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의 안티에이징’ 등 최신 치료의 패러다임을 논의하는 학술대회가 개최된다. 한국생체모방치의학회(이하 생체모방치의학회)는 오는 11월 29일 미니쉬치과병원에서 2025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강연에는 김용석 원장, 이진형 데이터마케팅코리아 대표, 윤필상 미니쉬치과병원 원장이 나선다. 구체적으로 김용석 원장은 ‘치과의 안티에이징’을 주제로 안면 통증 완화와 근육 조절 전략을 다룬다. 이어 이진형 대표는 ‘데이터로 사람을 행동하게 한다’를 통해 디지털 시대 환자 경험 향상 및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끝으로 윤필상 원장은 ‘부식성 치아마모 환자에서의 미니쉬’를 주제로 임상 적용 사례를 소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밖에도 이날 자리에서는 강정호 미니쉬테크놀로지 대표의 ‘미니쉬테크놀로지의 현재와 미래’를 비롯해 참석자 간 교류의 시간도 제공될 예정이다. 홍성욱 생체모방치의학회 회장은 “임상 현장에서 실제 적용할 수 있는 근거 기반 지식을 공유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생체모방치의학의 가치와 치료 패러다임을 함께 논의하는 기회를 얻기를 바란다”고 참여를 독려했다.
“전치부 임플란트와 심미 치료에 관한 임상가의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시기입니다.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임상적으로 성장하고, 나아가 미래 심미치과학의 가능성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대한심미치과학회(이하 심미치과학회) 38주년 정기학술대회가 11월 16일 서울 코엑스 401~3호에서 개최를 목전에 둔 가운데, 노관태 학술이사가 프로그램의 핵심을 다시금 설명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전치부 임플란트, Beyond the Next Level’을 대주제로 삼았다. 앞선 6월 심미치과학회는 ‘전치부 임플란트, Next Level’을 주제로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한 바 있다. 즉, 이번 정기학술대회는 더욱 더 심화된 전치부 임플란트의 심미적 임상의 비법 레시피를 공개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노 이사는 “지난 춘계학술대회에서 전치부 임플란트의 기본 개념과 접근법을 다뤘다면, 이번 정기학술대회에서는 심미적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수술적‧보철적 고려 사항을 종합적으로 정리할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그는 임상가가 빈번하게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를 만나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골이식과 연조직 이식의 적응증 ▲술식 선택의 기준 ▲하악 전치부 등 심미적으로 수
박창진 원장(미소를만드는치과)이 진행하는 임상예방치과강의 ‘43차 APEM(Active Prevention through Education and Management) 세미나’가 오는 12월 7일(일), 스페이스쉐어 서울역센터 토파즈홀에서 진행된다. 올해로 10년 째 이어오고 있는 APEM 세미나는 치열한 경쟁 속 과도한 치료비 할인 등의 방법까지 동원해 치과경영의 출구를 찾고자 하는 비정상이 일상이 돼버린 현실에서 경영학적이고 원론적인 접근을 임상에 적용해 성공적인 치과운영을 이야기해 보자는 강의다. 정기검진을 통한 구환의 관리, 환자를 통한 지속적인 소개 등이 치과경영에서 중요하다는 사실을 대부분의 개원의가 인식하고 있지만, 정작 실제 치과에서 이를 실현할 정확한 프로토콜이 없다면 공허한 메아리에 불과할 것이다. 이 막막하고 추상적인 고민을 명확하고 실질적인 해법으로 풀어 환자의 평생 주치의로 거듭나는 방법에 대한 강의가 바로 APEM이다. APEM 세미나의 대주제는 ‘행복하고 건강한 환자와 함께하는 윤리적 수입증대’이며 세부적인 소주제는 ▲환자를 바라보는 시각의 전환 ▲치과의사의 직업윤리와 윤리적 마케팅 ▲환자 중심 상담법 ▲치주환자의 관리 ▲SOOD
대한통합치과학회 2025년 학술집담회가 오는 23일(일), 오후 1시부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에비슨의생명연구센터 유일한홀에서 개최된다. 세미나에서는 최소영 교수(경북치대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가 ‘Common but Confusing: 구강 병소의 병리학적 이해와 치료’를 주제로 강의한다. 또 허경회 교수(서울대학교치과병원 영상치의학과)가 ‘파노라마에서 CBCT로: 더 깊이 보는 진단’을 주제로 강의한다. 이번 학술집담회는 치협 보수교육점수 2점이 부여된다. 등록방법은 학회 홈페이지(www.kagd.org)를 통해 하면 된다. 등록문의: 02-2228-8968
