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ew York Times>에 오랫동안 연재되고 있는 칼럼으로 “The Ethicist”가 있습니다. 현재 뉴욕대학교 철학과 교수인 윤리학자 콰매 앤터니 애피아가 맡은 이 칼럼은 독자가 보내는 윤리 관련 질문에 윤리학자가 답하는 방식으로 꾸려지고 있습니다. 치의신보에서 매월 1회 의료윤리 주제로 같은 형식 코너를 운영해 치과계 현안에서부터 치과 의료인이 겪는 고민까지 다뤄보려 합니다.<편집자주> 김준혁 치과의사·의료윤리학자 약력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졸, 동병원 소아치과 수련.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윤리 및 건강정책 교실 생명윤리 석사. 연세치대 치의학교육학교실 교수 저서 <누구를 어떻게 살릴 것인가>(2018), 역서 <의료인문학과 의학 교육>(2018) 등. 외국에서 DIY 투명교정 치료, 그러니까 회사가 환자에게 직접 투명교정 장치를 보내주는 서비스가 시작되었다는 것은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국내에도 비슷한 서비스가 나타났다는 소식을 들었어요. 보아하니, 의료법에서 문제 소지가 있다고 하나 비대면 의료가 확대되는 추세에서 의구심이 듭니다. 미국에서 해당 서비스가 자리 잡았다면, 국내에서도 확
저 위에 오르면 무엇이 있을까? 저 위에 앉으면 무엇을 보게 될까? 내 소망과는 다른 것이 펼쳐질지도 모릅니다. 내 의도와는 다른 방향이 보일지도 모릅니다. 옛 시간에 안주하며 변화를 거부하는 몸짓으로는 계속 미끄러지기만 할뿐입니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고 싶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얻고 싶을 때에는 두려움에 앞서, 손익계산에 우선하여, 먼저 [믿음]을 가져야 합니다. ‘저 위에 올라도 나를 잃지 않을까?’ 자기 믿음에 대한 확신이 없으면 오를 수 없습니다. 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보기 가능합니다. 몸에 힘을 빼야 비거리가 늘 듯, 과거와 지금의 나만이 옳다고 주장하는 것은 빼야합니다. 다른 사람을 평가하는 위치에 있거나 뚜렷한 목표가 있는 조직이라면, 나보다 너와 우리를 우선시하는 미덕이 더 높게 인정을 받는다는 것을 이미 경험적으로 알고 있지 않습니까? 나를 높이기 위해 너를 밀어내지 않아도, 우리를 위해 준비된 [같이] 앉을 자리는 이미 충분합니다. 남의 떡이 커 보인다는 속담이 빈말임을 믿습니다. 한진규 치협 공보이사
광복회는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및 그 유족 후손들의 결성 단체로, 대규모 국가보조, 민간 기부 등 사업비가 운영되는 보훈단체이다. 광복 후 오랫동안 국가유공자를 위한 보훈(원호)제도를 마련치 못하다, 5.16 군사혁명(군사정변) 이듬해인 1962년에서야 독립유공자에 대한 훈·포장이 수여되고, 1965년에 생존 독립유공자나 독립유공자 유족·후손이 모여 사단법인 광복회를 결성했다. 그 후 1973년 「원호대상자단체설립에관한법률」에 의해 사단법인 광복회가 법률상 법인으로 간주되며, 정부 지원이 가능해졌고, 현 광복회 설립 근거 법률은 「국가유공자등단체설립에관한법률」이다. 1981년 민족대표 33인 중 최후생존자 이갑성 옹 타계후, 매년 정부 주관 3·1절 기념식에서 기미독립선언서 낭독을 광복회장이 하고 있다. 그 21대 광복회장이 올 2월 16일 이후 공석이다. 좌편향 발언, 친북 반미 노선 등 광복회 전통의 정치중립 위반 논란과 현직 장관에게 독립운동가 최재형상 시상 등 정치활동 논란에 휩싸였던 광복회장이 광복회 사유화 및 횡령 등 비리행위로 사퇴하였기 때문이다. 가장 명예롭고 청렴해야할 광복회장의 극단적 염치없음은 어느새 염치없는 사회가 되어있는 현 대한민국을
새 학년을 앞둔 2월이면, 으레히 2학년 총대? 학생이 찾아와 면담을 요청한다. 새 학기 수업에 필요한 교재와 준비물, 전달 사항을 미리 확인하려는 것이다. 어떤 분들에겐 총대라는 말이 어색하게 들릴 수 있겠다. 필자의 출신 대학에서는 과대(과 대표의 줄임말)라고 했고, 학기별로 선출했으나, 필자가 근무하는 이곳 대학에서는 총대라 부르며, 임기는 해당 학년 전체 기간이다. 총대라는 말이 총 대표의 줄임말로 추측되지만, 개신교 각 교단의 총회의 대의원을 일컬을 때도 사용되는 표현이라고 한다. 올해도 어김없이 2학년 총대가 찾아왔고 1학기 예방치과학 강의 및 실습 수업 계획과 교재 정보를 전달해 주었다. 총대에겐 긴장된 첫 만남이겠지만, 매년 새로운 총대를 만나는 필자에겐 또 다른 인연의 첫 만남인 것이다. 총대를 처음 만나면 항상 묻는 질문이 있다. 왜 총대를 멨는가? 이 말 뜻 그대로, 아무도 나서서 맡기를 꺼리는 공동의 일을 대표로 맡은 이유를 물은 것이다. 필자도 대학생 시절 2학년 1학기 과대를 맡은 적이 있지만, 지금 그 이유를 다시 생각해보면, 할려는 사람이 딱히 없는 그런 분위기 속에서 학창시절 반장 한번 못해본 아쉬움의 발로였다. 이 질문에 총대
