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티움이 지난 6일 광교 사옥 대강당에서 치과위생사 대상 맞춤 세미나 ‘bright Staff’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약 200명이 참석해 병원 운영과 진료 현장에서 곧바로 활용 가능한 실무 교육을 공유했다. 이번 세미나는 치과 운영의 핵심 축인 경영·데스크·진료실 세 영역을 아우르는 커리큘럼으로 치과위생사 뿐만 아니라 원장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김민정 대표(브레인스펙)가 스탭 채용·육성 전략을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올바른 인재 선발과 체계적 교육의 중요성을 짚으며, 면접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질문법부터 신규·숙련 스탭별 맞춤 교육 커리큘럼까지 실질적인 노하우를 전달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윤경희·이유리 강사(브레인스펙)가 보험 청구 실무 특강을 진행했다. 임플란트 외 다양한 보험 항목을 총망라한 이번 강연은 실무자가 놓치기 쉬운 청구 포인트와 서류 작성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해줬다. 이어 박성희 강사(덴티움치과)가 진료실 세션에서 고가의 디지털 장비 없이도 효율적으로 모델리스 보철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덴티움 B.T.S(Bite Tray impression Scan) 컨셉을 소개했다. 더
덴티움이 지난 18~20일 모나코 그리말디 포럼에서 열린 ‘EAO 2025’에 참가해 제품 전시와 강연, 핸즈온 등을 진행했다. 덴티움은 이번 학회에서 bright Implant와 bright CT를 중심으로 ‘The NEXT in IMPLANT for DIGITAL MINIMALISM’ 컨셉을 선보이며, 한층 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선보였다. bright Implant는 좁은 골폭에서도 복잡한 골이식 없이 단순한 식립이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Short & Narrow 컨셉을 통해 최소침습 수술을 지향하고, 임상 케이스 콘텐츠를 통해 술식 단순화와 시술자의 편의성을 더욱 돋보이게 했다. 특히, 부스 내 핸즈온에서는 좁은 골폭에 최적화된 얇고 강한 bright Implant Tissue Level과 Deep Connection 구조로 안정적인 체결력을 구현하는 bright Implant Bone Level을 직접 식립해 보며, 참가자들이 제품의 간편성과 효율성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이어 선보인 bright CT는 2-Tile Stitching 기능을 통해 FOV 17.5×15cm의 대면적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CT촬영 한 번으로 P
글로벌 임플란트 전문기업 덴티움이 태국 치과계와의 긴밀한 협력 속에서 현지 영향력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덴티움은 지난 8월 27일 콘캔대학교, 9월 4일 치앙마이대학교에서 각각 ‘Dentium Implant System Seminar’를 성황리에 개최하며 태국 내 교육기관 및 임상가들과의 파트너십을 한층 강화했다. 이번 두 차례 세미나는 태국 북동부와 북부를 대표하는 치과대학에서 열린 것으로, 총 80여 명의 치과대학 교수진, 대학원생, 개원의가 참석했다. 단순한 제품 설명을 넘어, 임상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심화 술식 교육과 핸즈온 실습을 결합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참가자들의 높은 호응을 이끌어냈다. 콘캔대학교에서 열린 첫 번째 세미나에서는 Pensiri Saenthaveesuk 교수와 Thachakorn Kultiyaratna 박사가 연자로 나서 ▲전략적 임플란트 식립 및 골 재생 ▲심미영역에서의 임플란트 식립을 핵심 주제를 다뤘다. Pensiri 교수는 임플란트의 장기적 성공을 위한 정확한 식립 전략과 GBR, 연조직 관리 기법을 중심으로 강연했다. 실제 임상에서 재현 가능한 단계별 프로토콜을 소개하고 덴티움의 대표 임플란트인 SuperLine
합병증 가능성이 높아 임상가들이 기피하는 술식으로 꼽히는 수직골 이식술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실제 성공 노하우를 다룬 강연이 성황리에 종료됐다. 덴티스 플랫폼 OF가 지난 13일과 14일 양일간 서울 문정캠퍼스에서 ‘OF MAXIMUM GBR SEMINAR - 성공적인 수직골 이식술’을 개최했다. 이날 연자로 나선 유상준 교수(조선치대)는 다양한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수직골 이식술 성공의 핵심 ▲합병증 발생 시 적절한 처치법 ▲다양한 술식 방법 등을 강의했으며, 참가자들이 직접 체득할 수 있는 실습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했다. 첫째 날 Basic 코스에서는 골이식술의 기본 원칙부터 수직골 이식술을 위한 판막 디자인 및 수술 접근법, 자가골 채취법, 골이식재·차폐막 선택, 수직골 이식술 decision tree를 다뤘다. 이어 흡수성막·tenting screw, 비흡수성막을 이용한 수직골 이식술 실습이 이어졌다. 둘째 날 Advanced 코스에서는 골결손부 유형에 따른 다양한 술식, 성공적인 수직골 이식술을 위한 연조직 관리법, 전악 골이식술(full arch ridge augmentation), 합병증 대처 및 예방법을 심도 있게 다뤘다. 또한 Ti-
