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덴티스트리(대표이사 이정현)가 ‘2022 아름덴티스트리 유저 세미나’를 지난 6월 25일, 본사 사옥 1층 오디토리움에서 개최했다. 오후 2시 30분부터 5시간가량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총 90명의 유저들이 참석했다. 행사에는 김근형 팀장(부산 디지털아트치과)이 ‘All ON x Design’란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김 팀장은 본인이 직접 사용 중인 밀링머신 5x500을 활용해 제작한 작품과 장비의 가공정밀도에 대한 우수성, 가공 노하우를 전달하는 등 참석자들의 만족도를 높였다. 업체 측은 향후 분기별 1회 이상의 세미나를 통해 유저들과 만날 수 있는 시간을 더욱 자주 가질 예정이다. 이정현 대표(아름덴티스트리 대표이사)는 “신사옥 준공으로 인해 공간적 제약이 사라진 만큼 사업 투자를 할 계획이며 단편적인 아이템을 파는 회사가 아닌, 명실상부..
(사)한국치과교정연구회(회장 김낙현·이하 KORI)의 전국 각 지부 인스트럭터들이 향후 연구회의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제15회 KORI 인스트럭터 워크숍’이 지난 6월 25일과 26일 양일간 대구 팔공산 맥섬석 유스호스텔에서 열렸다. KORI 인스트럭터 워크숍은 7개 지부의 인스트럭터들이 함께 모여 교육자로서 전문적인 성장을 꾀하고, 상호간 새로운 지식을 교환하는 행사로, 매년 여름에 열려왔는데 지난 2년 동안 불가피하게 미뤄오던 중 코로나19의 유행이 소강을 보이는 시기를 맞아 무사히 진행됐다. 26일 시작된 공식 행사는 예년과 달리 인스트럭터를 위한 전문교육보다는 KORI가 안고 있는 현안과 해결방법을 논의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특히 신입회원에 대한 교과과정을 개편해 클리닉을 운영하는 회원들이 강의와 실습에서 배운 내용을 임상에서..
치과 성공 경영 노하우를 담아낸 강연이 성공적으로 끝났다. 덴탈브레인이 ‘치과의사와 실장을 위한 개원 스쿨 1기’를 마무리했다. 지난 6월 12일부터 7월 3일까지 진행된 이번 과정에서는 김민정 대표(브레인스펙)가 직접 연자로 나서 치과의사와 스탭이 함께 총 21시간 동안 병원 경영을 진단하고, 성공적인 병원 경영 전략을 세우는 핵심 경영 비법을 공개했다. 이번 과정을 신청한 수강생들은 직원들의 효율적인 업무 분장 방법이나 현재 주어진 환경 속에서 접목할 수 있는 경영 개선 방법, 연차별 직원 교육 방법, 업무 스트레스 등 다양한 치과 경영 고민들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김민정 대표는 수강생들과 같이 각자 병원의 SWOT 분석을 통해 병원 조직과 경영 시스템을 보완하고, 성공적인 병원 경영계획을 위한 업무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구축해 치과의 조..
치과기공에 있어 ‘건강하고 아름다운 입매’란 소망을 실현시켜 줄 신서가 나왔다. Tsuzuki Yuji 저술한 ‘Dental Esthetic Concept(심미 치과 개념)-치과기공사와 함께 만드는 전치부 심미 수복’을 대한나래출판사가 최근 펴냈다. 이 책은 치관과 치은 심미 획득을 위해 지금까지 임상기공을 지탱해 온 심미 수복 치료에 꼭 필요한 콘셉트와 그 기술적 본질을 정리한 책이다. 필자 Tsuzuki Yuzi는 심미 치료를 위한 진단, 심미 수복 재료의 선택 기준, 보철물의 생물학적 조화를 위한 형태의 설정 등 심미 수복 치료에 필요한 개념을 정리하고 기술적인 해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특히 자연치 형태와 바이오타입, 자연치의 광학적 특성과 수복물의 관계에 관해 필자가 직접 실험하고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설명하는 부분이 매우 흥미롭다. 필..
“디지털 덴티스트리를 비롯한 최신 임상 지식과 감염관리와 위생, 건강보험 노하우, 법률 등 다채롭고 질 높은 강연들을 준비했습니다.” 대한치과위생사협회(회장 황윤숙·이하 치위협)는 지난 2일과 3일 양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치위협 창립 제45주년 기념 제44회 종합학술대회 및 제21회 치과위생사의 날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개최된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16가지 강의가 마련돼 치위생학 분야 최신 지견을 다뤘다. 치위협은 먼저 지난 2일 개회식을 열고 각 단체의 축사와 수상식을 가졌다. 이날 박태근 협회장을 포함해 황윤숙 회장, 임훈택 한국치과의료기기산업협회 회장, 장인호 대한의료기사단체총연합회 회장 등 내외빈이 참석했다. 이날 수상식에서는 노희진 교수(연세대학교)가 ‘2022년 학술대상’의 영예를 안게 됐다. 노..
