터 10년간 매년 5월에 1억 원씩 출연하고, 출연된 발전기금은 ‘치과대학 기금’으로 적립돼 경북대 치과대학 발전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경북대 치과대학 79학번인 박 대표는 지난 2006년부터 현재까지 모교에 발전기금 7억5500만 원을 꾸준히 기부해 치의학 인재 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메가젠은 치의학 발전과 적극적인 인재양성 행보를 이어오고 있다.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개학 100주년 기념기금으로 100억원을 쾌척하고, 부천대학교에 1억 원 상당의 의료기기 기증과 업무협약 체결, 영남대학교 발전기금으로 1억 원을 기탁한 바 있다. 또 전 세계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한 글로벌 연자 발굴 프로젝트인 MEGA’MIND 개최로 지식과 경험을 교류하고 미래 리더 발굴 및 양성으로 치의학계 발전을 선도하고 있다. 박광범 메가젠 대표이사는 “후배들이 세계
대한치주과학회가 올해도 국민들에게 잇몸건강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여러 홍보 활동을 전개한다. 또 오는 춘계학술대회를 4월 12~13일 양일간 대구 EXCO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대한치주과학회는 신년 기자간담회를 지난 14일 서울 강남 모처에서 열고, 상반기 학회 주요계획을 소개했다. 우선 학회의 상반기 주요 학술 행사인 춘계 학술대회는 오는 4월 12~13일 양일간 대구 EXCO에서 경북대학교 치주과학교실 주관으로 개최된다. 학술대회는 ‘Periodontics in an era of hyper-change’를 대주제로 개최되며 임상 강연을 포함해 기초치의학적 관점에서 치주학을 심도있게 살피고, 나아가 인공지능과 디지털 진료, 감염관리와 항생제 처방 등 다양한 연제를 펼칠 예정이다. 또 학회는 오는 3월 7일 경희대치과병원 대강당에서 열리는 1차 학술집담회를 시작으로 15일 ‘사랑의 스케일링’, 21일 ‘제16회 잇몸의 날’ 행사를 진행한다. 사랑의 스케일링은 치과진료 사각지대에 놓인 장애인 환자에게 치과 검진, 스케일링 등을 무료로 제공하는 봉사활동이다. 올해도 학회는 한양여대 치위생과 실습실에서 장애인 환자에게 온정을 나눌 예정이다. 잇몸의 날 행사에서는
디지털 덴티스트리 기업 디오가 지난 1~3일 프랑스 Les Arcs에서 ‘DIO Ski Congress’를 개최했다.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주제로 한 이번 세미나에서는 ‘디오나비(DIOnavi.)’와 ‘디오나비풀아치(DIOnavi. Full Arch)’의 워크플로우와 임상 노하우를 자세하게 공유했다. 먼저 Dr. Mario Silva(Nova Gala Clinic)가 ‘TIPS and TRICKS Mastering modern implantology’를 주제로 포문을 열었다. Dr. Mario Silva는 디지털 임플란트의 전반적인 프로세스인 플래닝부터 수술 그리고 보철 체결 및 유지 보수까지 치료 전 과정에 대한 자신만의 노하우를 공유했다. 이어서 Dr. Jorge RabiÇo(Rios Centro Dentário)는 ‘Guided full-arch surgery with immediate loading using a reverse planning and 100% digital flow – ONE PROTOCOL’을 주제로 ‘디오나비(DIOnavi.)’ 프로세스 및 임상 케이스에 대한 강연과 모든 임상 적응증에 탁월한 ‘디오나비 서지컬 키트’ 라인업을 소개했
