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리도 하늘은 푸르고 이리도 햇빛은 눈부신데 봄 같지 않은 봄, 여름 같지 않은 여름 지나고 짙어지는 단풍, 서늘한 바람 보고 싶은 얼굴들 한잎 두잎 낙엽 되어 떨어지며 겨울이 오는 소리 하얗게 들리네 처음 겪는 사회적 거리두기 마음의 거리마저 멀게 하고 집안에 콕 박혀 혼자 먹는 식탁엔 외로움만 쌓이네 문밖에 나서려면 으레 신발을 챙겨 신듯 마스크 쓰고 코와 입을 막고 표정마저 감추며 서로서로 경계의 눈초리 사랑이 부재하는 ‘코로나의 거리’ 조심조심 마스크만 걸어가네 친구들과 수다 떨며 마시던 술 한 잔 간절하고 정든 사람과 도란도란 이야기 나누며 마시던 커피 한잔 그립네 그저 그런 소소하고 평범한 일상이 그렇게 소중한 행복이었는지 모르고 살았네 수천만의 코로나19 확진 환자, 수백만의 코로나19 사망자, 총 한번 쏘지 못한 전쟁 세계적 팬데믹(pandemic) 상황에 빠지면서 일상의 모든 것이 변했네. 인간의 오만을 벌하려는 자연의 복수인가. 신이 죄 많은 인간에게 내리는 징벌인가. 인간이 자초한 벌을 받고 있는 것일까. 인간의 습관적인 과잉만남을 교정 하는 격리일까. 이제 우리는 코로나 이전의 세상으로 영원히 돌아갈 수 없네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코
지진이야 늘 일어나지 땅은 늘 살아있으니까 숨 쉬고 꿈틀거리는 거대한 생명 터지려는 분노 안으로 안으로 구심(求心)으로 끌어 누르고 용암(鎔巖)의 꿈틀거림 때로는 침묵으로 응시하라 오랜 세월 쌓이고 쌓인 시뻘건 응어리 가슴 가슴으로 품어 순수한 대지의 헐떡이는 숨소리 분노의 하늘로 치솟는 꿈꾸어라 아직은 흔들거리고만 있을 때야 아직은 꿈틀거리고만 있을 때야 어느 날 푸른 하늘이 활짝 열리고 어느 날 붉은 태양이 찬란히 빛날 때 빛과 빛이 만나 어둠을 이기고 불과 불이 만나 세상을 태우고 새로운 천지가 열릴 때까지 한 세상 마음껏 흔들려 보자 지진이야 늘 일어나지 땅은 늘 깨어있으니까 숨 쉬고 꿈틀거리는 거룩한 지진. 김계종 전 치협 부의장 -월간 《문학바탕》 시 등단 -계간 《에세이포레》 수필 등단 -군포문인협회 회원 -치의학박사 -서울지부 대의원총회 의장 -치협 대의원총회 부의장 -대한구강보건학회 회장, 연세치대 외래교수 -저서 시집 《혼자먹는 식탁》
누구나 사람은 자기만의 섬 하나 가지고 있다 살아서는 갈 수 없는 죽어야만 갈 수 있는 환상의 섬 어부들 꿈꾸는 피안의 섬 비바람 몰아치는 날에만 나타나는 파랑도 거기서 통곡하고 싶다 누가 이곳에 내려놓았는가 황금의 닻을! 누가 이 검푸른 바다에 숨겨놓았는가 판도라의 상자를! 있다가도 없고 없다가도 있는 마법의 섬 거기서 살고 싶다 거기서 죽고 싶다 김계종 전 치협 부의장 -월간 《문학바탕》 시 등단 -계간 《에세이포레》 수필 등단 -군포문인협회 회원 -치의학박사 -서울지부 대의원총회 의장 -치협 대의원총회 부의장 -대한구강보건학회 회장, 연세치대 외래교수 -저서 시집 《혼자먹는 식탁》
무서리 치는 늦은 가을날 홍시 한입 물고 지그시 눈을 감는다 여름날의 햇살 입안 가득하다 수다스런 잎들 떨 군 가지 끝 끈질기게 매달려 하늘가에 밝혀두었던 붉은 등 하나 무르익는 시간의 농축 농익는 것이 달콤하다 설익은 말과 서투른 몸짓 몸과 마음이 하나로 익어가는 기량 떫은 세월없이는 홍시의 시간도 없다 겨울로 가는 가을의 언어 선명한 입장으로 포장되어 배달된다 곰살궂은 옛정 하얀 분 곱게 서린 노을빛 눈물 무르익는 삶의 온축(蘊蓄) 농익는 것이 아름답다 두 손으로 감싸 안고 꼭지를 따니 시치미 뚝 뗀 새빨간 속살 살갑다 김계종 전 치협 부의장 -월간 《문학바탕》 시 등단 -계간 《에세이포레》 수필 등단 -군포문인협회 회원 -치의학박사 -서울지부 대의원총회 의장 -치협 대의원총회 부의장 -대한구강보건학회 회장, 연세치대 외래교수 -저서 시집 《혼자먹는 식탁》
