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웰메디가 해외 시장에서도 INNO 임플란트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업체 측은 자사의 INNO 임플란트 픽스쳐가 캐나다 보건 규제당국(Health Canada)의 MDL(Medical Deivce Licence), 중국 CFDA(China Food Drug Administration), 호주 TGA(Therapeutic Goods Administration) 등 인증을 획득했다고 최근 밝혔다. INNO 임플란트는 픽스쳐 표면이 정밀한 산부식 처리로 Macropore와 Micropore를 형성함으로써 골유착을 가속화 시킨 제품이다. 생체적합성 물질인 HA 분사처리를 해 표면 거칠기가 고르게 분포 있고 나노 인산칼슘 처리 및 중화기술을 통해 빠르고 안정적인 골유착을 진행시켜 치유 기간을 단축시킨다. 또 향상된 표면 친수성으로 표면 활성을 증가시켜 골세포의 부착이 더욱 유리하게 만들어 빠른 골융합이 가능하게 만든다는 설명이다. 코웰메디는 INNO 임플란트의 우수성을 내년 3월에 있을 IDS 2023에서 다시 한번 선보일 예정이다. 코웰메디의 부스는 Hall 4 E-20에 위치해 있으며 어버트먼트, 픽스쳐, 디지털 키트 등 모든 제품 라인업을 만날 수 있다. 코
㈜메가젠임플란트(이하 메가젠)가 최근 출시한 Digital Work Station ‘R2 STUDIO Q’에 개원가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업체 측에 따르면, R2 STUDIO Q는 CBCT, Facial scan, Impression scan을 하나의 기기에서 동시에 채득해 10분 만에 만들어지는 Digital Patient(가상환자)로 실제 환자에게 적합한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이 가능하다. 또 R2 STUDIO Q의 Digital Oral Design(DOD) 기능을 이용하면 환자의 스마일 라인을 눈으로 확인해 황금비율로 디자인된 기준 치아 라이브러리를 배열한다. Mid-facial과 스마일 라인, 측면 악골을 동시에 보며 위치를 선정해 이상적인 스마일 라인을 실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기존 치아 위치와 이상적인 치아 위치를 비교해 적절한 치료 옵션도 선택할 수 있고, 최대 FOV 18㎝×16㎝까지 한 번에 촬영 가능해 전악수복, 심미치료, 신경치료는 물론 교정치료 시 요구되는 큰 FOV까지 활용도가 높다고 업체 측은 밝혔다. 최근 메가젠은 CE MDR 획득, 1억 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는 등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메가젠 관계자는 “R2
업체 측에 따르면 해당 제품은 컴팩트하며, 위생적으로 최적화된 스캐너다. 또 스캐너에 내장된 ScanAssist 인텔리전트-얼라인먼트 기술로 부드럽고 빠른 스캔이 가능해져 이미징 성능이 높아졌으며, 치과 내의 감염 관리가 용이하다. 해당 제품은 현재까지 출시된 3Shape 구강스캐너 중 가장 작고 가벼운 스캐너다. 업체 측에 따르면 스캔하는 동안 LED 링과 감각 센서 피드백의 가이드로 디지털 임프레션이 부드럽고 빨라진다. ScanAssist 기술은 3D 모델의 오정렬 및 왜곡을 최소화하며,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따라 스캔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 해당 제품의 스캐너 팁은 오토클레이브에서 멸균이 가능하며, 스크래치에 강한 사파이어 글래스로 보호된다. 스캐너에는 본체를 덮고 교차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얇고 꼭 맞는 일회용 슬리브가 포함돼 있다. TRIOS 5 유저는 맞춤형 온보딩, 무상교체 서비스와 무제한 지원을 제공하는 TRIOS Care 혹은 연회비가 없는 TRIOS Only의 두 가지 TRIOS 서비스 계약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야콥 저스트 봄홀트 3Shape CEO는 “자사의 구강스캐너는 5세대를 걸쳐 완벽해