치주·임플란트 최신 지견과 실전 임상 전략을 다수 담아낸 ‘K-style’ 강연이 성공적으로 끝났다.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이하 경희치대 치주과학교실)이 주최하고 경희 치주임플란트 연구회(K-PERIO)가 후원한 제11회 경희대학교치과병원 치주과 종합학술대회가 지난 9월 20일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남) 402·403호에서 개최됐다. 이번 학술대회는 ‘10+1, K-style 치주와 임플란트를 논하다’를 대주제로 발전, 근거, 선도, 혁신, 통찰의 테마가 담긴 임상 강연이 펼쳐진 가운데, 400여 명의 참가자들이 등록하는 등 성황을 이뤘다. 학술대회는 메인 강연(402호)과 K-PERIO Style 세션 강연(403호)로 나눠 진행됐다. 메인 강연장에서는 ▲임플란트 주위염 ▲연조직 수술 ▲각화점막 ▲치조제 보존술 ▲상악동 골이식 ▲GBR 전략 ▲디지털 보철 등 진료 현장에서 직면하는 주제를 중심으로 실용적인 강연이 펼쳐졌다. 이날 특히 연자로 나선 최상훈 원장은 임플란트 주위염의 복합 병인을 바탕으로 비외과적 관리 전략을 실제 프로토콜과 함께 소개해 일선 참가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이어 한호철 원장은 연조직 수술을 5단계 포인트로 정리해 임상
덴티스가 즉시 식립 특화 차세대 임플란트 ‘AXEL(액셀)’의 임상적 가치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전국 단위 세미나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덴티스 ‘AXEL AROUND’ 첫 세미나가 지난 20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했다. 덴티스는 앞서 SIDEX와 GAMEX 전시회를 통해 신제품 AXEL을 공개했으며, 이번 세미나에서는 임상적 측면까지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AXEL AROUND 세미나는 ‘Focus Anterior & Soft Tissue Seminar’를 타이틀로, 김재윤 원장(연수서울치과)이 연자로 나선다. 수원을 시작으로 10월 인천, 11월 광주와 대전까지 전국 4개 도시에서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강연은 ▲Maxillary Anterior Implant Surgery ▲AXEL Application ▲About Soft Tissue 세션으로 구성되며, 상악 전치부 식립부터 AXEL을 활용한 수술 간소화, 연조직 이식을 통한 합병증 극복까지 개원가에 도움이 되는 폭넓은 주제를 다룬다. 난이도별 임상 증례와 수술 영상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는 실제 진료에 즉시 적용 가능한 노하우를 제공하며, 참가
세계 임플란트 시장 점유율 1위 스트라우만 그룹(Straumann Group)의 임플란트 브랜드 앤서지(Anthogyr)가 오는 10월 25일, 웨스틴 서울 파르나스에서 국내 의료진과 함께하는 임상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순회하는 ‘앤서지 APAC 로드쇼’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핸즈온 실습과 강연 세션으로 진행된다. 먼저 15시부터 17시까지는 20명 한정으로 핸즈온 실습 세션이 마련, 김희철 더블유화이트치과 원장과 박시찬 창원 늘푸른치과 원장이 X3® 임플란트 시스템을 활용한 실제 가이드 수술 적용법 및 디지털 보철 적용 과정을 지도한다. 이어 17시부터 21시 20분까지는 저녁 식사와 함께 강연 세션이 열리며, 벨기에의 저명한 치과의사 Dr. El Masri가 X3® 임플란트의 임상적 강점을 다각도로 조명하고, 서상진 예인치과 원장이 디지털 기반 통합 워크플로우와 임상 적용 전략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 세션의 좌장은 함대원 이안맨하튼치과 원장이 맡아 전체 진행을 이끈다. 한편 지난해 론칭한 앤서지 X3®는 앤서지의 30년 임플란트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설계된 차세대 임플란트로, 치조골 보존 효과를 높이는 특허 디
