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경화’를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초기에 호흡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마거리트 오하라 영국 버밍엄대학 분자물리학연구실(Molecular Physics Group) 박사가 호흡 검사에서 ‘리모넨’(limonene)이 많이 섞여 나오면 간경화 초기 신호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이바이오메디신’(EBioMedicine)에 발표했다고 사이언스데일리가 최근 보도했다. 오하라 박사는 간경화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2단계에 걸쳐, 이들과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호흡 속의 냄새분자의 강도를 측정하는 정밀분석 장치로 호흡샘플을 분석했다. 이 결과 간경화 그룹은 호흡 속의 리모넨 수치가 건강한 사람들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오렌지, 레몬 등 감귤류와 각종 과일에 함유된 자연성분인 리모넨이 호흡에 많이 섞여 있다는 것은, 간경화로 인해 리모넨이 완전히 대사되지 않는다는 증거라는 것이 연구팀 설명이다. 오하라 박사는 “대사되지 않은 리모넨이 간경화 환자의 체지방 속에 저장되어 있다는 증거”라며 “추가 연구를 통해 간경화를 초기 단계에 진단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임신 중 치과치료를 받는 것이 임산부는 물론 태아의 건강에 해롭지 않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특히, 임산부들이 치과치료를 받을 때 흔히 꺼리는 국소마취도 안전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미국치과의사협회지(JADA) 최신호에서는 임신 중 치과치료의 유해성 여부에 대한 이 같은 연구결과를 다뤘다고 메디컬뉴스투데이가 최근 보도했다. 관련 연구에서는 임신 중 국소마취 하 치과치료를 받은 여성들과 대조군을 비교해 여러 부작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관찰했다. 실험결과 임신 중 치과치료를 받은 경우라고 해서 뇌성마비나 구순구개열, 심장기형 아기를 출산할 위험이 더 높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조산이나 유산의 위험도 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이 같은 부작용들은 산모들 사이에서 흔히 치과치료를 받을 경우 위험이 높아진다고 여겨지는 것들로 앞선 다수의 연구에서도 근거가 없다고 밝혀진 바 있다. 오히려 전문가들은 임신 기간 중 임산부가 구강건강을 돌보기 어렵고 충치나 다른 구강질환을 야기할 수 있는 환경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더욱 구강위생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론 하가이 박사는 “임신 중에는 탄수화물 섭취량이 많아지는 반면 구토 증세
옆으로 누워 자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뉴욕 스토니 브루크대학 의과대학 연구팀이 ‘신경과학 저널(Journal of Neuroscience)’ 최신호에 수면자세가 알츠하이머 치매 및 파킨슨병 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뉴스투데이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옆으로 누워서 수면을 취하는 것이 똑바로 자거나 엎드려 자는 것보다 치매를 일으키는 물질로 알려진 베타 아밀로이드, 타우 단백질 같은 뇌의 노폐물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뇌에서는 세포와 조직의 기능을 해칠 수 있는 뇌척수액의 노폐물을 청소하기 위해 간질액(ISF) 교환작용이 일어나는데, 옆으로 누운 자세일 때 이 교환 작용이 가장 효과적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며 “흥미로운 것은 사람이나 동물이나 옆으로 누워 자는 경우가 가장 많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당뇨병 환자가 아침식사를 거르면 오후에 점심과 저녁식사 후 혈당이 급상승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이스라엘 텔아비브대학 연구팀이 의학저널 ‘당뇨병 치료(Diabetes Care)’ 최신호에서 당뇨환자의 식습관이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고 사이언스데일리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이 2형(성인) 당뇨병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식사시간을 조절하며 혈당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아침식사를 한 날은 점심과 저녁 식후혈당이 각각 192mg/dl, 215mg/dl이었는데 반해 아침식사를 거른 날은 각각 268mg/dl, 298mg/dl로 급상승했다.다니엘라 야쿠보비치 박사는 “이 같은 연구결과는 점심과 저녁에 탄수화물과 당분 섭취량을 줄여도 아침식사를 거르면 식후혈당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당뇨병 환자에게는 아침식사가 하루의 혈당을 관리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영국 국민 네 명 중 한 명은 치과의사에게 자신이 매일 치실을 열심히 하고 있다고 거짓말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치실질은 잇솔질로 제거 할 수 없는 깊은 플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해 잇몸 질환은 물론 구강위생으로 촉발될 수 있는 심혈관계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구강위생법이다. 영국구강건강재단(British Dental Health Foundation)이 최근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치과에 내원하는 영국 국민들 중 27% 정도가 치과의사에게 “매일 치실질을 열심히 하고 있다”고 거짓말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메디컬뉴스투데이가 최근 보도했다. 이 중 14%는 치실질을 매일 하는 것보다 화장실 청소를 매일 하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이 설문을 진행한 나이젤 카터 박사는 “우리 중 많은 이가 욕실 캐비닛 안에 치실을 갖고 있지만, 치과의사와의 진료 약속이 있는 경우가 아니면 치실질을 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숨기고 있다”며 “치과에서 정기적으로 치실질을 했을 경우 가져올 수 있는 구강건강 상의 이점을 적극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가장 좋은 구강건강의 출발점은 정직”이라며 “치과의사에게 자신
노년의 외로움과 우울증이 인지기능의 저하 속도를 빠르게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의가 요구된다. 미국 하버드의대 연구진이 1998~2010년 사이에 65세 이상 남녀 8311명을 대상으로 매 2년마다 외로움을 묻는 설문조사와 함께 인지기능 테스트를 시행한 결과, 외로움이 심한 노인은 인지기능 저하의 속도가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현격히 빨랐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진의 낸시 도노번 박사는 “인지기능은 나이가 들면서 점차 떨어지게 마련이지만 외로움이 심한 노인은 인지기능 저하 속도가 외롭지 않게 사는 노인에 비해 20%나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우울증세가 있는 노인도 인지기능 저하의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시작 당시 외롭다고 답한 노인은 전체의 17%였고, 이 중 절반은 우울증세가 있었다. 도노번 박사는 “연구결과는 알츠하이머 치매를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제시하고 있다는 데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전 연구결과들은 외로움이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은 담배를 하루 15개비 피우는 것과 맞먹으며, 운동 안 하는 것보다 나쁘고 비만보다는 두 배나 해롭다고 한다. 영국의 경우 75세
