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전역이 구강안면통증(Orofacial Pain·OFP) 전문의 부족 문제를 호소하고 있다. 미국치과의사협회(ADA) 공식 저널인 JADA 최근호에는 ‘Is the specialty of orofacial pain underrecognized and underused?’라는 제하의 사설을 통해 구강안면통증 전문가의 실태와 환자 접근성 문제를 제기했다. 현재 미국 전역에는 287명의 구강안면통증 전문의가 있다. 미국 인구가 3.4억 명이고 이 중 15%가 구강안면통증 진료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해당 전문의 1명이 평균적으로 환자 17.5만 명을 봐야할 것으로 추산돼 심각한 상황이다. 구강안면통증 전문의 1명당 환자 비율이 높은 주는 테네시주(108.1만 명), 위스콘신주(88.9만 명), 인디애나주(51.7만 명), 펜실베니아주(48.6만 명) 등이 있었다. 또 전문의 수급 측면에서 비교적 양호한 지역들인 미네소타주(4.5만 명), 켄터키주(5.7만 명), 애리조나주(8만 명) 등도 전문의 1명당 환자 비율로 살펴보면 역시 전문의 기근 상태가 심각했다. 특히 구강안면통증 전문의가 68명으로 가장 많이 있는 캘리포니아주의 경우도 전문의 1명 당 환
“소방관 배낭에 물을 채우고, 산 정상에 도달하려면 무려 3시간이 필요했습니다. 그런데 이 치과의사는 10분도 안 걸려서 정상에 도달했어요.” Metro 외신은 최근 세르비아의 한 치과의사가 산불을 진압하기 위해 산 1900m 정상까지 오토바이로 물을 배달한 사연을 전해 눈길을 끌었다. 세르비아 프리즈렌(Prizren)의 치과의사인 알메딘 스마일리(Allmedin Smaili) 씨는 코소보 샤르 산맥(Kosovo’s Sharr Mountains.)에서 불이 나자, 오토바이를 타고 물을 배달하는 방식으로 소방 봉사에 나섰다. 당시 소방차가 산 정상(1900m)에 올라갈 수 없었던 가운데, 그가 오토바이로 정상에 올라 소방관들에게 50리터 분량의 물과 식량, 식수병 등을 전달했다. 알메딘 스마일리 씨는 처음 자원봉사를 위해 나섰을 때 특별한 장비가 없었고, 단지 산불의 확산을 막겠다는 의지만으로 행동에 나섰다고 전했다. 알메딘 스마일리 씨는 “소방대원들이 겪고 있는 일과 그들이 얼마나 헌신적인지 보고 나니, 나도 뭔가 해야겠다고 생각했다”며 “그간 오토바이는 제 취미였지만 이번에는 직업적으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어서 뿌듯하다”고 말했다.
미국 내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백신에 대한 승인이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데이터에 따르면 폐수에서 측정된 코로나19 유발 바이러스(SARS-CoV-2)의 수치가 전국적으로 ‘매우 높음’을 나타냈다. 이는 미국 내 지난 2022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여름 수치다. 이 같은 시점에 CNN은 미국식품의약국(FDA)이 최근 유행하는 바이러스 균주를 타겟으로한 업데이트된 코로나19 백신을 조만간 승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Moderna와 Pfizer/BioNTech의 업데이트된 mRNA 백신에 대해 허가를 내릴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는 KP.2라는 바이러스 균주를 표적으로 삼는다고 덧붙였다. 반면 JN.1 균주를 표적으로 삼는 Novavax의 업데이트 백신 허가는 미지수로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업데이트된 mRNA 백신에 포함된 균주인 KP.3.1.1과 KP.2는 모두 Novavax의 백신 대상인 JN.1의 파생 균주이며, 모두 Omicron의 변종이다. CNN에 따르면 FDA 대변인은 제품 신청 시기에 대해서는 언급할 수 없지만 “올가을에 백신을 공급하기 위해 업데이트된 코로나19 백신을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8월 14일 아프리카에서 확산 중인 mpox 발병에 대해 세계적 보건 비상사태를 선언했다.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박사(WHO 사무총장)는 콩고 민주 공화국(DRC)과 아프리카 여러 나라에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Monkeypox virus, 이하 mpox)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 국제 보건 규정(2005)(IHR)에 따라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에 해당한다고 결정했다. 특히 이번 사태와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IHR 비상 위원회는 WHO 사무총장에게 mpox의 급증이 아프리카 내 다른 국가와 아프리카 대륙 외부로 더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mpox는 급성 발진성 감염병으로, poxviridae과의 Orthopoxvirus속에 속한다. 감염 시 발열, 근육통, 두통, 수포성 발진을 동반하고 두창, 천연두, 우두 등의 관련 질병이 있다. 치명률이 높지는 않지만, 변종이 계속 나오는 상황인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 의견이다. 테드로스 박사는 PHEIC를 선포하며 “새로운 mpox 계통의 출현, 동부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의 급속한 확산, 그리고 여러 이웃 국가에서의 사례