■ 연송치의학상 대상 김희진 교수 인터뷰 대한치의학회(회장 김철환·이하 치의학회)가 창립 20주년을 맞아 다양한 강연을 통해 최신 치의학의 흐름을 조망한다. 치의학회가 창립 20주년 기념 종합학술대회를 ‘SHAPING THE FUTURE TOGETHER’이라는 슬로건 아래 오는 8월 27~28일 코엑스에서 연다. 특히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제18회 연송치의학상 대상 수상자인 김희진 연세치대 교수(치의학회 부회장)가 연자로 나서 ‘Sihler염색, 3D imaging 및 초음파영상을 활용한 미지의 해부학 영역구현’을 주제로 특강을 진행한다. 김 교수는 이번 특강이 임상의들은 물론, 형태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도 유익한 강의가 될 것이라 언급했다. 그는 “해부학의 전반적인 트렌드부터 앞으로의 방향 또한 이야기하고 싶었다”며 “이번 특강은 과거부터 현..
경남지부는 지난 6월 18일부터 19일까지 양일간 경남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GNDA 학술대회 및 기자재전시회’(이하 2022 GNDA)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36개 치과계 업체 등이 참여한 이번 행사에서는 포스터 및 기자재 전시회를 포함해 5개의 강의와 학술공로패수상식 등이 진행됐다. 경남지부에 따르면 이날 행사 현장 내 강의장 주변으로 배치된 등록 테이블과 업체 부스 등에는 참가자들이 인산인해를 이뤘다는 후문이다. 2022 GNDA 학술대회 첫 날에는 이상진 원장(아미치과의원)이 직접 연자로 나서 ‘실전 근관치료의 모든 것’에 관해 자세히 강의했다. 이상진 원장은 강연 자료를 통해 근관치료의 성공률을 높이는 지름길로 Evidence Based Endodontic을 제시하며, 기본에 충실해야 치료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MEAW 교정기법의 정수를 배울 수 있는 집중 코스가 오는 9월 개강한다. 한국MEAW교정연구회(회장 최낙준‧이하 연구회)는 오는 9월 18일부터 22번째 집중 코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코스는 MEAW 교정 창립자인 고 김영호 교수의 제자이자, MEAW 교정 교과서의 저술자인 정운남 원장(청담운치과)의 직강으로 구성돼 있어, 많은 기대를 모은다. 코스는 오는 9월 18일 첫 강의를 시작해 2023년 4월 23일까지 매달 1회씩 총 8회에 걸쳐 진행된다. 강의 주제는 ▲ODI, APDI, CF ▲Thinking procedure of orthodontics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Strategic approach of teeth alignment 등으로 구성됐다. 강의는 회차당 오전 9시~오후 5시까지 진행된다. 지원 대상은 MEAW 콘셉트와 기법을 중심..
구강내과학 전공의에게 기초, 임상 지식을 전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회장 정진우·이하 구강내과학회)가 전공의 학술집담회를 지난 6월 18일 원광대학교 대전치과병원에서 개최했다. 이번 집담회는 코로나로 인해 2년간 시행되지 못하다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정상화돼 대면 교육으로 진행됐다. 이날 교육에서는 이상섭 교수(가톨릭의대 해부학교실)가 법치의학적으로 연령 감정을 실제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강의했다. 특히 이 교수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15년간 재직하며 법치의학적 감정과 연구에 매진해온 만큼 심도있는 내용의 강연을 펼쳤다. 이어 안용우 교수(부산치대 구강내과학)가 의료사고와 의료분쟁을 주제로 치과영역의 장애진단에 대한 여러 기준을 소개하고, 턱관절장애·신경손상·치아상실 경우로 나눠..
GBR 술식에 대한 국내외 저명 연자들의 통찰력을 전 세계 치과의사들과 함께 한 의미 있는 심포지엄이 최근 국내에서 열렸다. ‘2022 Purgo Regen Global Symposium’이 지난 6월 26일 그랜드인터컨티넨털 호텔 오키드홀에서 열렸다. ‘What’s next for GBR?’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심포지엄은 국내외 연자의 강의를 듣고 질의응답을 진행하는 형식으로 진행됐으며, 해당 강의는 Purgo China를 통해 중국, Purgo Europe을 통해 유럽 지역으로 실시간 송출됐다. 심포지엄 좌장인 허 익 경희치대 치주과 교수(대한치주과학회 회장)는 축사를 통해 “이번 글로벌 심포지엄의 주요 주제는 'What's Next for GBR?'이며, 이는 푸르고바이오로직스가 연구 과학자들과 함께 앞으로 직면해야 할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라고 언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