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주 부산대치과병원 교수(치주과)가 지난 7월 11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주관 ‘제34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은 창의적인 연구 활동을 통해 우수 논문을 발표한 연구자를 선정, 시상하는 상이다. 과학기술자의 연구 의욕과 사기를 진작시키고 국내 과학기술 수준 향상과 선진화에 기여하고 있다. 김현주 교수는 ‘건강 및 질병 상태의 치주 조직에 대비한 임플란트 주위염의 차별적 미생물총 분석: 16S rRNA 시퀀싱 활용’을 주제로 보건 분야에서 우수논문으로 선정됐다.
서울대치과병원이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을 위한 구강건강 버팀목 역할을 지속하고 있다. 서울대치과병원이 지난 6월 26일 경기도 성남시 황송노인종합복지관을 찾아 ‘독거노인을 위한 찾아가는 치과서비스’를 진행했다. 서울대치과병원은 지난 5월 30일 서울 영등포노인종합복지관에서 30여 명에게 치과 진료를 제공한 데 이어 올해 두 번째 활동을 이어갔다. 2017년 처음 시작된 ‘독거노인을 위한 찾아가는 치과서비스’는 서울대치과병원, 미래에셋생명, 보건복지부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가 주최한다. 서울대치과병원에서는 봉사단장인 서덕규 교수(치과보존과)를 필두로 전공의,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 교직원 등 22명이 참여해 총 43명에게 치과 진료를 제공했다. 봉사단은 이동진료버스를 비롯한 각종 치과 진료 장비를 준비해 구강검진, 충치 치료, 발치, 스케일링 등을 제공했다. 또 치주과, 치과보철과, 치과교정과, 치과보존과 등 여러 진료과로 구성된 의료진이 힘을 보탰다. 서 교수는 복지관을 찾은 이들을 대상으로 시린치아와 충치, 치주염에 도움이 되는 올바른 칫솔질 방법을 설명하는 등 맞춤형 구강보건교육을 제공했다. 의료진은 틀니, 임플란트 수술 등 심화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을 향후
주상돈 원장(대구예스타치과의원)이 대한민국 미술대전에서 3년 연속 특선을 받아 주목된다. (사)한국미술협회가 주최하고 대한민국 미술대전 구상 부문 운영위원회가 주관하는 ‘제43회 대한민국 미술대전-구상 부문’ 심사 결과가 지난 11일 공지됐다. 주상돈 원장은 이번 공모에서 서양화 ‘자강불식(自强不息)’을 출품, 특선을 받는 영광을 누리게 됐다. 특히 올해로 3년 연속 특선을 받은 주 원장은 지난 41회 공모에서 ‘디지털노마드(Digital Nomad)’라는 작품으로 특선을 받은 바 있으며 지난 42회 공모에서도 ‘혼돈 속의 질서’라는 작품으로 특선을 받았다. 이번 공모 전체 출품 수는 845점이었으며 수상작은 대상 1점, 최우수상 2점, 우수상 9점, 서울특별시장상 1점, 서울시의회의장상 3점, 평론가상 6점, 특선 114점, 입선 182점 등 총 318점이다. 주상돈 원장은 “모든 일에서 잘하는 이유는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자강불식(自强不息)의 정신으로 패기 있게 최선을 다한다면 더 큰 결실을 볼 수 있다. 이는 치과 진료에서도 마찬가지라 생각하며, 이러한 정신이 깃들어 있는 진료실을 담아보려고 노력했다”고 밝혔다.
