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4.6℃
  • 구름많음강릉 27.5℃
  • 맑음서울 25.9℃
  • 구름많음대전 24.9℃
  • 구름많음대구 25.2℃
  • 구름많음울산 25.1℃
  • 구름많음광주 24.9℃
  • 흐림부산 25.7℃
  • 구름많음고창 25.0℃
  • 흐림제주 22.9℃
  • 맑음강화 25.2℃
  • 구름많음보은 23.3℃
  • 구름많음금산 23.5℃
  • 구름많음강진군 24.9℃
  • 구름많음경주시 26.8℃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개원 치과 2만 시대 눈앞…무한경쟁 현실되나

치과 병·의원 1만9000개 돌파 2030년 2만 넘어
경영전문가 “임상 브랜딩 등 생존전략 필요 강조”

 

매해 치과 개원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이제는 바야흐로 개원 치과 2만 시대를 목전에 뒀다.


본지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을 통해 치과의원과 치과병원의 수를 조사한 결과, 지난 2022년에는 1만9000개를 돌파한 데 이어 최근에는 1만9332개를 기록했다. 이는 올해 기준 한의원(1만4617개)보다 많으며, 일반 의원(3만5951개) 수도 내과·안과 등 진료과목 수와의 비율을 고려하면 월등히 많은 수를 차지한다.


세부적으로는 치과의원의 경우 지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매해 평균 257개 늘어났으며, 같은 기간 치과병원 수는 4개가 증가했다. 또 활동 중인 치과의사 수도 2만6522명에서 2만8459명으로 4년 새 2000명 가량 늘어났다. 다만, 2020년부터 1년마다 치과 개설 증가폭이 328개, 262개, 181개로 감소해 개원 시장이 점차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그러나 이 같은 추세가 지속돼 앞으로 개원 치과 수가 매해 평균 112개 이상 늘어나면, 늦어도 오는 2030년에는 치과 수가 2만 개가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 개원 경쟁 심화 스트레스 늘어
이처럼 매년 치과가 늘어남에 따라, 일선 개원가에서도 개원 경쟁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나날이 커지고 있다. 이 중에는 일부 치과의사들이 개원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불법의료광고를 게시, 환자를 유인하는 등 직업윤리를 외면하고 있다는 목소리도 터져나왔다.


한 개원의는 “옛날과 달리 요즘에는 치과가 교회만큼이나 흔하다. 정말 많다는 사실을 절감하며 하루하루 살고 있다”며 “참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사실이 이러니, 추세를 완전 뒤엎을 수 있는 상황이 올까 싶다. 치과의사가 본분에 충실하고, 환자도 치과의사에 대한 존중이 되살아나는 날이 왔으면 한다”고 전했다. 


경기도에서 개원 중인 A 원장도 “개원가가 심한 경쟁 속에 있다. 그 와중에 혼자 살겠다고 무분별한 진료 방식의 선택과 수가 설정, 그리고 불법의료광고 등을 한 치과의사들이 있다. 이들은 동료 치과의사에 대한 배려는 물론 치과계를 개선하고자 하는 생각이 전혀 없는 것 같다. 이처럼 개인주의 현상이 치과계 내부에서부터 바이러스처럼 퍼지고 있으니, 앞으로 치과계의 생태계가 무너질 것은 누가봐도 뻔하다. 미래가 어둡다”며 탄식했다.


이 밖에 지나친 광고 경쟁으로 피곤함을 호소한 원장도 있었고, 치과계 새로운 파이를 찾아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또 치과가 밀집된 개원 풍경을 두고 ‘편의점 치과’라 표현한 원장도 있었는데, 실제로 한 매체 조사에 따르면 CU·GS25 편의점 업체별 점포 수는 각각 1만6500여개로 치과 수와 유사했다.


# 임상 브랜딩 등 ‘차별화’가 살길
이처럼 일선 개원가에서는 치과 수의 증가로 경쟁이 심해질 것으로 전망한 가운데, 경영 전문가는 앞으로 임상 브랜딩 등 본인만의 강점을 내세운 치과가 개원 경쟁에서 살아남을 것이라고 전했다.


‘슬기로운 개원생활’ 저자이자 연자로 활동 중인 김병국 원장(죽파치과의원)은 “서양 격언들 중 ‘모두의 친구는 그 어느 누구의 친구도 아니다’라는 말이 있다. 모든 진료를 잘한다는 말은 특출난 진료 영역이 하나도 없다는 말과 같다. 이 말에 의구심이 든다면 당장 김밥천국으로 뛰어가 돈가스를 시켜 한 입 베어 보라. 냉동 돈가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김병국 원장은 이어 “그만큼 이제는 더 이상 치과의사 면허만 가지고는 성공할 수 없는 무한경쟁의 시대가 도래했다. 개원 지역 내에서 규모를 기준으로 세 손가락 안(BIG3)에 들지 못하는 치과라면, ‘차별화(Differentiation)’에 앞으로의 사활이 걸려있을 것”이라며 “즉, 개원의들은 ‘본인만의 무기(장점·강점)’를 환자들의 뇌리에 ‘각인’ 시켜야만 생존할 수 있다. 브랜딩, 마케팅, 리더십, 직원 관리 등의 분야에서 경영 능력을 갖춘다면 금상첨화”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