우리 치과를 향한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어떤 주의를 기울여야 할까? 게리 살만 Black Talon Security 대표는 최근 외신을 통해 치과 병·의원을 향한 사이버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방안들에 대해 조언했다. 특히 피싱 공격, 랜섬웨어 공격, 비밀번호 유출, 오래된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문제 등을 예방·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먼저 피싱 공격의 경우 악성 링크나 첨부파일이 포함된 메일을 통해 자주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직원들에게 피싱 이메일을 식별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모의 피싱 공격을 통해 직원들의 인식 제고에 힘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피싱 이메일을 차단하는 보안 툴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치과의 민감한 개인 정보를 탈취해 이를 복원하는 명목으로 돈을 요구하는 랜섬웨어 공격을 막기 위해서는 데이터 백업(오프라인에 저장), 네트워크 내·외부 취약성 식별 프로그램 구현, 바이러스 백신 업그레이드, 네트워크 원격 엑세스에 대한 다중 인증 활성화 등을 챙겨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밖에 비밀번호 관리 부실로 생기는 공격도 조심해야 하며, 이를 위해 복잡한 비밀번호를 사용, 정기적으로 비밀번호 업데
미국에서 인공지능(AI) 로봇을 통한 완전 자동화 치과 시술이 실현됐다. 미국의 퍼셉티브 사는 자사의 치과 전용 로봇을 이용해 세계 최초로 완전 자동화한 치과 시술을 했다고 지난 7월 30일(현지시각) 발표했다. 해당 AI 로봇은 진단과 치료 계획을 위해 3D 체적 데이터를 사용해 조기에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또 로봇 팔로 크라운 배치 등 시술 작업을 단 15분 만에 완료한다는 설명이다. 우선 시술은 로봇을 통해 구강스캐너로 환자의 치아와 입을 광학 간섭 기술(OCT)로 스캔하는 데서 시작한다. 구강스캐너는 치아 표면 아래의 3D 이미지를 캡처하고 치아 상태를 시각화해 환자들이 치료 필요성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어 AI 알고리즘으로 3D 데이터를 분석하고 높은 정밀도로 시술을 계획한다. 이 같은 절차를 자동화해 짧은 시간에 더 많은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고, 진단 정확도를 높여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퍼셉티브 측은 로봇공학, AI, 3D 영상 등을 통한 치과 수술 혁신으로 치과 시술의 정확성은 물론 속도, 효율성, 환자 경험을 향상한다는 설명이다. 또 첨단 영상처리, AI, 로봇공학 등을 통합해 치과 진료의 중요한 도약을 이뤄냈
유방암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인 타목시펜이 치아 상실과 관련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페루 트루히요 Antenor Orrego Private University 연구팀은 최근, 이 같은 연구 결과를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제29권 4호에 게재했다. 타목시펜은 에스트로겐 조절제로 여성의 유방암을 예방하거나 유방암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1차 처방 약이다. 부작용으로는 자궁암, 뇌졸중, 시력 문제, 폐색전증 위험도가 높아지는 문제와 체중 감소, 불규칙한 월경 등이 일어날 수 있다. 연구팀은 먼저 유방암 진단을 받은 200명의 성인(여성 20~27세) 환자를 대상으로 타목시펜을 복용한 100명과 복용하지 않은 100명을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유방암 환자와 치아 상실 사이에는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1년 이상 타목시펜을 사용한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치아 상실이 더 두드러진 것으로 확인됐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팀은 “타목시펜은 여러 가지 이점이 있지만 부작용도 있다”며 “더욱이 항균 효과로 인해 상재균에 변화를 일으키거나 해면골 밀도를 감소시켜 치주 질환 및 그에 따른 치주염과 같은 일부 구강 병리
최근 새로 선임된 아일랜드 축구 감독이 치과의사로도 활동 중인 것으로 알려져 눈길을 끈다. ‘Extra.ie’ 매체를 포함한 다수 외신은 최근 하이미르 할그림손(Heimir Hallgrimsson)이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 감독으로 선임됐다고 전했다. 하이미르 할그림손은 과거 축구 선수 시절부터 아이슬란드 국가대표님 감독으로 활동할 당시에도 치과의사로 일했다. 고향에서도 치과 진료를 해왔으며, 특히 지난 2016년에는 치아가 빠진 선수를 치료하기도 했다. 지금도 축구 비시즌에는 환자를 진료하며 치과의사로 활동 중이다. 하이미르 할그림손은 치과의사를 그만두지 않고 투잡을 뛰는 이유에 대해 “어떤 지도자는 골프로 여가 시간을 보내지만, 나는 치과 진료를 하는 것뿐”이라며 “축구 지도자는 언제 일자리를 잃을지 모르기 때문에 또 다른 직업이 있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할그림손은 이어 “아일랜드 성인 남자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임명돼 영광이다. 아일랜드는 꾸준히 재능 있는 선수들을 배출하고 주요 국제 대회에서 많은 기억에 남는 순간을 즐긴 자랑스러운 축구 국가”라고 덧붙였다.