발기부전이 나타나면 당뇨병(2형 성인)을 의심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토론토의대 연구진은 발기부전이 나타나면 진단되지 않은 당뇨병이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가 최근 보도했다.연구진은 미국 20세 남성 4500여 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발기부전과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 전체적으로 발기부전 남성의 미 진단 당뇨병 유병률은 11.5%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성 기능에 이상이 없는 남성은 3%에 그쳤다. 연령이 높을수록 발기부전과 당뇨병 유병률의 상관관계가 커졌다. 40~59세 연령층의 경우, 발기부전 남성의 유병률이 19%인 반면 정상인 남성은 3%로 나타났다. 연구팀의 가정의학과 전문의 숀 스켈던 박사는 “이 결과로 미루어 발기부전을 겪고 있는 남성은 당뇨병 검사를 받아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며 “검사 결과 당뇨병으로 진단돼 치료를 시작하면 발기부전이 나타내는 또 다른 위험신호인 심장병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욕 몬트피오르 메디컬센터의 조얼 존스제인 박사 역시 이 연구결과와 관련해 “발기부전 남성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당뇨병이 상당히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
엄마가 아이에게 입을 맞추거나 숟가락을 공유할 때 상당량의 충치균이 전염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메디컬뉴스투데이는 영국의 HSCIC(Health and Social Care Information Centre)가 발표한 연구결과를 인용하면서, 엄마가 아이에게 입맞춤할 때(38%)와 엄마가 먹던 수저로 아이에게 밥을 먹일 때(14%) 상당한 양의 충치균이 전염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어린아이의 구강건강 관리가 가정에서부터 포괄적으로 시작돼야 하며, 어린이 충치 예방을 위해 엄마가 구강건강 관리를 잘해 구강 내 충치균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앞서 많은 연구에서도 엄마가 충치가 많을수록 아이의 충치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특히 영국에서 지난 2013~14년까지 충치로 병원을 찾은 5~9세 어린이는 2만 6000여 명가량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난 2011년보다 14%가량 증가한 수치이다.이와 관련해 세계보건기구는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어린아이의 충치 예방을 위해 엄마의 구강 박테리아가 아이에게 옮겨지는 것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피오나 영국 치아치료사
실제 나이보다 생물학적으로 빨리 또는 늦게 늙는 사람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관심이 쏠린다.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KCL)과 미국 듀크 대학 연구팀이 공동으로 이 같은 연구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 회보(Proceedings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에 발표했다고 헬스데이뉴스가 보도했다. 연구팀이 남·녀 1000여 명을 대상으로 35년간에 걸쳐 26, 32, 38세 때 18개 항목의 생리학적 기능을 평가해 분석한 결과, 지나치게 빨리 늙거나 좀처럼 늙지 않는 사람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연령(chronological age)이 38세인 경우 생물학적 나이는 30세인 사람이 있는 데 비해 60세 가까운 사람도 있었다는 설명이다.로잔 라이프치히 박사(미국 마운트 시나이 의과대학 완화치료 전문의)는 “이번 연구결과는 노화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사람에 따라 생물학적 노화속도가 빠른 이유를 밝혀낼 수 있다면 노화 관련 질환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나지 않는 소리가 귀에서 계속 들리는 ‘이명’ 치료에 뇌 자기 자극이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로버트 폴머 미국 포틀랜드 재향군인 메디컬센터 박사가 두피를 통해 뇌 조직에 자기 자극을 주는 것이 이명 완화에 큰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사이언스데일리가 보도했다.연구팀이 1년 이상 이명을 겪고 있는 환자 64명 가운데 절반에게만 열흘 동안 자기 자극을 준 결과, 56%가 이명 증상이 완화됐으며 치료가 끝난 후에도 6개월 이상 효과가 유지됐다.이는 같은 치료를 하면서 실제 자기 자극을 주지 않은 다른 그룹 환자들보다 2배 이상 높은 결과이다.자기 자극 치료는 기계를 이용해 두피에 강한 자기장을 흘려보내 특정 뇌 부분을 자극하는 방법이다.연구팀은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한 뒤 이를 바탕으로 자기 자극 치료법을 개선하면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사태로 독감 감염관리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고조된 가운데, 치주질환의 원인이 되는 구강 박테리아가 독감 감염을 야기하고 독감 환자의 증상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일본 니혼대학교 치과대학 연구팀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독감 바이러스는 특정 효소의 도움을 통해 사람의 세포에 침투하고 그 내부에서 증식하는데, 이 과정에 치주질환의 원인균인 ‘진지발리스균’이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감 바이러스에 진지발리스균이 방출하는 효소를 첨가하자 독감 바이러스가 세포에 쉽게 감염된 것이다. 연구팀은 “입 속에서 치주질환의 원인균이 증가하면 독감 바이러스의 세포감염을 조장하고 독감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며 “사람들이 치주질환이 생명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다고 생각해 경시하기 쉽다. 그러나 구강관리를 잘 하면 독감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등 다른 질환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니혼대 연구팀은 앞선 연구에서 구강상태가 청결하지 않으면 타미플루 등 독감치료제가 효과를 보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독감 바이러스가 세포 속에 들어와 증식하고 다른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