60년대에 태어나서 70년대와 80년대에 학창시절을 보내고 90년에 치과대학을 졸업한 후에 서투른 손으로 환자를 보기 시작한지가 벌써 30년이 훌쩍 지난 때를 살고 있다. 매일의 일상이 된 병원 출근과 진료 속에서 지내면서는 내 나이를 실감하지 못하다가 코로나 시국이라 비록 온라인으로 모이긴 하더라도 치과모임에서 이제는 치과계에서 선배님들 보다는 후배님들이 훨씬 많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지금까지 지내오면서 알고 있던 지식들은 이제 세월이 흘러서 구식이 되어버리고, 최신의 지견을 익히려면 몸과 마음이 잘 따라가지를 못하는 것을 체감하면서 한숨을 쉴 때도 있다. 비단 치과적인 것 뿐만 아니라 일상에서도 그러하다. 예를 들면 요즈음 화두인 ‘메타버스’는 ‘가상’, ‘초월’ 등을 뜻하는 영어 단어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의 가상세계를 의미한다고 한다. 메타버스는 가상현실(VR,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최첨단 기술)보다 한 단계 더 진화한 개념으로, 아바타를 활용해 단지 게임이나 가상현실을 즐기는
치과 관련 콘텐츠로 유튜브 영상을 올린 지 벌써 햇수로 5년이 되었다. 유튜브를 시작하고 나서 정말 많은 질문들이 쏟아졌는데, 특히나 인간관계에 대한 질문과 고민 상담이 정말 많다. 아무래도 사회생활에서 가장 힘든 것은 몸이 힘든 것보다 관계가 힘든 것 같다. 나는 천성이 좀 찌질하다. 쉽게 생각이 많아지고 혼자 그 굴레에서 오해하고 상처받으며 벽을 치는 스타일이다. 그렇게 된 데에는 보통 내가 눈치로 느껴지는 분위기들이 대부분 파고 들어보면 맞아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어느 순간부터는 ‘촉’이라는 것이 오면 ‘확신’으로 바뀌면서 상처받기 때문인 것 같다. 그래서 더욱 더 눈치 없는 척을 하고 상대가 나에게 직접적으로 말을 하지 않는 한 내 느낌을, 내 촉을 모른 체 하는 편이다. 그게 확실해지는 순간 ‘아… 역시. 아… 결국….’ 혼자 무너지기 때문에 들어도 못 들은 척, 봐도 못 본 척, 알아도 모르는 척을 많이 한다. 사람을 대함에 있어 방어적이다 보니, 이로 인해 상대방을 상처 준 적도 있는데, 내가 3년차 때의 일이었다. 그때 갓 들어온 1년차 후배가 참 예쁘고 애교도 많고 일도 잘하는 친구가 있었는데, 나는 그간 내가 관계에 대해 먼저 다가가는 편
■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 PDF 첨부파일 클릭하세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보기 가능합니다. 이용권 원장 ·청주서울좋은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instagram@omfs.lee e-mail : denlyk@naver.com
얼마 전부터 콜라를 마신다면 거의 대부분 제로콜라를 집게 된다. 설탕이 들어 있지 않고 칼로리가 없어 몸에 좋지 않을까 하는 뇌피셜 때문이다. 이처럼 최근 칼로리가 낮은 음료들을 쉽게 접할 수 있는데 어떤 성분으로 만들어진 음료일까? 각 제로 음료에 들어 있는 설탕대제제는 아래와 같다. 제로콜라, 나랑드사이다 제로콜라 -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룸 펩시제로라임 -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 나랑드 사이다 -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 칠성사이다 제로 - 알룰로스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 스프라이트 제로 - 에리스리톨,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 스테비올배당체 부르르제로사이다 - 에리스리톨,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 현재 미국식품의약국(FDA)에서 허가한 설탕대체제의 합성 감미료는 사카린,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 네오탐, 어드밴탐등이 있고 대부분 혈당을 높이지 않고 칼로리가 없다는 음료나 식품에 사용되고 있다. 그럼 이런 인공감미료는 어떻게 만들고 어떤 효과가 있을까? 1) 사카린(saccharin) 사카린은 톨루엔을 원료로 하는 인공감미료의 대표적인 화합물로 설탕보다 300~400배 더 단맛을 내지만 열량이 없으며 과거 1970년대 잘못된 발