가톨릭대가 임플란트, 디지털 치과, 감염 관리 등 임상과 밀접한 연제로 연말 학술대회를 장식했다. ‘제20회 가톨릭대 치과학교실 학술강연회’가 지난 11일 가톨릭대 성의회관 마리아홀에서 개최됐다. 가톨릭대 임상치과학대학원과 서울성모병원이 공동 주최한 이번 학술강연회는 3년 만에 열린 오프라인 학술대회임에도 불구, 사전 등록 877명과 현장등록 40명을 합한 총 917명이 몰려 성황을 이뤘다. 학술 프로그램에서는 ‘쉽게 익히고 알차게 활용하는 치과 임상 노하우’라는 대주제로 연자 7인이 올라 치과 감염관리, 임플란트 진료, 디지털 치과, 교정 등 다양한 주제의 강연을 펼쳤다. 세부 강연을 살펴보면 ▲김지연 교수(가톨릭대) ‘팬데믹 시대에 알아두면 쓸모있는 치과 감염관리’ ▲조신연 교수(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임플란트 시대에 재식술과 이식술 활용하기’ ▲김도영 원장(김&전치과)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와 그 이후 제거 시점 결정과 재식립’ ▲김정현 원장(e튼튼치과) ‘디지털치과셋업 피할 수 없는 변화 어떻게 대처하나’ ▲곽 춘 원장(바른이치과) ‘3D프린터의 임상 적용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까지’ ▲국윤아 교수(가톨릭대) ‘최신 비발치 치료법으로 알아
진료권 분석 전문기업 브랜드본담이 최근 자사의 병원 개원 조사 서비스인 ‘웨어히어(WHEREHERE)’에 지역별 개원 심리와 병원 추세를 살필 수 있는 ‘개원현황’ 기능을 추가하는 등 업데이트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 배경은 최근 1년간 코로나로 인해 광역시, 도, 시군구 등 대단위 지역의 거시적인 개원 변동 흐름을 파악하고 세부 지역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해진 만큼, 효과적으로 개원 준비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지역별 개원 동력을 나타내는 ‘개원심리’ 점수를 주목해 볼 만하다. 이를 통해 병원 수가 늘기 전 선행해 움직이는 패턴을 보여줘 후보지의 치과 개원동력을 검토할 때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체 측에 따르면 서울의 치과 개원심리는 지난 10년 동안을 통틀어 2020년 여름에 가장 높았다가 이후 하락하기 시작해 2022년 말 현재 시점으로는 전국 평균치 이하로 내려온 상태다. 최근 서울의 치과 개원 증가 추이가 경기도로 상당 부분 이전된 패턴을 개원심리 점수를 통해 정량화해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웨어히어는 전국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치과·의과·한의과 등 개원 후보지를 검토할 수 있도록 돕는 개원 조사 서비스다. 의사회원은 가입 후
㈜메가젠임플란트(이하 메가젠)가 ‘1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제59회 무역의 날 대구·경북 전수식’이 지난 8일 대구 인터불고호텔에서 개최된 가운데 메가젠은 적극적인 해외 시장 개척과 수출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같이 수상했다. ‘무역의 날’은 해외시장 개척, 수출 확대, 일자리 창출 등에 공헌한 기업 및 유공자를 포상하는 행사로, 한국무역협회가 주관하고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한다. 메가젠은 현재 유럽, 미국, 독립국가연합(CIS) 등 세계 100여개 국에 임플란트 및 의료기기를 수출하고 있으며, 지난 2011년 1000만불, 2016년 3000만불, 2017년 ‘5000만불 수출의 탑’, 2020년에는 ‘7000만불 수출의 탑’을 잇달아 수상하는 등 국내 기업 중 유럽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다. 또 9년 연속 유럽, 2년 연속 미국 수출 1위를 달성하는 등 해외시장에서도 입지를 다지고 있다. 메가젠 측은 올해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공급망 교란, 글로벌 금융위기, 원자재 가격 상승 등 각종 악재와 어려운 무역 환경 속에서도 정부포상이 수여돼 그 어느 해 보다도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이어 고용 확대, 해외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강화 활동