네오바이오텍(이하 네오)이 지난 7~8일 우즈베키스탄 Tashkent에서 심포지엄을 개최, 현지 임상가들의 관심을 샀다. 이번 심포지엄은 최근까지 우즈베키스탄 시장에서 호평받고 있는 네오의 핵심 제품과 치과 솔루션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자리로 현지 치과의사 3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특히 독창적인 바디 디자인과 탁월한 성능으로 즉시 로딩에 최적화된 차세대 임플란트 ALX를 소개, 현지 치과의사들의 활발한 문의와 상담을 끌어내며 많은 관심을 받았다. 참관객들은 ALX의 Deep Thread와 Wide Pitch 구조가 골 접촉 면적을 극대화하고, Full Helical Cutting Edge를 통한 Self-tapping을 가능하게 해 정확한 깊이 조절과 안정적인 식립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 Peri-implantitis로 인한 골손실(Bone Loss) 예방까지 고려된 설계는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 안정적이고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 밖에 네오의 독보적인 콘셉트인 ‘AnyTime Loading’을 위한 ‘CMI Fixation’ 콘셉트가 적용된 CMI Implant(IS-II, IT-III)를
이성복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보철과 명예교수가 국내를 방문한 인도 치과의사 25명에게 임상 노하우를 전수했다. 이성복 명예교수는 지난 14일 청담동 소재 GAO(Global Academy Osseointegration) 본사에서 1-day 강연 및 핸즈온 실습 교육을 실시했다. 오전 9시에 시작된 강의는 ▲고령자를 위한 혁신적이고 안전한 상악동 거상술과 임플란트 구강회복술 ▲NeoNavi 컴퓨터 가이드 수술과 보철 노하우 등을 주제로 진행됐다. 특히 현재 인도에서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는 상악동 거상기구인 SCA/SLA를 이용한 안전한 상악동 수술과 임플란트의 즉시 부하를 위한 실전 노하우를 교육했으며 네오-네비가이드를 중심으로 하는 최소침습 수술과 각종 술식을 전수했다. 모든 강의는 고령-장애인를 위한 구강재건술에 초점을 맞춰 진행됐으며 강의 후 핸즈온 실습을 진행, 이해를 돕기도 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 전치부 임플란트의 화룡점정, 종지부를 찍는 모습을 보여드리겠다.” 대한심미치과학회(이하 심미치과학회) 38주년 정기학술대회가 오는 11월 16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을 앞둔 가운데, 염문섭 학술대회장이 남다른 자신감을 보였다. 이번 학술대회는 ‘전치부 임플란트, Beyond the Next Level’을 대주제로 삼은 만큼, 임상가의 고민을 한 단계 더 파고드는 통찰력 있는 강연을 펼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심미치과학회는 지난해부터 연간 임상 소재를 선정해 다루는 학술대회 구성으로 호평을 받고 있다. 지난해는 ‘견치’, 올해는 ‘전치부’를 선정하고 연속성 있는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이처럼 심미치과학회가 단일 주제를 선보이는 것은 임상 현장에서 회원이 마주하는 임상 난제에 보다 깊이 있는 답을 내놓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 염 학술대회장은 “하나의 테마를 깊이 있게 조명하는 학술대회는 이제 우리 심미치과학회의 정체성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러한 자신감을 엿볼 수 있듯 강연 프로그램에는 국내‧외 저명 연자가 대거 출연한다. 강연은 401호와 403호, 2개 세미나실에서 진행된다. 오전 401호에서는 백영재‧박휘웅‧김기성‧이정삼 원장이
코웰메디가 대만 현지 치과의사들과 학술 교류를 통해 브랜드 비전을 널리 알리고 있다. 코웰메디는 지난 7일 대만 타이베이 GIS NTUT 컨퍼런스 센터에서 세미나를 열고 임상가들과 학술 교류를 이어갔다. 이날 세미나에서 장호열 원장(장호열치과)은 GBR(골유도재생)과 연조직 재생의 최신 임상 원칙을 주제로 강연했다. 실제 임상 사례를 통해 Wifi Mesh, GBR Kit, Lodestar Sinus Kit 등 코웰메디 주요 솔루션의 적용 과정을 소개하며, 공간 유지, 예측 가능한 골 재생, 안전한 상악동 거상 등에서의 임상적 장점을 강조했다. 현지에서는 수십 명의 치과의사가 참석해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코웰메디는 이번 행사를 통해 제품의 임상적 가치를 직접 전달하고, 대만 시장을 포함한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코웰메디 관계자는 “코웰메디의 목표는 단순한 제품 공급을 넘어 전 세계 치과의사들과 함께 더 나은 임상 결과를 만드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내외 세미나를 통해 최신 지견과 혁신 솔루션을 공유하고 글로벌 리더십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