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미니스크류의 임상 적용 비법을 배울 수 있는 특별한 세미나가 열린다. 오라픽스 시스템은 2022 오라픽스 세미나 ‘신개념 Bio-Action 스크류의 모든 것’을 오는 7월 16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세미나에는 박기호 교수(경희치대 치과교정학교실)가 나선다. 박 교수는 ▲Bio-Action 스크류의 디자인과 특징 ▲Bio-Action 스크류의 최신 임상 적용의 2개 강연을 통해 Bio-Action 스크류의 모든 것을 심도 있게 다룰 것으로 기대된다. Bio-Action 스크류는 식립 용이성과 초기 안정성 외에도 헤드 홀을 통한 고무줄, 와이어 사용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 둥근 형태의 헤드 디자인으로 환자의 혀나 볼에 닿는 이물감과 자극을 줄인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오라픽스 시스템은 “20여 년 전 국내 교정학계에서 최초 시작된 미니스크류는..
미니튜브 교정장치의 효율적 사용과 임상 노하우를 모두 얻을 수 있는 연수회가 열린다. MTA포럼은 ‘최신 MTA 교정 연수회’를 오는 7월 16~17일, 23~24일 오스템 마곡사옥 세미나실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연수회에는 미니튜브 교정의 권위자인 황현식 교수가 나선다. 황 교수는 이번 연수회에서 ▲MTA 기본 술식 및 최신 테크닉 그리고 임상 노하우 ▲기본 기구 및 재료, 나아가 최근 개발된 재료 기구의 용도 사용법 ▲소아교정에 적절한 MTA 재료 및 임상 프로토콜 ▲중장년성인교정에 특화된 재료 및 진료 프로토콜 ▲Sixweek Smile을 위한 진료 재료 및 프로토콜 등에 관한 습득을 돕고 진료 노하우를 전할 것으로 많은 기대를 모은다. 아울러 이번 연수회 등록자에게는 재료와 indirect bonding with wire 기공 등 특전이 제공된다. MTA..
대구 지역 의료계 축제 한 마당, 그 중심에 치과의사가 우뚝 섰다. 대구지부(회장 이기호)가 ‘2022 대구치과종합학술대회 및 기자재 전시회(이하 DIDEX 2022)’를 지난 7월 1~3일 대구 엑스코에서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DIDEX 2022는 대구 지역 보건·의료 분야 최대 전시회인 ‘메디엑스포 코리아 2022’와 동시에 열려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했고, 대구지부는 의료인 단체 중에서는 유일하게 메디엑스포 주관 단체로 참여하는 등 주도적 역할을 해 눈길을 끌었다. 올해로 7회째를 맞이한 이번 행사는 치과의사 참석 인원 660명을 포함해, 전세업체·치과위생사·일반시민 등 4660명이 참여해 역대급 규모로 치러졌다. 학술대회에서는 22개 세션이 준비돼 저명 연자들을 초청, 최신 치의학 임상과 지견을 교류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내용적인 면에서는 약물 관..
오스템임플란트(대표이사 엄태관)가 총 24회 일정의 서울 MASTER COURSE를 통해 최적의 임플란트 식립 노하우를 공유한다. 오는 7월 23일부터 내년 7월 23일까지 진행될 이번 코스는 이선규 원장(연세위드치과의원)과 정현준 원장(연세힐치과의원), 주현철 원장(서울에스치과의원)이 각각 BASIC, SURGERY, PROSTHODONTICS 과정을 맡았다. 먼저 7월 23일부터 진행되는 이선규 원장의 BASIC MASTER COURSE에서는 ▲Introduction Overview of Implant ▲Diagnosis, TX, Planning ▲Surgical Procedure ▲Implant Prosthodontics ▲라이브 서저리 등으로 커리큘럼을 구성해 임플란트 수술과 보철 기초 과정에 대해 심도 있는 강의를 들려줄 예정이다. 특히 엔진과 수술 키트에 대한 이해부터 임플란..
발치즉시 임플란트의 이론 및 실제와 상악동 최신지견 강의를 들을 기회가 마련됐다. 천형수 원장(죽전 미소지음치과의원)이 진행하는 ‘제46차 발치즉시 임플란트의 이론과 실제’ 세미나가 오는 7월 24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용인시 수지구에 있는 미소지음치과의원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 세미나에서는 발치즉시가 대세인 이유부터, 각종 임상 노하우와 테크닉이 강의될 예정이다. 임상적 측면에서 치근단병소나 치주질환병소 가능 여부, 보존술 필요 여부, 플랩 개폐 기준 등 실전에서 고민하게 되는 다양한 이슈를 다룬다. 테크닉 측면에서는 초기고정 획득에 필요한 방법부터 각종 실패사례들까지 두루 살펴볼 수 있다. 더불어 천형수 원장은 진행하는 오는 7월 31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미소지음치과의원에서 ‘제72차 크레스탈 어프로치 최신..