벽에 걸린 시계 속 나무 둥지에 뻐꾸기 한 마리 비틀어진 시간을 먹고 하늘을 꿈꾼다 어둠 깊은 곳에서 더 이상 주체할 수 없는 슬픔이 복받쳐 올라 목울대를 칠 때 비로소 울음이 완성된다 약속의 시간 열린 문을 박차고 자식을 버린 어미를 저주하며 뻐국! 뻐국~ 뻐국! 뻐국~ 청아한 울음소리 한번 피맺힌 울림소리 한번 남의 둥지에 버려진 기막힌 생명은 전설이 된다 눈물도 말라버리고 사연도 희미한데 헛되도다! 헛되도다! 나그네 세월 뻐꾸기 나이 오십이다 울던 손자 울음 뚝 그치고 방긋방긋 웃는다 할아버지 틀니가 덜그럭거린다 부서진 날개 안간힘 다해 단 한 번의 날갯짓으로 허공을 꿈꾼다 약속의 공간 문 닫고 들어가면 님을 향한 그리움 휘어진 허공에 시간은 강물이다 김계종 전 치협 부의장 -월간 《문학바탕》 시 등단 -계간 《에세이포레》 수필 등단 -군포문인협회 회원 -치의학박사 -서울지부 대의원총회 의장 -치협 대의원총회 부의장 -대한구강보건학회 회장, 연세치대 외래교수 -저서 시집 《혼자먹는 식탁》
사람의 체온보다 더 높은 날은 늘 침묵이었다 온통 뜨겁게 달아오르는 지열 속에 사방천지의 살아 있는 것들의 호흡은 잠시 멈추고 더 살기 위한 숨 고르기는 바람 한 점 없는 몽환 속을 헤맨다 오후의 뜨거운 빛은 느릿느릿 느슨하게 흐르고 나뭇잎들에 부서지는 빛의 가루들이 넓게 스며들고 불타오르는 태양을 향해 분노의 눈을 들면 수억만 개의 빛들이 생멸로 반짝여 눈이 먼다 온통 숨죽이는 대지의 인내는 먼 기억 속으로 스멀스멀 기어들어가고 첫사랑도 옛사랑도 마지막 사랑도 비비적거리고 온몸을 움츠리며 벌어진 땀구멍을 막아버린다 제 몸무게보다 서너 배 삶의 무게를 지고 까맣게 타버린 대지를 횡단하는 개미의 여름날 땀방울은 최고의 포식자의 배설물이다 달아오르게 하는 것들은 식히는 것들에 의해 언제나 평형을 이루는 몸부림이다. 온천지가 뜨거울수록 옷을 하나씩 더 껴입어야 하는 이 외로움은 언제 해동이 될런지 죽어도 죽어지지 않는 밤 권태의 덧문을 걸어 잠그고 더울수록 더울수록 외롭다 외로워지는 환한 밤이다. 김계종 전 치협 부의장 -월간 《문학바탕》 시 등단 -계간 《에세이포레》 수필 등단 -군포문인협회 회원 -치의학박사 -서울지부 대의원총회 의장 -치협 대의원총회 부의장
시간이 늦게 흐르는 길 따라 당신은 아직도 오고 있는 중 아무리 그림자 길어지는 시대착오적 곰팡이라 해도 발효의 시간만큼 기다리고 싶다 사모할 틈도 없는 인터넷 세상 설익은 사연 봉함할 수 없는 편지 슬로시티 황소걸음으로 배달된다 물음표가 아니라 느낌표로 눈물 찍어 긴 답장 쓰고 싶다 골목길 모퉁이 돌고 돌아 당신은 아직도 오고 있는 중 김계종 전 치협 부의장 -월간 《문학바탕》 시 등단 -계간 《에세이포레》 수필 등단 -군포문인협회 회원 -치의학박사 -서울지부 대의원총회 의장 -치협 대의원총회 부의장 -대한구강보건학회 회장, 연세치대 외래교수 -저서 시집 《혼자먹는 식탁》
세상이 웃지 않으면 너와 내가 많이 웃자 크게 웃고 길게 웃고 배와 온몸으로 웃자 고통을 잊고 싶은가 배꼽 빠지게 웃어라! 행복하고 싶은가 매일 많이 웃어라! 사랑해서 그리운 것이 아니라 그리워하다 보니 사랑이듯이 행복해서 웃는 것이 아니라* 웃다 보니 행복해지는 것 억지라도 웃자 웃어넘기자 미치도록 웃자 웃어버리자 웃음은 최고의 유산소운동 부작용 전혀 없는 만병통치약 ---------------------------------- *윌리암 제임스 김계종 전 치협 부의장 -월간 《문학바탕》 시 등단 -계간 《에세이포레》 수필 등단 -군포문인협회 회원 -치의학박사 -서울지부 대의원총회 의장 -치협 대의원총회 부의장 -대한구강보건학회 회장, 연세치대 외래교수 -저서 시집 《혼자먹는 식탁》