“취약 계층에게는 치과 진료 지원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관리도 중요합니다. 이번 센터 개소를 시작으로 향후 서울시 쪽방촌 주민의 ‘구강 관리 허브’가 되고자 합니다.” 치과에 가기 어려웠던 쪽방촌 주민들의 구강 건강 지킴이가 돼주는 ‘우리동네구강관리센터’가 전국 최초로 개소한 가운데 그 일원으로 참여 중인 한동헌 행동하는의사회 이사장(서울대 치의학대학원 예방치과학교실 교수)의 포부다. 지난 8일 개소식을 통해 본격 운영을 알린 센터는 종로구 돈의동 쪽방상담소 5층에 위치, 서울시·우리금융미래재단·행동하는의사회가 공동 운영하게 됐다. 치과 진료는 비용 부담으로 취약계층에게 특히 접근성이 낮은 의료서비스로 꼽힌다. 지난해 서울시 쪽방주민 실태조사에서는 가장 필요한 의료서비스로 ‘치과진료’(32.6%)가 꼽혔다. 다만 혹자는 취약계층에 대한 진료 지원에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기도 한다. 가령 틀니를 해주고도 관리가 안 돼 틀니를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일명 ‘포켓 덴쳐’가 되기 십상이라는 이유다. 이에 대해 한 이사장은 “특히 취약계층의 경우 지속적인 구강 건강 관리가 어려운 환경에 놓여있다”며 “주치의라면 환자의 삶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치료와 건강 관리에 도움을
치과 기구 전문 업체 엠씨티바이오(MCTBIO)가 지난 5일 코엑스에서 열린 ‘제59회 무역의 날 시상식’에서 300만 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고 최근 밝혔다. 무역의 날 시상식은 한국무역협회가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행사로 매년 해외 시장 개척과 수출 증대에 기여한 기업을 선정해 포상하고 있다. MCTBIO는 2020년 수출액 약 202만 달러, 2021년 약 252만 달러를 달성한 데 이어 올해 약 330만 달러를 기록한 성과를 인정받아 이번 수상을 하게됐다. MCTBIO는 치과용 일반 시술 기구 및 임플란트용 특수기구를 연구·개발해 제작하는 업체다. 해외 시장 매출이 약 80%를 차지하는 수출 중심 기업으로 50여 개국에 약 50여 종의 의료기기를 수출하고 있다. 업체 측 관계자는 “코로나가 종식되는 상황에서 매출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특히 자사의 Auto Bone Tac System은 미국과 중국 특허를 받은 제품으로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이 증명되고 있다. 글로벌기업 도약을 위해 향후 더 많은 국가의 인증을 취득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염증성 턱관절 장애 진료의 다각적 접근을 논하는 자리가 열렸다.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가 전문학술대회를 지난 3일 서울대 치과병원 8층 강당에서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구강내과 전문의·인정의를 위한 보수교육 및 해당 주제에 관심있는 치과의사들을 위한 연수교육으로 염증성 턱관절장애의 진단과 치료의 다각적 접근이라는 대주제를 가지고 강의 및 토론의 시간을 가졌다. 정진우 회장은 인사말에서 “전문학술대회는 매년 12월에 개최하는 구강내과 전문의와 인정의를 위한 연수교육으로 한 해를 마무리하는 뜻 깊은 시간이 되기를 기원한다”며 참석자에게 감사를 표했다. 첫 번째 세션은 전공의 증례발표로 서울대 공미선 전공의의 전신경화증 환자의 구강안면 증상에 관한 증례, 서울대 차주현 전공의의 오훼돌기 과형성증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두 번째 세션은 김지락 교수(경북대 구강내과), 김태우 교수(서울대 치과교정과)의 강의로 턱관절 골관절염 환자의 관절강세정술 치료와 스플린트 치료 후 교정적 처치에 대해 다뤄져 통증 조절 및 교정 치료에 대한 최신 술식과 지견을 공유했다. 세 번째 세션은 한상선 교수(연세대 영상치의학과), 조상훈 원장(조은턱치과의원)의 강의로 턱관절