의료계 뜨거운 감자로 급부상 중인 의대정원 확대가 치대 등 각종 최상위권 대학 입시에도 큰 파장을 몰고 올 것으로 보인다. 합격선 하락은 물론 학생들의 진로 변경, 자퇴 등 중도탈락 비율도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종로학원이 의대정원 2000명 확대가 내년도 대학 입시에 미칠 영향을 분석했다. 내년도 대입에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의대정원 2000명은 특정학과로 한정했을 때 사상 최대 규모다. 우선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자연계 모집정원(의약학 제외)인 4882명의 41%며, 카이스트 등 5개 이공계 특수대 정원 내 모집인원인 1600명을 상회한다. 또 기존 의대·치대·한의대·약대·수의대 전체 모집정원에 의대 정원 2000명을 포함할 시 총 8659명으로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이공계 전체 모집정원(4882명)의 1.8배에 해당한다. 이처럼 의대 모집정원이 대폭 확대된다면 우선적으로 의대 합격선이 영향을 받는다. 분석에 따르면, 기존 의대 합격선은 국수탐 합산점수(300점 만점) 285.9점인 반면, 2000명 증원 시 281.4점으로 4.5점이 하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또 의대 진학가능권에 해당하는 학생이 기존에는 서울대·연세대·고려대 합격생의 45.4%
“치과 소음의 공포에서 환자들을 해방시키고, 치과 의료진의 청력 보호에 힘쓰겠습니다.” 치과의 불청객 ‘치과 소음’으로부터 치과 의료진과 환자를 지켜주는 제품이 치과의사 출신 기업가의 손을 거쳐 탄생했다. 강준구 힐링사운드 대표가 최신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치과 소음을 저감해주는 의료용 스마트 이어플러그 ‘힐링스톤’을 개발해 출시를 앞뒀다. 기존에도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ANC) 기술을 활용한 치과 소음 저감 장치는 존재했다. 그러나 환자 또는 의료진 간 소통이 중요한 치과 특성상 소음 저감 기능만으로는 명확한 한계가 존재했다. ANC는 소음 저감과 의사소통을 동시에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또 ANC 기기 특유의 메스꺼움, 구토, 두통, 어지러움 등 부작용이 있다는 것이 강 대표의 설명이다. 이에 강 대표는 치과에 쓰일 소음 저감 장치 개발에 첫발을 들였다. 연세대 치의학전문대학원 재학 시절 학교 창업 동아리에서 활동하며 ‘치과 소음 감소(Dental Noise Cancelling)’ 연구로 창업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한 것도 하나의 계기였다. 그렇게 탄생한 힐링스톤은 소음 저감은 물론 의사소통도 가능케 해 기존 제품과
입속세균관리를 통해 치과계 미래를 계획하는 자리가 열린다. 제6회 구강세균관리포럼이 오는 3월 9일 닥스메디 빌딩 지하 1층 대강의장에서 개최된다. 대한구강세균관리협회가 주최하고 닥스메디오랄바이옴이 주관하는 이번 포럼은 ‘치과의 미래, 입속세균관리에서 답을 찾다’라는 주제로 열린다. 구강세균관리포럼은 지난 2021년 첫 행사를 시작으로 구강세균 관리를 바탕으로 한 예방 진료 확산에 힘써온 바 있다. 특히 올해 1월부터는 대한구강세균관리협회로 탈바꿈한 만큼 치과 개원가의 구강세균관리 대중화에 더욱 힘쓰겠다는 각오다. 이번 포럼에서는 구강세균이 전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살펴보고, 임상에 적용하는 여러 노하우도 공유될 예정이다. 세부 연제로는 ▲이효정 교수(분당서울대병원 치주과)의 ‘구강 마이크로바이옴과 전신질환의 관련성’ ▲김배경 원장(THE이해승치과의원)의 ‘마이크로바이옴과 후성유전학으로 연결되는 생활습관과 치주질환’ ▲조무열 박사(사과나무치과병원 의생명연구소)의 ‘입 속 세균이 심혈관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 ▲홍선아 부회장(대한치과부험학회) ‘예방진료시스템 운영 시 가능한 보험 청구 내용 살펴보기’ ▲강현민 원장(정림탑치과의원) ‘치과예방의 환골탈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