일산 사과나무치과병원이 전문가 입속세균관리 교육을 통한 치과위생사 양성에 나섰다. 병원은 지난 6월 15일 서영대학교 치위생과와 함께 전공 심화 과정을 마무리했다. ‘입속세균 리모델링’을 주제로 한 이번 과정에서는 기존 치위생학 과정과 차별화된 내용으로 구성됐다. ‘계속구강건강관리’라는 교과목은 예방 트렌드를 반영한 오랄마이크로바이옴 검사 기반으로 운영됐으며, 이를 통해 환자의 구강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구강 건강 증진·관리법을 교육할 수 있도록 실무능력을 배양하는 교육과정으로 구성됐다. 특히 사과나무치과병원의 오랄바이옴임플란트케어센터(OBCC)와 함께해 교육과정의 전문성을 더욱 높였다는 평이다. 과정은 ‘전문가 입속세균관리와 입속세균리모델링 및 치과위생사의 역할과 비전’을 시작으로, 김혜성 사과나무치과병원 이사장의 ‘혀와 입술, 치아, 침, 치석’, 박진아 센터장의 ‘구강유해균 검사 결과로 보는 관리 방안 모색’, 황윤정 치위생사의 ‘최신 구강세균검사를 적용한 입속세균관리’ 내용과 더불어 최은미 사과나무의생명연구소 박사의 ‘치주치료와 구강위생관리’, 조무열 팀장의 ‘교정환자 입속세균상담과 관리’라는 내용으로 진행됐다. 또 박도영 닥스메디오랄바이옴 차장의
우리나라 인구가 이미 하락세에 들어섰지만 활동치과의사 수는 지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4년간 인구 41만여 명이 줄었지만, 활동치과의사 수는 오히려 1500명 늘어난 것이다. 그뿐 아니라 활동치과의사의 대부분이 대도시에 몰려있어 개원가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치협 치과의료정책연구원(전지은·임유빈 연구원)이 2012~2022년의 국내 활동치과의사 인력 분포를 우리나라 인구와 비교하고, 지역별 치과의사 현황을 살펴본 결과를 발표했다. 활동치과의사는 면허 취득자 중 현재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의사를 의미한다.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의료인력현황과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현황 데이터를 토대로 삼았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인구는 2012~2019년 5094만8272명에서 5184만9861명으로 연평균 증감률 0.25%를 기록하며 증가했으나, 이후 감소세로 전환되며 2022년 5143만9038명을 기록했다. 반면, 활동치과의사 수는 2012~2022년 2만1888명에서 2만7987명으로 연평균 증감률 2.49%를 기록하며 지속 증가하고 있다. 즉, 우리나라 인구가 내리막길로 들어선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인구 41만
“우리나라 치과위생사 중에 훌륭하신 분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많은 치과위생사가 ‘나도 받을 수 있어!’라는 마음으로 상에 도전했으면 좋겠어요. 감사합니다!” 이주화 치과위생사(연세미래엔미소치과병원)가 지난 7월 11일부터 13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린 ‘International Symposium on Dental Hygiene 2024(이하 ISDH 2024)’에서 세계치과위생사상을 수상하며 우리나라 치과위생사의 국제적 위상을 드높였다. 우리나라 치과위생사가 이 상을 수상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그 의미가 더욱 크다. 세계치과위생사연맹(IFDH)과 SUNSTAR 재단은 지난 2007년부터 치위생학, 지역사회 및 일반 대중에게 상당한 공헌을 한 치과위생사를 표창하기 위해 공동으로 세계치과위생사상을 수여해왔다. 올해 ISDH 2024에서 개최된 제6회 세계치과위생사상에서는 공중보건 부문, 임상 부문, 교육자 부문, 기업가 부문, 신인 치과위생사 부문, 연구 부문 등 총 6개 부문에서 각 1명의 수상자를 선정했다. 이주화 치과위생사는 이 중 기업가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이 치과위생사는 현재 연세미래엔미소치과병원에서 임상 치과위생사로 근무하면서, 동시에 ‘홉HOH
- 공시송달 공고 - 윤리위원회 지부 징계 청구 귀하의 소재불명으로 아래에 적은 문서를 귀하에게 송달할 수 없으므로, 문서의 송달을 받을 자의 소재를 알 수 없거나 문서를 송달할 수 없을 때에는 공시송달의 방법으로 송달하도록 규정한 윤리위원회 규칙 제25조 제2항 및 제3항에 의거하여 아래와 같이 공시하여 송달합니다. 성명: 차선주 귀하 송달할 문서의 표시: 윤리위원회 지부 징계 청구 사실 통지서 1부 공시송달문서는 귀하가 대한치과의사협회(Tel. 2024-9130)에서 언제든지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2024. 7. 15. 대한치과의사협회 윤리위원장
