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의 근본은 결국 돈보다 의료의 질, 환자 관리에 있었다. 50~60만 원대 임플란트 등 건강보험 의료수가보다 싼 진료비를 앞세운 치과가 여타 다른 치과에 비해 치료 부작용은 물론, 계약 문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이하 소비자원)은 지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3년간 접수된 치과 임플란트 시술 관련 피해구제 신청 현황을 집계·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3년간 피해 접수된 사건은 총 179건이며, 2021년 41건, 2022년 60건, 2023년 78건으로 해마다 증가했다. 이중 시술 금액대별로는 ▲50만 원 초과 100만 원 이하가 41.9%(75건)로 가장 많았고 ▲100만 원 초과 150만 원 이하 27.4%(49건) ▲50만 원 이하 12.3%(22건) ▲150만 원 초과 2.85%(5건) 순으로, 임플란트 치료비가 낮은 치과들로부터 문제가 다수 발생했다.<표. 임플란트 시술 금액대별 피해 신청 건수 참조> 아울러 임플란트 치료 관련 피해 유형으로는 ‘임플란트 시술 관련 부작용’이 63.7%(114건), ‘계약 관련’이 33.5%(60건) 등으로 다수를 차지했다. 임플란트 시술 부작용 유형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교
‘국민과 함께한 100년, 밝은 미소 100세 까지’. 치협이 새로운 100년도 국민과 함께 한다. 내년 4월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최되는 ‘치협 창립 100주년 기념 국제종합학술대회 및 치과의료기기전시회’의 슬로건과 로고가 확정됐다. 이번 행사는 치협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매우 뜻깊은 행사인 만큼, 전체 치과의사 회원을 대상으로 슬로건 공모전을 진행했다. ‘치협의 지난 100년의 성과와 향후 100년을 향한 비전 제시’를 주제로 ▲100 ▲국민 ▲미래 ▲희망 등 4개 단어 중 2개 단어 이상을 포함토록 한 슬로건 공모전에는 총 814개의 작품이 접수됐으며, 영예의 대상은 박종은 공중보건의가 제출한 ‘국민과 함께한 100년, 밝은 미소 100세 까지’가 선정됐다. 대상에는 상금 200만 원을 수여할 예정이다. 최우수상은 김중민 원장이 제출한 ‘국민과 대한치과의사협회, 함께한 100년 함께할 100년’, 우수상은 최정윤 원장이 제출한 ‘미소짓는 미래 100년, 대한치과의사협회가 함께 합니다’가 선정됐다. 최우수상과 우수상에는 각각 상금 100만 원과 50만 원이 수여된다. 아울러 장려상 200명에게는 커피쿠폰이 지급됐다. 치협의 100주년 기념행사의 로
개원 시 치과 이름을 둘러싼 분쟁이 끊이지 않아 이를 예방하는 데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치과도 이제는 하나의 브랜드로 인정받는 시대. 우리 치과를 홍보하고 이를 환자에게 확실히 인지시키기 위해서는 각자만의 개성과 이름이 있어야 하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개원가에서는 오래전부터 치과 이름을 둘러싼 상표권 분쟁이 끊이지 않았다. 더욱이 최근 저수가로 인해 개원 경쟁이 더욱더 치열해지고, 포털 검색 노출에 공을 들이고 있는 만큼 치과 이름을 둘러싼 분쟁 역시 늘고 있는 모습이다.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병원을 옮겨 재개원한 A 원장은 최근 자신이 본래 사용하던 ‘○○○ 치과’의 이름을 더는 사용하지 말라는 한 통의 내용증명을 받았다. 해당 내용증명은 A 씨가 병원을 옮긴 지역에서 먼저 ‘○○○ 치과’로 치과를 개원해 운영 중인 B 원장이 보낸 것으로 해당 병원명이 상표권 등록이 돼 있어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해당 내용을 접한 A 원장은 “황당했다. 상표권 분쟁이 있다는 이야기는 들어봤지만, 내 이야기가 될 줄은 몰랐다. 기존에 문제없이 사용하던 이름이었는데 뒤통수를 맞은 기분”이라며 “어쩔 수 없이 다른 이름을 찾아보고 있긴 하지만 이름을 빼앗겼
부산대치과병원이 통영적십자병원과 공동 의료봉사로 지역 사회에 온정을 나누고 있다. 부산대치과병원은 지난 6월 29일 통영적십자병원과 함께 욕지 노인회관(통영시 욕지면 소재)에서 의료봉사를 했다. 이번 의료봉사는 부산대치과병원과 통영적십자병원이 체결한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이뤄진 것으로, 이날 오준석 치과의사 등 총 4명이 참여해 지역 주민들에게 스케일링 등 구강검진과 치과 진료를 제공했다. 욕지 노인회관 관계자는 “이번 의료봉사를 통해 지역 특성상 치과에 내원하기 어려운 주민들에게 큰 도움이 됐다”며 매년 의료봉사를 제공해 주는 부산대치과병원에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이하 국시원) 기관학술지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for Health Professions(이하 Jeehp)가 세계적 공신력을 인정받았다. 