대한양악수술학회(회장 백운봉·이하 양악수술학회) 대구경북지부(지부장 권대근) 학술집담회가 지난 6월 25일 경북치대 강당에서 ‘Orthodontic intrusion Vs. Surgical correction’이란 대주제 아래 개최됐다. 양악수술학회 산하 5개 지부 중 최초로 대구경북지부에서 준비한 이번 학술행사는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진행돼, 현장의 생동감을 살리면서도 전국 어디에서나 온라인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120여 명이 등록해 성황을 이뤘으며, 다시보기(VOD) 프로그램도 추가로 제공됐다. Michael David Han(한동희) 교수(University of Illinois Chicago 치대 구강악안면외과)를 필두로 경북치대의 홍미희 교수(치과교정과), 박효상 교수(치과교정과), 권대근 교수(구강악안면외과), 이근호 원장(리즈치..
대한치과기공사협회(회장 주희중·이하 치기협)가 주최하는 치과기공계 최대 규모 행사 ‘KDTEX 2022’가 눈앞으로 다가왔다. 치기협은 오는 22일부터 24일까지 3일간 수원시 영통구 소재 수원컨벤션센터에서 ‘KDTEX 2022’를 개최한다. 행사는 학술대회와 기자재전시가 병행된다. 학술대회는 치기협 주관으로 열리고, 기자재전시는 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회장 임훈택·이하 치산협) 주관으로 진행된다. 각 협회 회원과 행사 방문자에게 더욱 보탬이 되기 위해 각자 잘 하는 일에 집중해 시너지를 내자는 목적에서 의기투합했다는 설명이다. 학술대회는 ‘이제 새로운 시작(Now New Beginning)’을 슬로건으로 한다. 약 20여 명의 유명 연자들이 참석해 각종 치과기공술과 최신 재료 동향 등을 소개한다. 치과의사 중에는 박지만 교수(서울..
성공적인 디지털 치과 진료 팁을 배울 수 있는 강연이 펼쳐진다. ㈜디오(대표이사 김진백·이하 디오)는 오는 7월 16일과 23일, 각각 수원 코트야트 메리어트와 서울 코엑스에서 ‘DIO Digital Seminar 2022’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세미나에는 최병호 명예교수(연세대 원주의대), 강재석 원장(목포예닮치과병원), 정유석 원장(서울프라임치과의원) 등 디지털 진료 경험이 풍부한 연자들이 강연을 펼칠 예정이다. 회사 측은 해당 세미나를 통해 진료 전 과정에 디지털을 접목한 디오의 디지털 솔루션에 대해 집중 조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효율적인 디지털 진료 시스템 도입 전략,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통한 완전 무치악 재건술, UV 시스템을 이용한 임플란트 실패 대처법 등도 제공한다. 아울러 세미나 사전 접수는 선착순으로 진행되며 디오나비 홈..
치과 개원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급 상황에 대한 금쪽같은 노하우가 온·오프라인으로 공유됐다. ‘2022년 국제치과문화교류협회 온·오프라인 학술 세미나’가 150여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여한 가운데 지난 2일 오후 2시부터 오스템 마곡 본사 대강당에서 열렸다. ‘치과진료 중 응급환자 발생 시 대처하는 방법’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세미나는 초대회장인 이건주 원장과 2대 회장인 정 훈 원장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응급의학과, 구강악안면외과, 마취과 등 4명의 전문가들이 연자로 참여해 응급환자 처치에 대한 노하우를 전달했다. 특히 현장 강연과 동시에 덴올 플랫폼을 통해서도 송출돼 온라인 참여자들이 실시간으로 강연을 들을 수 있었다. 강연에서는 먼저 김수현 교수(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응급의학과)가 ‘원장님! 머리를 누가 망치로..
다양한 전신질환을 가진 노인들에 대한 치과 진료 시 고려사항과 함께 요양시설에서의 치과의사의 역할까지 고민해 본 자리가 열렸다. 대한노년치의학회(회장 고홍섭·이하 대노치)가 진행한 2022 14기 1차 시니어구강관리전문가과정이 지난 6월 22일부터 28일까지 7일간 오스템 ‘덴올’을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마지막 학술행사인 이번 과정에는 신규 등록 및 재등록을 포함 총 371명의 치과의사가 참여했으며, 총 4명의 치과의사들이 새로 시니어구강관리전문가 인증을 취득했다. 이번 과정에서는 전신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들의 특징을 고려해 치과 치료 시 고려해야 하는 진통제 및 항생제의 선택, 그리고 골다공증 약물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을 다뤘다. 또 노인 환자를 진료할 때 흔히 마주하게 되는 석회화된 근관의 치료, 그리고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