■ 2024년 7월 22일 이후 세미나 일정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보기 가능합니다.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 PDF 첨부파일을 클릭하세요.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보기 가능합니다.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 PDF 첨부파일을 클릭하세요. 이강희 원장 ·연세검단치과 원장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통합진료과 임상교수 ·대한치과의사협회 AGD 지도의 ·대한통합치과학회(KAGD) 이사 ·KAOMI(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이사 ·ICOI(International Congress of Oral Implantologists) korea 이사 ·WAUPS(world Academy of Ultrasonic Piezoelectric bone Surgery) 이사 ·American Academy of implant Dentistry (미국치과임플란트학회) member
이반의 아버지와 가브리엘의 아버지는 사이좋게 이웃하여 평생을 살았다. 두 집안 식구들도 서로 도와가며 농사를 짓고 넉넉하게 살림을 유지하였다. 이반의 아버지가 나이가 들어 병든 지 몇 해가 지난 어느 날, 이반의 암탉이 가브리엘 집으로 가서 알을 낳았다. 이반의 며느리가 가브리엘의 집에 가서 자초지종을 말하다가 가브리엘의 아내와 우연히 말다툼을 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 험한 이야기가 오가면서 시어머니인 이반의 아내가 와서 합세하고 급기야 두 집안의 가장인 이반과 가브리엘까지 뒤엉켜 걷잡을 수 없는 싸움이 벌어지게 되었다. 그 이후 온갖 사소한 일에도 두 집안은 참지 못하고 7년 동안 다투게 된다. 양 집안이 법원에 앞다투어 고발을 하는 와중에 드디어 가브리엘이 법원에서 태형을 당하는 결정이 내려지게 되었다. 이에 판사는 직권으로 형의 집행을 중지하고, 마지막으로 두 집안이 더 이상 다투지 말고 화해할 것을 권유하였다. 하지만 그날 저녁, 가브리엘은 분노하여 이반의 집에 불을 지르려 하였고 이것을 이반이 직접 목격하였다. 불을 빨리 꺼야 한다는 생각보다도 가브리엘을 잡아야 한다는 생각에, 불지르고 도망가는 가브리엘을 쫓아가다가 가브리엘에게 맞아서 기절하게 된다
저는 작년부터 회무를 시작한 초보 이사입니다. 협회에 들어가 보니 보조인력 구인난, 불법 광고 및 덤핑 치과 문제와 함께 ‘협회 미가입 회원 및 회비 장기 미납 회원 문제’ 역시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2022년 겨울, 인천광역시 치과의사회 회장으로 선출된 강정호 당선자는 임원진 구성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과거에는 각 동창회에서 유능한 인재를 서로 추천해 주었지만, 최근에는 동창회도 신입회원이 거의 없고 활력이 많이 떨어져 임원 후보를 추천받기 어려웠다고 합니다. 강정호 인치 회장은 인구절벽 이슈처럼 협회의 생존을 위해서는 신규 회원 가입이 절실하다고 생각해 이를 위한 TF를 만들었고 저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TF가 처음 부딪힌 문제는 인천 지역 미가입 치과 현황 파악조차 안 되어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기존에는 회원이 협회에 연락해 올 때까지 수동적으로 기다렸기 때문입니다. 이에 TF는 심평원의 ‘병원 약국 종류별 찾기’ 서비스를 활용해 인천 각 구별 치과 리스트를 다운로드하고, 협회 보유 회원 데이터와 비교하여 미가입 치과를 확인했습니다. 놀랍게도 인천 지역 전체 치과 중 협회에 가입한 곳은 약 65%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치과의사
얼마 전, 교수님께 영광스러운 발표 자리를 하나 제의받았다. 바로 치의학교육학 학회에서 학생을 대표로 발표해달라는 것이었다. 이때까지 대단한 발표라곤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으며, 모범이 될정도로 바른 생활을 해왔다고 당당히 말하기엔 부끄러운 내가 교수님들 앞에서, 그것도 “학생”을 대표로 서야한다니. 부담은커녕 이 기회 아니면 평생 있을까 싶어서 단숨에 하겠다고 말씀드리고는 시간이 지나고서야 부담이 몰려왔다. 다행히 발표는 큰 탈 없이 마무리했고 걱정한 바와 다르게 교수님들께서 귀엽게 봐주신 듯하다. “치의학을 공부하는 학생으로서의 정체성”을 주제로 발표했던 그때의 발표문을 부끄럽지만 여기에 공유해보려 한다. ***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본과 4학년에 재학 중인 최예슬이라고 합니다. 발표에 앞서 다른 훌륭한 학생들을 대표하여 이 자리에서 발표할 수 있음이 정말 영광입니다. 처음 교수님께 발표 제안을 받았을 때, 영광스러운 자리라고 생각하여 기쁜 마음에 기꺼이 하겠다고 말씀드렸는데 시간이 지난 후에 아직 한참 부족한 제가 과연 학생들을 대표해서 “치과의사, 치과대 학생의 정체성”을 주제로 감히 말을 할 수 있을까 걱정이 들어 함부로 원고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