대한치과의사협회 자재·표준위원회에서는 국제표준화기구 치과기술위원회(ISO/TC 106)에서 심의가 끝나 최근 발행된 치과 표준을 소개하는 기획연재를 2014년 2월부터 매달 게재하고 있습니다. 환자 진료와 치과산업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치의학 분야의 국제표준을 관장하는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치과의료기기 전문위원회(Technical Committee 106) 중에서 구강관리용품(Oral care products) 세부분과에는 총 10개의 작업반(Working group, WG)이 존재한다. 크게 수동칫솔(WG 1), 전동칫솔(WG 2), 구강양치액(WG 3), 치약(WG 4), 치간칫솔(WG 5), 치실(WG 6), 치아미백제(WG 7), 불소바니시(WG 8), 의치 부착재(WG 9), 구강관리용품 분석법(WG 10) 등의 WG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호에서는 치과 전문가용이 아닌 일반인들 중 가철성 의치 착용자들이 사용하는 의치 부착재(denture adhesives)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의치 부착재의 국제표준은 ‘ISO 10873:2021, Dentistry-Denture adhesives’로서 2010년 첫 번째 판이 발행되었으며,
피사체는 흔들려도(‘모션 블러’라고 함) 그것을 촬영하는 카메라 유저는 흔들림(‘핸드 블러’라고 함)이 없어야 합니다. 그래서 좋은 카메라와 더불어 튼튼한 삼각대가 필요합니다. 튼튼한 삼각대는 바람이나 걸림에 쉽게 넘어지지 않아서 비싼 카메라를 보호해주는 역할도 합니다. 그런데 삼각대를 쓰기가 힘든 경우가 의외로 많습니다. 일행이 있는 여행 중에 좋은 사진 찍겠다고 삼각대를 펴고 장비를 세팅하고 있으면, 촉박한 일정에 민폐가 됩니다. 오늘 사진의 ‘박각시’ 같이 빠른 움직임의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할 때, 혹은 근접하여 접사 사진을 촬영하고자 할 때에는 삼각대가 오히려 거추장스럽기만 하고, 결정적인 순간을 놓치는 경우도 생깁니다. 삼각대가 없다면, 핸드 블러가 생기지 않을 만큼의 충분한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데, 손떨림 보정과 트래킹 기능이 훌륭한 카메라 바디, 구경이 커서 빠른 셔터스피드가 가능한 렌즈, 혹은 밝고 정확한 스트로보 등 장비입니다. 물론 더 중요한 요소는 그 장비를 가지고 흔들림 없이 촬영할 수 있는 강인한 팔과 피사체에서 초점을 놓치지 않고 유지하려는 고도의 집중력일 것입니다. 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보기 가능합니다. 흔들리지 말아야할 것
만일 누군가에게 갑상샘 암, 간 경화, 당뇨병, 무치악 중 한 가지가 생길 수밖에 없지만 이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는 있다면 무엇이 생기는 것이 그나마 나을까? 질병부담(burden of disease)은 질병으로 인해 초래되는 삶의 다양한 어려움 즉 부담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환자가 질병으로 사망하거나 장애 또는 후유증으로 얼마나 부담을 갖게 되는지를 계량화한다. 이렇게 계량화된 질병부담은 서로 다른 인구 집단의 건강수준을 비교하고, 특정 인구 집단에서의 건강수준의 변화를 감시하며, 건강 불평등 수준을 파악하고, 질병부담의 위험요인의 기여도를 확인하며, 의료 서비스 공급과 연구에 있어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인구 집단에서 질병부담을 측정하여 이를 지표로 삼는다면, 보건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보건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의 성과를 평가할 때 매우 유용할 것이다. 전통적으로 인구 집단에서 건강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지표로는 유병률(prevalence), 발생률(incidence), 사망률(mortality)이 있다. 그런데 유병률이나 발생률의 경우 비치명적(non-fatal)인 질병의 질병부담을 과소평가할 수 있고, 사망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