아침 식사나 저녁 식사를 미루면 우울, 불안 등 기분 장애가 생길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헬스데이뉴스(HealthDay News)는 최근 해외 연구팀이 건강 조사에 참여한 2만2600명을 조사‧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이 도출됐다고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설문 참가자들이 언제 아침과 저녁을 먹었는지 등을 추적했다. 이후 아침‧저녁 식사 조사 데이터를 참가자들의 불안과 우울증 선별 도구에 대한 점수와 비교했다. 그 결과, 아침 식사를 오전 9시 이후로 미루면 우울증 위험이 73%, 불안 위험이 79%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저녁 식사를 오후 8시 이후로 미룬 이들은 오후 8시 이전에 식사한 사람에 비해 우울증 위험이 두 배, 불안 위험이 78%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매일 12시간 이내에 모든 식사를 다 먹은 사람들은 일찍 먹거나 늦게 먹은 사람들에 비해 불안 위험이 16%, 우울증 위험이 19%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연구팀은 “식사 시간의 변화가 신체의 수면과 각성 주기, 즉 생체 리듬에 영향을 미쳐 신진대사에 변화를 일으켜 궁극적으로 기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른바 ‘설탕세’를 시행한 영국이 국민 공중보건에 상당한 개선 효과를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포브스(Forbes) 등 주요 외신은 영국의 설탕세 도입에 따른 결과를 최근 잇달아 보도했다. 설탕세는 100ml당 5g 이상 설탕이 함유된 음료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지난 2016년 도입돼 2018년부터 시행 중이다.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진행한 이번 연구는 성인 및 어린이 1만56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설탕세가 시행된 지난 2018년 한 해에만 어린이의 일일 당 섭취량이 약 5g 감소했으며, 성인은 약 11g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전체 섭취량의 약 10%에 해당한다. 또한 설탕세 도입이 확정된 지난 2016년부터 2019년간 설탕 함유 음료를 통한 당 섭취량은 성인의 경우 3분의 1, 어린이의 경우 2분의 1로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이 같은 효과로 영국은 충치 등의 발병률을 줄여, 국민 구강건강에 상당한 개선 효과를 얻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세계치과의사연맹(FDI), 아시아‧태평양 치과의사연맹(APDF) 등 국제 치과 연맹 기구는 과도한 설탕 섭취가 구강건강과 전신건강에 미치는 폐해를 지적하고 제한을 촉구해왔다. 이번 연
영국의 무상의료 체계인 국민보건서비스(NHS)가 마비된 가운데 치과 진료 예약을 하지 못한 이들이 집에서 직접 ‘셀프 치료’를 하거나 해외로 ‘원정 치료’를 가는 사례까지 생기고 있다. 지난 2일(현지 시각)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이같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현재 영국 전역에는 1만1000여 개의 치과 진료소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진료소는 보통 정부 지원금을 받는 NHS 진료와 지원금을 받지 않는 개인 진료를 모두 운영하는데, 많은 의사가 정부의 지원금으로는 비용을 충당하기 어렵다며 NHS 진료 대신 비싼 개인 진료를 늘리고 있다. 2022년 BBC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치과 진료소 90%가 신규로 성인 환자의 NHS 진료 예약을 받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때문에 비싼 개인 진료를 받을 여력이 없는 이들은 NHS를 이용한 진료 예약에 실패하고 손수 치아를 뽑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 글로벌 여론조사업체인 유고브(YouGov) 설문에 따르면 집에서 ‘셀프 치과 치료’를 했다고 말한 영국인은 전체의 10%로, 이 중에는 집에서 쓰는 펜치나 초강력 접착제 등으로 직접 치아를 치료하는 사례도 전해졌다. 또 일부는 치과 치료를 받기 위해 우크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