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발간된 치과의사학회 자료는 치과전담부서가 정부 조직 내에서 거의 명맥만 유지된 채 운영되어 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아직도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왜 치과전담부서는 이런 모진 길을 걸을 수밖에 없었을까? 필자는 초창기 치과대학에서 ‘의과 기초와 치과 임상’이라는 다…
우리 치과의사들이 모여서 이야기를 하다보면 하루 종일 좁은 공간에서 나가지도 못하고 갇혀서 반복되는 일상생활이 너무 답답하다고 서로 한탄하는 경우를 많이 접하게 된다. 병원마다 크기는 모두 다르긴 하겠지만 어느 치과라도 야구장 만하게 드넓은 곳은 없을 것이고, 야외의 공기를 마시면서가 아닌 실…
코로나 사태로 집에 박혀있게 되자 휴대폰 보는 시간이 늘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작된 2월에는 분명 책도 읽고 운동도 하겠다고 다짐했는데, 9월이 된 지금 스스로를 돌아보면 휴대폰 사용량만 늘었다. 내 휴대폰 사용량 중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한 것은 SNS이다. 애매하게 짧은 시간을 보낼 때 SNS 보는…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가 속칭 ‘괴질’을 일으킨 후 몇 달 만에 ‘덴탈마스크’를 모르는 사람이 없게 되었다. ‘덴탈마스크’는 코로나 초기의 마스크 품귀사태를 겪으면서 현재에는 국민의 사랑을 한 몸에 받는, 친근하고도 저렴하며 간편한 생활용품으로 자리매김 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이…
감염병의 위협이 날로 극성입니다. 누적된 스트레스가 사회 전반을 물들여가고, 무더위와 습기에 짜증마저 더해갑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서로를 붙잡아 간신히 버틸 수밖에 없습니다. 더 나은 수가 나타날 때까지는 말이지요. 제 경우에는, 4월로부터 한 차례 연기시킨 결혼식을 9월에는 반드시 진행하고자, 예…
지난 6월 말 연세대학교 본과 3학년 학생들의 ‘치과의료변화의 비판적 이해’ 과목에서 한 학생이 이런 글을 썼다. “찬성과 반대가 팽팽한 이슈에 대해서는 국회의원들이 함부로 법을 제정해서 행정부가 일방적으로 밀어붙일 수 없게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표와 지지율을 얻기 위해 보여주기식 의사처벌로…
사상 초유의 코로나 사태에 전 세계가 휩싸이며 민간 차원의 해외 활동이 거의 차단되었다. 해외여행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안타까운 일은 지난 16년 동안 거의 매해 오뉴월이면 어김없이 찾아갔던 키르키즈스탄 방문이 불가능해진 것이다. 2004년 선배 안과의사의 권유로 우연히 키르키즈스…
치과의사의 삶에 만족하며 살고 있다고 하면 많은 분들이 의아해 할 것 같다. 하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치과의사의 위상도 빠르게 달라지는 게 느껴진다. 십 수 년 전쯤 한창 임플란트 시술이 많아지면서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치과의료 서비스가 업그레이드 되어 치과의사의 자부심이 한층 더 고조되었다…
지난 번 시간에는 정리정돈 잘하는 것을 주제로 말씀드렸습니다. 정리정돈이란 어떻게 보면 삶에서 가슴 뛰는 일은 아니지만 세수나 집안 청소 같이 매일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일들에 대한 내용입니다. 직장에서도 매번 가슴 뛰는 일 말고 조직의 필요에 의해서 누군가 해야 하는 일들이 있습니다. 누군가는…
2019년 말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된 COVID-19가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감염상태가 가장 심각한 미국에서 확진자 555만명, 사망자 17만여명이 속출하였고, 우리나라의 경우 누적 확진자 17,002명 사망자 309명이 발표되었다(출처: 2020-08-2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
치과대학 예과 1학년 때이니 지금으로부터 족히 30년은 다 된 옛날 이야기이다. 예과 1학년생으로 처음으로 진료 봉사를 갔다. 가운을 입었으나 아는 것은 하나도 없는 예과생으로 주로 기구소독이나 안내 등 잡다한 일을 할 때인데 본과 선배가 석션통의 피빠케스(그당시엔 그 유리병을 그렇게 불렀다)를 버리…
“저는 제가 배운대로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고, 다른 과에서 실습을 할 때 잘못한다는 평가를 듣지 않았는데, 교수님 과에서 처음으로 지적을 받네요.” “학생 지도교수가 누구세요?”라고 묻자, “OOO교수님이신데요.”라고 대답한다. 이상은 작년에 필자가 근무하는 치과(예방치과)에 학생 실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