비워야 갈 수 있는 구불구불 어두운 골목길 불 켜고 노려보는 뱀의 눈 해어지고 허물어진 담벼락 안쪽 검진이라는 이름으로 드러나는 수상한 영상 들키고 싶지 않은 치부(恥部) 보여주고 싶지 않은 오장육부(五臟六腑) 수색 당하고 검색 당하는 수치심 이제 더 이상 은밀한 곳 없다 이제 더 이상 신비한 곳 없다 세포까지도 현미경에 사로잡힌다 고성능 렌즈로 보는 청문회 배율 엄청난 렌즈로 보는 인터넷 거울과 렌즈가 까발리는 세상의 민낯 하루에도 수십 번 몰래 촬영 당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도시에는 사람은 없고 피사체만 걸어 다닌다 실상과 허상의 세계가 맞부딪힌다 안쪽을 볼수록 바깥 같고 바깥을 볼수록 안쪽 같은 안과 밖이 경계를 허물다 김계종 전 치협 부의장 -월간 《문학바탕》 시 등단 -계간 《에세이포레》 수필 등단 -군포문인협회 회원 -치의학박사 -서울지부 대의원총회 의장 -치협 대의원총회 부의장 -대한구강보건학회 회장, 연세치대 외래교수 -저서 시집 《혼자먹는 식탁》
머리를 뚝 떼어 귀양 보내고 풍만한 유방 튼실한 궁둥이 들고 눈이 맛있는 식사가 푸짐하다 팔은 반으로 접어 나무둥치에 걸치고 아랫도리만 살아서 각선미가 춤을 춘다 파도에 치마는 흘러내릴 듯 감기고 싱싱한 뱀장어가 서로의 다리를 꼬아 햇살 아래 번쩍거리며 교미를 한다 바위 속에 꿈틀거리는 인어의 비늘 형체가 아닌 것을 깎아내 버리면 표정이 이를 희게 드러내며 웃는다 빛을 삭제해버린 어둠 속에서 서서히 판도라의 상자가 떠오르고 직선으로 빗살로 반사의 생명 머금고 곡선이 이기고 직선의 투명한 집으로 꺾여 든다 침묵을 뿜는 분수가 정점에서 떨고 볼 때만 이어지는 생명 보이지 않는 세계로 접히면 조개 속에 진주가 빛을 품는다 이 집의 남자는 몽땅 태양을 안고 가출하고 여자가 홀로 달을 붙들고 열심히 해산을 한다 문이 열릴 때마다 질식 직전의 식구들 원색의 외출복 갈아입고 나머지 시간을 챙겨 호수를 가로질러 안개꽃을 피우러 간다 김계종 전 치협 부의장 -월간 《문학바탕》 시 등단 -계간 《에세이포레》 수필 등단 -군포문인협회 회원 -치의학박사 -서울지부 대의원총회 의장 -치협 대의원총회 부의장 -대한구강보건학회 회장, 연세치대 외래교수 -저서 시집 《혼자먹는 식탁》
걸림돌이라고 발로 걷어차지 말라 돌아오는 것은 아프고 쓰린 상처뿐 언제 우리도 다른 사람의 걸림돌 된 적 있으리라 걷어찬 것만큼 우리도 걷어 채이고 아파서 울고 싶어도 울 수 없는 차가운 광대 거무튀튀한 어둠의 밤 돌 위에 내리는 별빛 평평한 디딤돌인 줄 알고 밟았는데 뾰족한 걸림돌에 걸려서 크게 한방 넘어져 발이 부러진다 세월의 씻김과 바람의 빗김 걸림돌 닳고 닳아 누군가의 디딤돌 될 때 우리의 무대는 막을 내릴 때가 된다 깎이고 마멸되는 마음 끝없이 쏟아지는 빗물 내 마음의 강물 디딤돌은 어디인가 김계종 전 치협 부의장 -월간 《문학바탕》 시 등단 -계간 《에세이포레》 수필 등단 -군포문인협회 회원 -치의학박사 -서울지부 대의원총회 의장 -치협 대의원총회 부의장 -대한구강보건학회 회장, 연세치대 외래교수 -저서 시집 《혼자먹는 식탁》
여행객들 오고가는 김포공항청사 번쩍번쩍 유니폼 입은 기장 초라한 내게 거수경례를 한다 순간 당황한 나 뒤를 돌아봤지만 아무도 없다 군의관님 안녕하십니까 육군항공대 박 중위입니다 그때 치료해 준 치아 지금껏 잘 쓰고 있습니다 하하 크게 웃는 기장의 입속 훈장처럼 금니가 번쩍인다 김계종 전 치협 부의장 -월간 《문학바탕》 시 등단 -계간 《에세이포레》 수필 등단 -군포문인협회 회원 -치의학박사 -서울지부 대의원총회 의장 -치협 대의원총회 부의장 -대한구강보건학회 회장, 연세치대 외래교수 -저서 시집 《혼자먹는 식탁》