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2 (토)

  • 흐림동두천 21.5℃
  • 흐림강릉 22.8℃
  • 서울 22.6℃
  • 대전 22.7℃
  • 대구 22.6℃
  • 울산 22.2℃
  • 광주 23.7℃
  • 부산 23.0℃
  • 흐림고창 23.7℃
  • 제주 26.0℃
  • 흐림강화 21.8℃
  • 흐림보은 22.2℃
  • 흐림금산 22.8℃
  • 흐림강진군 24.4℃
  • 흐림경주시 23.7℃
  • 흐림거제 23.4℃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지난해 치과의원 1개소당 급여비 1229만 원

치과 병·의원 급여비 2460억, 9.6% 상승
급여 비중 2.1%, 진료실 인원은 64만 명

지난해 치과의원 1개소당 급여비가 1229만3000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의원급 의료기관 중 가장 낮은 기록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난 2일 ‘2023 의료급여 주요통계’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급여비는 10조8809억 원으로 전년 대비 8.3% 증가했다.


이 중 치과 병·의원의 급여비는 약 2460억59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9.6% 올랐다. 이에 따른 전체 급여비 비중은 전년과 동일한 약 2.1%였다. 또 세부 종별로 치과병원은 121억3200만 원, 치과의원은 2339억2700만 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기관당 급여비에서 치과는 병·의원 모두 가장 낮은 급여비를 기록했다. 치과병원의 경우, 1개소당 5054만9000원 수준으로 병원급 중 가장 높은 ▲정신병원(34억6331만 원)과 68배 이상 차이가 벌어졌으며, 바로 위인 ▲한방병원(1억5328만 원)보다 3배가량 낮은 모습을 보였다.


기관당 급여비 석차는 치과의원도 동일했다. 지난해 치과의원 1개소당 급여비는 1229만 원으로 ▲의원(4748만 원)보다 약 3.8배 차이를 보였다. 또 ▲한의원(1276만 원)보다는 47만 원 낮았다.


단, 전년 대비 기관당 증감율에서 치과 병·의원은 다소 높은 순위를 보였다. 먼저 치과병원 1개소당 증감율은 11.8%로 병원급에서는 ▲한방병원(30.1%)에 이은 두 번째를 기록했다. 이 밖에 ▲요양병원(7.8%) ▲병원(5%) ▲정신병원(3.6%) 등의 순이었다. 또 치과의원 1개소당 증감율은 8.6%로 ▲한의원(9.6%)보다는 낮았으나 ▲의원(8%)보다는 높았다.


더불어 공단은 지난해 의료급여 진료 실적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치과 병·의원의 진료실 인원은 64만6842명이었다. 이 중 치과의원은 60만5754명, 치과병원은 4만1088명으로 집계됐다. 또 이들을 대상으로 이뤄진 급여 건수는 총 271만6747건이었으며, 이 가운데 치과의원 258만3666건, 치과병원 13만3081건이었다.

이 밖에 다빈도 상병 진료 현황에 치과 항목은 ▲치은염 및 치주질환 ▲치아우식 ▲치수 및 근단주위조직의 질환 ▲치아 및 지지구조의 기타장애 ▲치아경조직의 기타질환 등이 올랐다. 특히 치은염 및 치주질환은 ▲진료실 인원 49만6579명 ▲총 진료비 611억5989만 원 등을 기록하며, 전체 항목 중 1위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