국시원은 ‘Jeehp’가 Clarivate Analytics가 지난 6월 20일 발표한 2023년도 Journal Impact Factor(JIF)에서 9.3을 기록, 과학 교육 분야 전 세계 SCIE/ESCI 등재지 85종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JIF는 저널 평가지표 중 하나로, 2023년도 JIF는 2021년과 2022년에 게재된 논문이 2023년도에 인용된 평균 횟수를 의미한다. Clarivate Analytics가 분류한 254종 학문 분야 가운데 과학 교육 분야에서 국내 학술지가 1위를 차지한 경우는 올해가 처음이다. Jeehp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국내외 보건의료 교육 및 평가에 관한 연구 결과를 홈페이지(www.jeehp.org)에 수록하고 있으며, 누구나 자유롭게 비영리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국시원이 공모하고, 치협 치과의사국가시험연구소가 주관, 대한치의학회와 한국치과대학·치의학전문대학원협회가 공동 진행한 치과의사 국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보기 가능합니다.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 PDF 첨부파일을 클릭하세요. 이강희 원장 ·연세검단치과 원장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통합진료과 임상교수 ·대한치과의사협회 AGD 지도의 ·대한통합치과학회(KAGD) 이사 ·KAOMI(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이사 ·ICOI(International Congress of Oral Implantologists) korea 이사 ·WAUPS(world Academy of Ultrasonic Piezoelectric bone Surgery) 이사 ·American Academy of implant Dentistry (미국치과임플란트학회) member
■ 2024년 7월 8일 이후 세미나 일정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보기 가능합니다.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 PDF 첨부파일을 클릭하세요.
노인의 입 안에서 잘 기능하는 보철물은 그들의 삶의 질과 관계가 깊다. 적절한 영양공급에 따른 전신건강 유지와 기대수명 증가는 물론 뇌졸중 및 인지 감소 예방에도 관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임플란트 유지와 지지를 받는 보철물은 더더욱 그렇다. 이것이 노인에 대한 임플란트 보험 적용 확대를 요구하는 이유의 하나이다. 문제는 임플란트 보험 적용을 확대할수록 돌봄 노인에서 관리해야 할 임플란트도 증가한다는 점이다. 얼마 전 폐 섬유증을 앓고 있는 70대 여성에서 심한 동요를 보이는 임플란트를 제거하면서 2014년 봄 일본 돌봄 노인에서 폐로 흡인된 임플란트 슬라이드 사진이 기억났다. 국내 돌봄 노인에서도 이런 일들이 조만간 일어나거나 아니면 현재도 일어나고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에 필자는 노인 임플란트 보험 적용을 확대하고자 하는 현 상황에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몇 가지 점을 언급해 보고자 한다. 돌봄 노인 보험 임플란트 점증 세계적으로 유례가 드문 노인 임플란트의 건강보험 적용은 2013년부터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초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요구와 정부의 의지는 물론 치과 임플란트 관행 수가의 붕괴 조짐과 노인의 치과 내원 증가 기대 등
제가 소속된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병원에서는 사회공헌의 일환으로 ‘사회취약계층 아동·청소년 구강건강증진사업’ 이라는 이름의 사업을 매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강릉지역의 지역아동센터 또는 드림스타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아동에게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한 진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2008년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꾸준히 진행되는 동안 여러 지자체의 아동치과주치의사업 또는 건강보험공단의 아동치과주치의 시범사업으로 점차 발전해 나가는 추세입니다. 병원 집행부를 비롯한 여러 구성원께서 믿어주신 덕분에 작년 한 해의 사업은 제가 계획한 방향에 맞추어 사업을 진행해볼 수 있었고, 그 결과 500명 가까운 아동에게 검진 및 예방진료를 기본으로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본격적인 검진에 대비하여 구강보건교육의 내용 등을 체계적으로 개편하고자 노력하였고 실제 검진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원내생들에 의해 교육 내용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고민하였으나,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인솔하에 8~9명씩 진료실을 방문하는 상황, 즉 가정에서 교육 내용을 반복해 줄 보호자가 부재한 상황에서 교육의 큰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현실이었습니다. 따라서 제가 중요시할 수밖에 없던 부분은 보다 물리적 차원
