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변형식품(GMO)에 대한 관리·감독 및 규제가 미흡하다는 지적과 함께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국회에서 제기 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명수 새누리당 의원은 10월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 국정감사에서 유전자변형식품(GMO)에 대한 관리 미흡을 지적하며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명연 새누리당 의원도 장기 복용에 따라 면역력 약화를 초래하는 유전자변형식품(GMO)에 대한 규제가 허술하다는 지적을 이어갔다.
이명수 의원은 “우리가 먹고 있는 콩기름 등은 GMO(유전자변형생물체)로 만들어진 식품이다.”고 하면서“그러나 현 제도상으로는 이에 대한 표시를 하지 않더라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아 국민들은 GMO제품이라는 내용을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명연 의원은 “김 의원이 한국소비자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내 간장·식용류·전분당 등에는 함량이 높은 GMO원재료 5개만을 표시하게 돼 있어 그 외 포함된 GMO원재료에 대한 정보는 정확히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국제시장에서는 GMO표시대상작물이 토마토, 가지 등 18개인데 반해 국내에는 옥수수, 감자 등 7개 작물에 대해서만 GMO표시 대상으로 삼고 있어 나머지 11개 작물에 대한 수입·유통관리가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명수 의원은 “EU․중국․호주 등과 같이 원료순위와 상관없이 제품에 사용된 모든 원재료가 표시대상에 포함되도록 표시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유전자변형식품(GMO)에 대한 표시와 철저한 관리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김명연 의원도 “현 정부가 국민의 먹거리 안전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식약청을 식약처로 격상시킨 만큼 이에 대해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면서 “GMO표시 제도를 국제 작물 및 식품시장의 흐름에 맞게 개선하고 비의도적으로 섞인 GMO작물에 대한 허용기준을 100개 중 1개 수준으로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