대한치주과학회가 공중보건치과의사(이하 공보의)를 대상으로 한 직무교육 및 치주수술 연수회를 지난 11월 20일 덴티움지식산업센터 강당에서 진행했다.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진행된 이번 직무교육 및 연수회에는 총 44명의 공보의들이 등록해 이번 교육에 대한 관심을 보여줬다. 허 익 회장은 개회사에서 “치과진료를 받기 쉽지 않은 지역사회 거주민들과 함께 하는 공보의들이 치주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해 더욱 적극적으로 홍보해 국민 구강보건 향상에 일조해주시기를 부탁한다”고 격려했다. 오전에는 첫 번째 연자로 창동욱 학회 홍보이사가 ‘개원의로서의 삶! 치주치료는 임상의 기초’라는 주제로 공보의를 마친 후 치과의사의 삶과 진료 방향에 대한 지침을 제시했다. 두 번째 연자로 신현승 학회 대외협력이사는 ‘Save the teeth & overall health!: 치아를 넘어서 전신건강을 이롭게 하는 치주판막수술!’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치주수술 방법에 대해서 설명했다. 마지막 연자로 박병규 학회 재무실행이사는 ‘Fantastic Muco-Gingival Surgery: 기능과 심미!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치주성형수술’이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했다. 박 이사는
㈜메가젠임플란트(이하 메가젠)가 국내 임플란트 업체 최초로 유럽 의료기기 규정인 CE MDR(Medical Devices Regulations)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증은 TEAM NB(The European Association for Medical devices of Notified Bodies) 소속 심사기관인 DNV(2460)로부터 받았다. 수여식은 지난 2일 메가젠 대구 본사에서 진행됐으며, 이장섭 DNV Korea 대표가 참석했다. 인증을 획득한 제품은 메가젠의 특허 기술이 담긴 ‘XPEED AnyRidge Internal System’이다. 해당 제품은 임플란트 고정체 표면에 칼슘을 증착시켜 시술 후 골 유착이 잘되도록 한 ‘엑스피드(XPEED)’ 표면처리 기술, 강한 초기 고정력을 확보해 치유 기간을 단축시킨 ‘나이프스레드(KnifeThread)’ 디자인이 특징이다. CE MDR은 유럽 통합 기구 CE(Conformite Europeenne)의 기존 의료기기 지침(MDD)을 품질과 안전기준을 높여 개정해 법제화한 것으로 지난해 5월부터 시행됐다. 안전성, 성능 유효성 등 요구사항이 까다롭고 검증도 엄격해진 것이 특정이다. CE MD
치과 교정재료 전문 기업 오스템올소돈틱스의 전 제품 라인업이 ‘오스템 연구소 제품 전시관’에서 전시되고 있다. 이에 현직 치과의사들과 유관 학과 전공생들이 교정제품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업체 측은 밝혔다. 지난달 진행된 ‘디지털 덴탈 테크니션 컨테스트’와 ‘오스템미팅 2022 서울 코리아’ 행사에서도 전시관을 찾은 치과의사는 물론, 200명이 넘는 치기공과 학생들도 2층에 마련된 오스템올소돈틱스 제품을 관심 있게 둘러봤다는 후문이다. 지난 9월에는 연세치대 학생들도 전시관을 찾았다. 학생들은 직원 안내에 따라 오스템올소돈틱스의 교정장치 클립을 직접 개폐해보는 시간을 갖기도 했다. 오스템임플란트 멕시코법인 초청으로 현지 치과의사들이 한국 본사를 찾기도 했다. 멕시코의 한 교정전문의는 “전시관을 둘러보는 중, 특히 교정 분야가 매우 디지털화되어 있는 점이 놀라웠다”고 소감을 밝혔다. 전시관 2층과 4층에 마련된 오스템올소돈틱스의 교정 제품은 총 523종이다. 자가결찰 브라켓 ‘MAJESTY(마제스티)’의 세라믹, 메탈 전제품 라인업과 부속품은 물론, 메탈 브라켓 ‘YES2’, ‘교정스크류’, ‘CARRIERE’ 등 오스템올소돈틱스의 전 제품이 총망라돼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