PDRN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실전 테크닉을 전수하는 세미나가 진행된다. PDRN 면역재생치의학 연구회가 주최하는 ‘PDRN TOTAL HANDS ON COURSE’가 오는 30일(일), 신원덴탈 세미나실 1층(강남구 테헤란로51길 22)에서 개최된다. 오전에는 임종원 원장(베스트치과)이 ‘PDRN의 치과 임상 활용 증례’, 설원석 원장(애플치과)이 ‘당신도 할 수 있는 CASE! 최소의 장비로 최대의 효과’, 윤종일 원장(연치과)이 ‘PDRN의 이해와 치과 임상 그리고, 골면역학’에 대해 강의한다. 오후에는 김형준 원장(OFP구강내과치과)이 ‘턱관절 질환의 병태생리 및 PDRN 주사치료법’, 권용대 교수(경희대치과병원)가 ‘PDRN pressure lift for transcrestal approach’, 이선정 원장(연세SK치과)이 ‘치과 미용의 시작: PDRN 활용하기’를 주제로 강의한다. 이어 PDRN·TMD·Skin 핸즈온 과정이 진행된다. 등록문의: 연구소(02-716-7438), 한영진 팀장(010-8949-8475)
실리프팅, 보톡스, 필러, 스킨부스터. 치과가 선도하는 미용시술의 변화 양상과 트렌드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 ‘2025 미용치과협회(KADA) 학술포럼’이 오는 12월 7일(일), 오전 10시부터 강남 파이넨스 플라자(테헤란로424, 22층)에서 개최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치과에서 가능한 미용시술들을 실제 임상사례를 바탕으로 살펴보고, 앞으로 해당 분야의 발전방향과 새로운 경영툴로써의 가능성을 가늠한다. 세미나에서는 정현수 KADA 회장(해밀턴치과)이 나서 ‘미용치과의 현재와 비래 비전’을 주제로 국내외 미용시술 시장 현황, 실리프팅 중심 최신 트렌드 분석, 치과에서 미용시술을 접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강의한다. 또 실리프팅, 보톡스, 필러, 스킨부스터 등 각 시술별 특장점에 대해 소개하는 자리가 마련돼 있다. 이 외에 각 시술별로 개원가에서 해당 시술을 하고 있는 치과의사들이 직접 나서 미용시술을 도입한 경험, 환자들의 반응, 재방문율의 변화, 병원 운영 효과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들이 진행된다. 미용시술 도입을 통한 경영, 마케팅 효과에 대한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가 기대된다. 이 외에도 임상의 원장들이 미용시술과 관련해 하고 있는 고민과
근관치료에 관한 최신 기술과 치료 전략을 다수 다룬 학술 강연이 성공적으로 끝났다. ‘대한치과근관치료학회 2025년 추계학술대회’가 지난 9일 가톨릭대학교 의생명산업연구원 대강당에서 열렸다. ‘미래의 개념, 현재의 기술: 최신 기술과 치료 전략들’을 대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460여명 이상의 참가자들이 함께하는 등 성황을 이뤘다. 이날 ‘근관치료영역에서 최신 테크놀로지와 신의료기술 제도의 의미’를 주제로 첫 강연의 포문을 연 김선일 교수(연세치대 보존과학교실)는 신의료기술 제도의 개념과 신청 절차를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설명했다. 이어 Heather Lam(Carl Zeiss 세일즈 매니저)은 ‘Advancing Precision in Dentistry: The Evolution of Microscope Technology and Future Possibilities’를 주제로 치과 진료에서의 현미경의 미래 가능성에 대해 논했다. 김종철 원장(대구미르치과병원)은 ‘알아두면 쓸만한 신박한 디지털 치의학 이야기’를 주제로 현대 디지털 치의학의 주류로 잡아가고 있는 ‘Digital twin’의 개념과 임상 활용에 관해 다뤘다. 또 ‘인공지능의 치의학 연구와
덴티움이 주최한 ‘Filler & Toxin Seminar 8’이 지난 1일 광교 본사에서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모나리자 필러의 임상적 우수성과 시술 안전성을 중심으로 한 강연과 라이브 시연이 진행된 강연은 참가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세미나에서는 ‘안전하고 자연스러운 필러·톡신 시술’을 주제로, 임상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시술법과 노하우가 공유됐다. 특히 노화로 인한 피부 탄력 저하와 볼륨 감소를 개선하기 위한 Intra-oral Injection 기법과 Needle을 이용한 Bone Contact Technique이 큰 주목을 받았다. 