치과 분야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영역 중 하나입니다. 구강스캐너, CAD-CAM 기술, 밀링 머신, 3D 프린터, 페이스 스캔 등 다양한 디지털 장비들이 속속 등장하면서 치과 치료의 폭과 깊이는 놀라울 정도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디지털화는 예측 가능한 진료를 가능하게 하며, 서지컬 가이드를 통해 높은 정확도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환자들은 하루 만에 끝나는 원데이 진료 등의 혜택을 누리고 있습니다. 이렇듯 디지털 기술을 통해 치과 치료는 더욱 다양하고 혁신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치과 기술의 발전 속도는 가히 눈부실 정도입니다. 불과 10여 년 전만 하더라도 구강스캐너는 드물었으나, 오늘날에는 일반 치과에서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구강스캐너 보급률이 45%에 이르렀으며, 이는 빠르고 정확한 성능과 합리적인 가격 덕분입니다. 구강스캐너를 통해 얻는 디지털 데이터는 환자들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며,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우리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습니다. 단순히 구강스캐너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입력 데이터가 디지털화되는 것만이 아닙니다. CAD 기술은 꾸준히 발전해 왔으며,
김동석 원장 ·치의학박사 ·춘천예치과 대표원장 <세상을 읽어주는 의사의 책갈피>, <이짱>, <어린이 이짱>, <치과영어 A to Z>, <치과를 읽다>, <성공병원의 비밀노트> 저자 오늘날 우리는 과시와 자랑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와 디지털 플랫폼은 개인의 성취와 스펙을 자랑하는 무대가 되었으며, 사람들은 끊임없이 자신의 가치를 드러내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도 겸손의 미덕은 여전히 빛을 발합니다. 벼가 익을수록 고개를 숙이는 것처럼, 진정한 지식과 성취를 가진 사람일수록 더욱 겸손해야 한다는 고전적인 지혜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독서의 중요성은 여기서 더욱 부각됩니다.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은 자연스럽게 겸손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책 속에는 우리가 평생 다다를 수 없을 만큼 방대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대가들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들은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통해 독자에게 삶의 다양한 측면을 보여주며, 우리의 시야를 넓혀줍니다. 책을 통해 우리는 자신의 무지를 깨닫고, 더 많은 것을 배우고자 하는 겸손한 자세를 가지게 됩니다. 독서를 통해 우리
공자(BC 551~479)는 노년에 “심하구나, 나의 노쇠함이여! 오래 되었구나 꿈에 주공(周公)을 다시 못 뵌 지”라고 탄식했다. 공자는 당신이 태어나기 900여 년 전 인물인 주공(기원전 1400년경 주나라 건국 시대 인물)을 삶과 학문의 멘토로 삼으셨다. 자기개발서 저자들은 현존하는 인물과 역사적인 인물 중에서 멘토를 골라 인생의 갈림길에서 자문을 구하라고 한다. 1971년 초등학교에 입학하였다. 초·중·고등학교 12년 동안 24권의 국어 교과서를 접했다. 국어 교과서에 나오는 많은 소설 중 내 인생에 영향을 준 소설은 김동인의 ‘무지개’와 다니엘 호손의 ‘큰 바위 얼굴’이다. ‘무지개’에서 지금도 기억나는 장면은 무지개를 찾아 떠난 주인공이 기왓장을 들고 무지개를 찾았다고 즐거워하는 소년을 만나는 장면이다. ‘큰 바위 얼굴’에서 기억나는 장면은 주인공이 살고 있는 골짜기 마을에는 큰 바위 얼굴이 있다. 골짜기 마을에는 마을 출신 큰 바위 얼굴과 닮은 사람이 나타난다는 오랜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평범한 소년은 자라 큰 바위 얼굴로 인정받는 장면이다. 2024년 ‘무지개’와 ‘큰 바위 얼굴’을 50년 만에 다시 읽었다. ‘무지개’의 주인공은 무지개를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