강연에 나선 조영단 교수(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는 “치과의사는 구강 내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정교한 필러 시술이 가능하다”며 Intra-oral Injection을 통한 깊은 주름 개선과 블랙 트라이앵글 복원 등 치과 고유의 적응증을 제시했다. 조 교수는 모나리자 필러의 점탄성과 균질한 주입 특성을 활용한 정밀 볼륨 디자인 기술을 소개하며 “특히 치간유두 퇴축으로 인한 블랙 트라이앵글이나 Gummy Smile 볼륨 소실 부위에 적용할 때, 자연스러운 형태 회복과 심리적 만족도가 높다”고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 ㈜덴티움이 자사 신제품 ‘bright Implant’의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 인허가 획득을 바탕으로, 10월 한 달간 중국 주요 도시인 사천성 성도, 운남성 쿤밍, 상하이에서 연속 개최한 임상 세미나를 성황리에 마쳤다. 이번 세미나는 bright Implant의 공식 인허가를 계기로 중국 시장에 적합한 임상 연구 및 교육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현지 임상의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지난 10월 18일 중국 사천성 성도에서 열린 세미나는 치과 임상 내 필러와 톡신의 정밀한 응용을 주제로 진행됐다. 정성민 원장(덴티움치과)과 조영단 교수(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가 연자로 참여해, 단순한 주름 개선을 넘어 필러를 활용한 임플란트 환자의 안모 조화와 심미적 만족도를 높이는 새로운 임상 접근을 제시했다. 정성민 원장은 턱관절 장애 및 하안면 근육 불균형 환자에서의 톡신 적용과 필러의 구강 내 정밀 주입술에 대해, 실제 임상 영상을 통해 안전한 시술 깊이와 해부학적 주의점을 공유했다. 이어 조영단 교수는 치간유두 퇴축(블랙 트라이앵글) 개선을 위한 필러의 심미적 응용을 다루며, 연조직과 치은 형태를 함께 고려한 술식을 소
실제 임상과 가장 흡사한 환경에서 임플란트 전반적인 내용을 경험해볼 수 있는 세미나가 열린다. 오스템임플란트(이하오스템)가 오는 22일부터 이선규 원장(연세위드치과), 박창주 교수(한양대학교병원 치과 구강악안면외과), 이준석 교수(단국대학교 치과대학)가 연자로 참여하는 'MASTER COURSE'(이하 마스터코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임플란트의 수술과 보철 기본과정 이해’를 대주제로 하는 이번 세미나의 경우 임플란트 식립 및 난이도 높은 수술, 술 후 보철 과정까지의 내용을 이론 강의 및 실습을 통해 임상에서 자신 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장소도 서울시 강서구에 위치한 오스템 중앙 연구소 사옥 EAST동 3층에서 열려 다양한 모형과 기자재를 사용해 볼 수 있다. 특히 이론 강의 후 실습을 통해 바로 실전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지며 구강 모형을 그대로 재현한 교보재를 수강생 모두에게 개인별 지급한다. 특히 마네킹은 물론 오스템 자체 교보재 등을 활용해 실제 임상 환경과 가장 흡사한 상태에서 연자들과 함께 실습해 보며 즉각적인 질의도 가능하도록 기획했다. 이선규 원장(베이직 과정), 박창주 교수(수술 과정), 이준석 교수(보철 과정)가 참
로덴치과그룹(이하 로덴)이 스탭들의 역량을 배가시키기 위한 세미나를 최근 개최했다. 로덴은 지난 10월 25일에는 서울, 11월 1일에는 부산에서 각각 ‘2025년 후반기 로덴 스탭레벨업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해당 세미나는 그룹 내 회원치과에서 근무하는 스탭들의 업무역량 향상과 보험청구 실무능력 제고를 목표로 진행된다. 로덴은 매년 상·하반기로 나눠 스탭들을 위한 세미나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으며, 올해 후반기에는 스탭들의 치과건강보험 청구 역량의 향상과 효율화를 중점을 두고 실시됐다. 특히 ‘치과건강보험 A to Z-임상과 청구가 만나는 실무가이드’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세미나에서는 정세희 강사(로덴메트로치과)를 초빙, ▲올바른 치과상병명 적용 방법 ▲재료대 신고 절차 ▲치주치료 청구 시 유의사항 ▲최신 심사 경향과 자주 발생하는 청구오류 사례 및 예방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실무 강의가 진행됐다. 또 강의 중간에는 스탭들이 청구 업무 중 겪었던 실제 사례를 공유하고 질의응답을 나누는 등 활발한 참여 분위기를 보였다. 이번 세미나는 서울과 부산 지역으로 나눠 교육을 진행, 접근성을 높였다. 참석하지 못한 직원들을 위해서는 향후 온라인 영상 강의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